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이드 모바일 허위 백신 유포 Posted By ASEC , 2012년 5월 17일 안드로이드(Android) 스마트폰의 사용율이 전 세계적으로 증감하에 따라 이와 관련된 다양한 보안 위협들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해당 모바일(Mobile) 운영체제에서 동작하는 악성코드들은 2011년 하반기를 기점으로 기하 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제작 목적 역시 금전 획득을 위한 목적으로 제작되는 사례들도 동반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안드로이드 악성코드들의 유포는 현재까지 대부분이 구글(Google)에서 운영하는 안드로이드 앱스토어(Android Appstore) 또는 방문자가 많은 유명 서드 파티 앱스토어(3rd Party Appstore)를 통해 유포되는 사례가 많았다. 그러나 현재는 허위 앱 스토어를 통해 직접 유포하거나 유명 앱들을 배포하는 웹 사이트로 위장하여 유포하는 방식 등으로 기존 윈도우(Windows) 운영체제 기반의 PC에 감염되는 악성코드들이 유포되는 방식들을 그대로 답습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안드로이드 악성코드가 금일 기존 윈도우 운영체제 기반의 PC에 감염되었던 허위 백신들과 유사한 형태로 유포되는 사례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허위 백신 형태의 악성코드는 최근 애플 맥(Mac) 운영체제 사용자들이…
Another fake “Angry Birds” Posted By ASEC , 2012년 4월 5일 안드로이드 플랫폼이 큰 인기를 끌면서 모바일 기반의 악성코드 또한 활개치고 있다. 악성코드는 주로 인기 있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위장하여 사용자가 설치하게끔 유도하는데 그 대상으로 빠지지 않고 이용되는 인기게임 중 하나가 바로 “Angry Birds” 가 아닐까 한다. 이번에 새롭게 발견된 악성코드 역시 유명게임 “Angry Birds” 를 위장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fig. 가짜 Angry Birds 아이콘] 해당 악성코드는 중국의 써드파티마켓에서 최초 발견되었으며 위와 같이 Angry Birds 게임으로 위장하고 있다. 중국의 써드파티 안드로이드마켓 규모는 우리나라보다 크고 정품어플리케이션을 불법으로 받기 위해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 사용자들이 쉽사리 악성어플리케이션에 대해 노출되기 쉬운 환경이다. [fig. manifest 에 나타나는 악성 service] 이 악성코드는 설치 시 “com.neworld.demo.UpdateCheck” 라는 악성 서비스가 실행되는데, 이 서비스는 어플리케이션의 assets 폴더에 저장된 그림파일(mylogo.jpg)에 몰래 숨겨놓은 elf 포맷의 악성파일을 추가적으로 실행하며…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윈도우 악성코드 Posted By ASEC , 2012년 2월 3일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윈도우(Windows) 운영체제와 리눅스(Linux) 운영체제에서 모두 감염되어 동작하는 악성코드를 제작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많은 사항들을 고려해야 되는 문제임으로 쉽지 않은 사항이다. 특히나 모바일(Mobile) 운영체제와 일반 윈도우 PC 모두에 감염되어 동작하는 악성코드를 제작하기라는 것은 더욱 쉽지 않은 사항이다. 2012년 2월 3일 ASEC에서는 하루동안 전세계에서 수집되어 분석되었던 안드로이드(Android) 어플리케이션들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특이하게 특정 어플리케이션 내부에 윈도우 악성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번에 발견된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은 아래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아래 이미지의 붉은색 박스로 표기한 스크립트 파일인 about_habit.htm(123,196 바이트)를 내부에 포함하고 있다. 해당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 내부에 포함된 about_habit.htm는 일반적인 HTML 파일이 아니며 실제로는 비주얼 베이직 스크립트(Visual Basic Script)로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가지고 있다. 해당 비주얼 베이직 스크립트 파일은 svchost.exe(61,357 바이트) 파일명으로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감염되는 악성코드를 생성하고 실행하게 되었다. 그러나 해당 비주얼 베이직 스크립트 파일은 안드로이드…
다양한 기능을 가진 안드로이드 악성코드(IRC Bot & SMS Send & Root Exploit) Posted By ASEC , 2012년 1월 22일 1. 악의적인 다양한 기능이 포함된 안드로이드 악성 어플리케이션 최근 안드로이드 악성코드는, Windows 기반의 악성코드의 진화과정을 빠르게 닮아가고 있다. 단순한 정보 유출 어플리케이션에서 부터, Root Exploit, SMS 과금형, 허위 안드로이드 백신 어플리케이션, 그리고 2가지 이상의 기능이 합쳐진 형태의 악성 어플리케이션 등, 날이 갈수록 그 수량이 급격히 증가/발전하고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 여러가지 기능이 포함된 안드로이드 악성 어플리케이션을 살펴보자. 2. MADDEN NFL 12 로 위장된 악성 어플리케이션 MADDEN NFL 12 게임으로 위장한 Foncy 악성코드가 발견되었다. 해당 악성코드는 IRC 채널에 접속하여 원격 제어가 가능한 Bot 기능을 수행하며, 해당 어플리케이션으로 인하여 추가 생성된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할 경우, SMS 를 발송하며 이로 인한 과금이 발생 한다. – 악성 어플리케이션 설치 후 실행 화면 [그림] 악성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 실행 화면 – 설치 이후, 사용자도 모르게 추가 설치되는 악성 어플리케이션 [그림] 설치된…
SNS 구글플러스(Google+)를 위장한 안드로이드 악성 APP Google++ Posted By ASEC , 2011년 8월 18일 1. Google++ 에 대하여.. 최근 구글플러스 SNS 의 사용자가 증가함에 따라, 이를 악용한 악성 어플리케이션이 등장 했다. 인기 SNS의 증가와 사용자의 관심을 이용하여 이른바, 사회공학기법의 악성코드 감염 방식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얼마전 구글 서치(Google Search)를 위장한 앱에 이어 구글을 위장한 악성 앱이 다시 등장한 것이다. Google SSearch 악성 앱 정보 : http://core.ahnlab.com/299 2. Nicky 로 불리는 악성 앱 Google++ – 악성 앱이 요구하는 권한 정보 [그림] Google++ 어플리케이션 권한 정보 – 앱이 설치되어도 아이콘은 생성되지 않는다. [응용프로그램 관리]를 통하여 확인 가능 하다. [그림] [응용프로그램 관리] 화면 3. 상세 정보 – AndroidManifest.xml 에서 다음과 같이 동작할 것으로 추정 가능 하다. [그림] Manifest 일부 – SMS, 통화 내역, GPS 정보 수집 등 Nicky 와 비슷한 동작을 시도 한다. Android System Message 악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