Amadey Bot을 설치하는 Nitol DDoS 악성코드 Posted By Sanseo , 2022년 12월 12일 ASEC 분석팀은 최근 공격자가 Nitol DDoS Bot 악성코드를 이용해 Amadey를 설치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Amadey는 2018년경부터 유포되고 있는 악성코드로서 사용자의 정보를 탈취하는 기능 외에도 추가 악성코드들을 설치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다운로더 악성코드이다. Amadey는 올해부터 다시 활발하게 유포되고 있는데 올해 초부터 시작하여 최근까지도 정상 소프트웨어 크랙 및 시리얼 생성 프로그램을 위장한 유포 사이트에서 유포되면서 여러 다른 악성코드들을 설치하고 있다.[1] 이외에도 올해 하반기에는 국내 기업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LockBit 3.0 랜섬웨어 공격에도 사용되고 있는데, 스팸 메일의 첨부 파일을 통해 유포되어 LockBit…
랜섬웨어와 함께 설치되는 DDoS 악성코드 Nitol Posted By ASEC , 2015년 4월 29일 4월 21일 이슈된 CryptoLocker 의 변종파일이 4월 28일 발견되었다. 특이한 점은 기존에 확인된 랜섬웨어 기능외에 DDoS 공격목적의 실행파일이 추가로 확인되어 주의가 필요하다. 1. 랜섬웨어 기능 엑셀 아이콘 모양으로 제작된 악성코드를 실행 시, 아래의 [그림-1]의 (2)번째 단계에서 처럼 “explorer.exe” 프로세스가 실행되며, 해당 프로세스 메모리에 랜섬웨어 기능의 실행파일이 Injection 되어 동작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해당 랜섬웨어는 국내 커뮤니티 사이트인 C업체 광고배너를 통해 유포된 것과 동일한 형태이며, 접속시도하는 사이트는 다음과 같다. – tidisow.ru [그림-1] 악성 기능별 인젝션 대상 프로세스 해당 랜섬웨어의 상세 기능은 하기의 글을 참고 – http://asec.ahnlab.com/1030 2. DDoS 기능 기존 알려진 랜섬웨어 기능외에 해당 샘플은 DDoS 공격기능의 실행파일을 구동하는 특징을 갖는다. 구체적 DDoS 공격방식은 Nitol 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악성코드와 동일하며, 아래의 C&C 주소와의 통신을 통해 공격자의 명령에 따라 파일 다운로드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