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F 스크립트로 유포되는 AsyncRAT Posted By ch.lim , 2023년 12월 1일 ASEC(AhnLab Security Emergency response Center) 분석팀은 이전에 .chm 확장자를 통해 유포되는 AsyncRAT에 대한 내용을 게시한 적이 있다.[1] 이러한 유형의 AsyncRAT 악성코드가 최근 WSF 스크립트 형태로 변형되어 유포되는 정황을 확인하였다. WSF 파일은 이메일 등에 포함된 URL 링크에서 압축파일 형태(.zip)로 유포되는 것으로 확인된다. [다운로드 URL]1. https://*****************.com.br/Pay5baea1WP7.zip2. https://************.za.com/Order_ed333c91f0fd.zip3. https://*************.com/PAY37846wp.zip4. https://*****.****.co/eBills37890913.zip 최초 다운로드 된 zip파일을 압축 해제하면 .wsf확장자를 가진 파일이 있다. 해당 파일은 아래 이미지와 같이 대부분 주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간에 <script> 태그 하나만 존재한다. 해당 스크립트가 동작하게 되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Visual Basic…
최신 닷넷 패커의 종류 및 국내 유포 동향 Posted By kingkimgim , 2022년 12월 16일 [TOC] 0. 개요 본 내용은 TI 보고서 ‘최신 닷넷 패커의 동향 및 분류 보고서‘를 축약한 내용으로 자세한 내용은 가장 하단의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최근 닷넷으로 만들어진 패커가 국내와 국외 많은 곳에서 확인되고 있다. 따라서 ASEC 분석팀에서는 국내에 주로 유포되는 다섯 종류의 닷넷(.NET) 패커에 대해 소개하고 국내 유포 동향을 설명할 것이다. 따라서 닷넷 패커로 유포되는 악성 코드의 종류에 대해 간략히 소개하고, 이 문서만의 패커의 흐름도를 실제 패커를 예시로 설명한다. 이후 각 패커의 특징을 파악 후 국내 동향을 살펴보는 것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