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마이크로소프트 2012년 7월 보안 패치 배포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서 2012년 6월 한 달 동안 해당 업체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에서 발견된 보안 취약점들을 제거하기 위해 보안 패치를 2012년 7월 11일 배포하였다. 이번에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배포된 보안 패치들은 총 9건으로 다음과 같다.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43 – 긴급 Microsoft XML Core Services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722479)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44 – 긴급 Internet Explorer 누적 보안 업데이트 (2719177)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45 – 긴급 Microsoft Data Access Components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698365)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46 – 중요 Visual Basic for Applications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707960)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47 – 중요 Windows 커널 모드 드라이버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점 (2718523)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48 – 중요 Windows 셸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XML 코어 서비스 취약점(CVE-2012-1889) 악용 증가

현지 시각으로 6월 12일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서는 XML 코어 서비스(Core Services)에 알려지지 않은 제로 데이(Zero Day, 0-Day) 취약점이 발견되었음을 보안 권고문 “Microsoft Security Advisory (2719615) Vulnerability in Microsoft XML Core Services Could Allow Remote Code Execution“을 통해 공개한 바가 있다. 해당 취약점은 공격자가 지정한 임의 코드를 실행 할 수 있는 코드 실행 취약점이며, 해당 XML 코어 서비스를 사용하는 윈도우(Windows) 운영체제와 오피스(Office) 2003과 2007 버전에서 악용이 가능하다. 해당 취약점은 현재까지도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보안 패치를 제공하지 않는 제로 데이 취약점이며, 임시 방안으로 해당 취약점을 제거 할 수 있는 픽스 잇(Fix it)을 보안 공지 “Microsoft 보안 공지: Microsoft XML Core Services의 취약성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를 통해 배포 중에 있다. 해당 XML 코어 서비스를 악용하는 스크립트 악성코드가 해외에서 발견되는 사례가 서서히 증가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최근 발견된 해당…

마이크로소프트 2012년 5월 보안 패치 배포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서 2012년 4월 한달 동안 해당 업체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에서 발견된 보안 취약점들을 제거하기 위해 보안 패치를 2012년 5월 9일 배포하였다. 이번에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배포된 보안 패치들은 총 7건으로 다음과 같다.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29 – 긴급 Microsoft Word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680352)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30 – 중요 Microsoft Office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663830)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31 – 중요 Microsoft Visio Viewer 2010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597981)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32 – 중요 TCP/IP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점 (2688338)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33 – 중요 Windows Partition Manager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점 (2690533)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34 – 긴급 Microsoft Office, Windows, .NET Framework 및 Silverlight에 대한 통합 보안…

Adobe Flash CVE-2012-0779 취약점 악용한 Targeted Attack

한국 시각으로 5월 4일 저녁 Symantec에서는 블로그 “Targeted Attacks Using Confusion (CVE-2012-0779)“을 통해 Adobe Flash Player에 존재하는 CVE-2012-0779 취약점을 악용한 타겟 공격(Targeted Attack)이 발생하였음을 공개하였다. 이와 관련해 Adobe에서도 보안 권고문 “Security update available for Adobe Flash Player“을 통해  Flash Player에 CVE-2012-0779 취약점이 존재하며, 해당 취약점을 제거하기 위한 보안 패치를 공개하였다. 이 번에 공개된 해당 CVE-2012-0779 취약점은 Adobe Flash Player 11.2.202.233와 그 이전 버전이 모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밝히고 있다. Symantec에서는 이 번에 발생한 Targeted Attack은 전통적인 기법으로 이메일의 첨부 파일을 이용하여 진행 되었으며, 첨부 파일로는 취약한 Adobe Flash 파일을 호출할 수 있도록 되어 제작된 마이크로소프트 워드(Microsoft Word) 파일이 존재하였다. ASEC에서는 해당 워드 파일들을 확보하여, 아래 이미지와 같이 워드 파일 내부의 1Table에 취약한 Adobe Flash 파일인 SWF을 호출할 수 있도록 제작 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하였다….

마이크로소프트 2012년 3월 보안 패치 배포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서 2012년 2월 한달 동안 해당 업체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에서 발견된 보안 취약점들을 제거하기 위해 보안 패치를 2012년 3월 14일 배포하였다. 이번에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배포된 보안 패치들은 총 6건으로 다음과 같다.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17 – 중요 DNS 서버의 취약점으로 인한 서비스 거부 문제점 (2647170)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18 – 중요 Windows 커널 모드 드라이버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점 (2641653)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19 – 보통 DirectWrite의 취약점으로 인한 서비스 거부 문제점 (2665364)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20 – 긴급 원격 데스크톱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671387)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21 – 중요 Visual Studio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점 (2651019)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22 – 중요 Expression Design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651018) 다양한 악성코드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