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c

2014년 MAC 악성코드의 특징

  1. Mac OS X 얼마 전 Mac 의 운영체제인 OS X 요세미티(Yosemite)가 업데이트 되었고 아이폰 6는 여전히 큰 인기를 끌며 판매되고 있다. 이전에 음악, 디자인 등 예술계 종사자들 혹은 소수의 매니아들만 사용하던 애플사의 Mac 컴퓨터는, 아이팟과 아이폰의 성공에 힘입어 사용자 계층이 크게 확대되고 대중화되었으며, 이에 따라 OS X 악성코드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다만, 다음 통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국내의 OS X 점유율은 아직 10%가 채 안 되어, 국내에서는 비교적 파급력이 크지 않다. [그림 1] 국내 OS 점유율 (출처: StatCounter) 그러나 과거 수년간 대형 보안사고 발생에 따른 피해가 점점 커지고, 보안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면서, 종전의 사용하던 시스템 기반을 리눅스나 맥 등으로 변경을 고려하는 기업과 기관들이 증가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는 맥과 관련된 백신 사용률이 매우 낮고 보급 속도 또한 더딘…

오라클 자바 JRE 7 제로 데이 취약점 관련 보안 패치 배포

ASEC에서는 8월 29일 “오라클 자바 JRE 7 제로 데이 취약점 악용 악성코드 유포“를 통해 오라클 자바 JRE(Java Runtime Environment) 7에서 임의의 코드를 실행 할 수 있는 코드 실행 취약점(CVE-2012-4681)을 발견하였음을 공개하였다. 한국 시간으로 8월 31일 금일 자바 JRE 7에 존재하는 취약점 CVE-2012-4681을 제거 할 수 있는 보안 패치를 보안 권고문 “Oracle Security Alert for CVE-2012-4681“를 통해 공개하였다. 현재 해당 자바 JRE 7에 존재하는 취약점 CVE-2012-4681을 악용하는 JAR 파일이 공다 팩(GongDa Pack)과 블랙홀(Blackhole)이라 불리는 웹 익스플로잇 툴킷(Web Exploit Toolkit)을 통해 백도어 기능을 수행하는 윈도우 악성코드와 맥(Mac) 악성코드 등 지속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악용 사례가 발견되고 있다. 그러므로, 오라클에서 배포 중인 해당 보안 패치를 즉시 설치하여 해당  CVE-2012-4681 취약점을 악용하는 다양한 보안 위협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오라클에서 배포 중인 보안 패치를 포함한 최신 버전은 웹 사이트 “무료 Java 다운로드” 또는 “Java SE Downloads“를…

악성코드 감염으로 알려진 일본 재무성 침해 사고

2012년 7월 21일 일본 국내 언론들을 통해 “Finance Ministry reveals 2010-2011 computer virus; info leak feared” 일본 재무성에서 2010년에서 2011년 2년 사이에 감염된 악성코드가 발견되었으며, 이로 인해 내부 정보가 유출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는 기사가 공개 되었다. ASEC에서는 해당 침해 사고와 관련한 추가적인 정보와 관련 악성코드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해당 침해 사고와 관련된 악성코드를 확보하게 되었으며, 해당 악성코드는 약 1년 전인 2011년 9월 경에 발견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번에 파악된 악성코드가 실행되면 해당 파일이 실행된 동일한 경로에 다음 파일을 생성하고, 정상 시스템 프로세스인 explorer.exe에 스레드로 인젝션하게 된다. C::[악성코드 실행 경로]tabcteng.dll (114,688 바이트) 그리고 다음 레지스트 경로에 키 값을 생성하여 감염된 시스템이 재부팅하더라도 자동 실행 되도록 구성하게 된다. HKLMSYSTEMControlSet001ServicesNetmanParametersServiceDll “C:[악성코드 실행 경로]tabcteng.dll” 감염된 시스템에 존재하는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의 실행 파일 iexplorer.exe를 실행 시켜 HTTP로 외부에 존재하는…

ASEC 보안 위협 동향 리포트 2012 Vol.28 발간

안랩 ASEC에서 2012년 4월 국내,외에서 발생한 다양한 보안 위협 이슈와 동향들을 정리한 ASEC 리포트 2012 Vol.28을 발간하였다.  이 번에 발간된 ASEC 리포트는 2012년 4월 주요 보안 위협 이슈들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있다. 1) 악성코드 이슈 악성 DOC 문서를 첨부한 스피어 피싱 메일 북한 광명성 3호 발사 및 핵 실험을 주제로 한 악성코드 4.11 총선 이슈에 발견된 악성코드 런던 올림픽 개최를 이용한 악성코드 핵 안보 정상회담 PDF 문서로 위장한 악성코드 사회공학 기법을 이용하여 유포되는 악성 HWP 파일 국내 주요 금융기관 피싱 사이트 다수 발견 페이스북을 통해 유포되는 보안 제품 무력화 악성코드 보안 제품의 업데이트를 방해하는 Host 파일 변경 악성코드 주의 보안 제품 동작을 방해하는 온라인 게임핵 변종 Mac OS를 대상으로 하는 보안 위협의 증가 윈도우, Mac OS를 동시에 감염시키는 악성코드 자바, MS 오피스…

안드로이드 모바일 허위 백신 유포

안드로이드(Android) 스마트폰의 사용율이 전 세계적으로 증감하에 따라 이와 관련된 다양한 보안 위협들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해당 모바일(Mobile) 운영체제에서 동작하는 악성코드들은 2011년 하반기를 기점으로 기하 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제작 목적 역시 금전 획득을 위한 목적으로 제작되는 사례들도 동반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안드로이드 악성코드들의 유포는 현재까지 대부분이 구글(Google)에서 운영하는 안드로이드 앱스토어(Android Appstore) 또는 방문자가 많은 유명 서드 파티 앱스토어(3rd Party Appstore)를 통해 유포되는 사례가 많았다. 그러나 현재는 허위 앱 스토어를 통해 직접 유포하거나 유명 앱들을 배포하는 웹 사이트로 위장하여 유포하는 방식 등으로 기존 윈도우(Windows) 운영체제 기반의 PC에 감염되는 악성코드들이 유포되는 방식들을 그대로 답습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안드로이드 악성코드가 금일 기존 윈도우 운영체제 기반의 PC에 감염되었던 허위 백신들과 유사한 형태로 유포되는 사례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허위 백신 형태의 악성코드는 최근 애플 맥(Mac) 운영체제 사용자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