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리눅스 시스템 공격에 사용되고 있는 Rekoobe 백도어 분석 Posted By Sanseo , 2023년 7월 3일 Rekoobe은 중국의 APT31 공격 그룹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백도어 악성코드이다. AhnLab Security Emergency response Center(ASEC)에서는 수년 전부터 국내 고객사들로부터 Rekoobe 악성코드가 꾸준하게 접수되고 있음에 따라 간략한 분석 정보를 공유한다. 또한 다양한 Rekoobe 변종들을 분류하고 국내 업체들을 대상으로 하는 공격에 사용된 Rekoobe 악성코드들을 함께 정리한다. 1. 개요 Rekoobe은 리눅스 환경을 대상으로 하는 백도어 악성코드이다. 2015년에 최초로 확인되었으며, [1] 2018년에는 업데이트된 버전이 공격에 사용되고 있는 사례가 존재한다. [2] ELF 포맷의 Rekoobe은 아키텍처가 x86, x64 그리고 SPARC인 것을 보아 주로 리눅스 서버를…
코인 마이너를 설치하는 Shc 리눅스 악성코드 Posted By Sanseo , 2022년 12월 27일 ASEC 분석팀은 최근 Shc로 개발된 리눅스 악성코드가 코인 마이너 악성코드를 설치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공격자는 부적절하게 관리되고 있는 리눅스 SSH 서버를 대상으로 사전 공격을 통해 인증에 성공한 뒤 다양한 악성코드들을 설치한 것으로 추정되며, Shc 다운로더 악성코드와 이를 통해 설치되는 XMRig 코인 마이너 그리고 Perl로 개발된 DDoS IRC Bot이 확인된다. 1. Shc (Shell Script Compiler) Shc는 Shell Script Compiler의 약자로서 Bash 쉘 스크립트를 ELF 실행 파일 포맷으로 변환해 주는 역할을 한다. Bash는 리눅스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기본 쉘로서 Bash 쉘이 지원하는 명령들은…
주요 방송사 및 은행 전산망 장애 유발 악성코드 분석 Posted By ASEC , 2013년 3월 21일 3월 20일 14시경 주요 방송사 및 은행 전산망 장애가 발생하는 사고가 한국에서 발생하였으며, ASEC에서는 악성코드 감염 후 디스크 손상으로 부팅 불가로 인해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현재 해당 악성코드는 운영체제에 따라 디스크를 손상시키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세한 디스크 손상 내용은 아래 분석 정보에 기술하였다. 해당 악성코드는 V3 엔진(엔진버전: 2013.03.20.06 이상)으로 업데이트 할 경우 검사 및 치료가 가능하며, 3월 20일 오후 6시경부터 제공 중인 전용백신으로도 검사 및 치료 할 수 있다. [UPDATE – 2013/03/25] 현재까지 ASEC에서 분석한 이번 주요 방송사 및 은행 전산망 장애를 유발한 악성코드는 다음 이미지와 같이 A 케이스와 B 케이스로 나누어서 발생하였다. 우선 위 이미지 좌측 편의 A 케이스에 사용되었던 파일들에 대한 세부 분석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드로퍼인 File A는 %Temp% 폴더에 다음 파일들을 생성하게 된다. 1) File B : MBR 파괴 기능…
어도비 플래쉬 플레이어 CVE-2013-0633 및 CVE-2013-0634 취약점 악용 Posted By ASEC , 2013년 2월 13일 어도비(Adobe)에서는 현지 시각으로 2월 7일 어도비 플래쉬 플레이어(Adobe Flash Player)에 존재하는 취약점인 CVE-2013-0633 및 CVE-2013-0634를 제거하기 위한 보안 패치를 배포 중임을 보안 권고문 “APSB13-04 Security updates available for Adobe Flash Player“를 통해 밝혔다. 이 번에 발견된 2개의 어도비 플래쉬 플레이어 취약점은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제로 데이(Zero-Day, 0-Day) 취약점이었다. 해당 제로 데이 취약점들은 특정 대상으로 상대로한 타깃 공격(Targeted Attack)과 웹 사이트를 통해 해당 취약점을 악용하는 플래쉬 파일(SWF)를 유포하는 것으로 공개되었다. 어도비에서는 해당 취약점들에 영향을 받는 플래쉬 플레이어 버전들은 다음과 같음을 밝히고 있다. 윈도우(Windows)와 맥킨토시(Macintosh) 설치 된 Adobe Flash Player 11.5.502.146 과 이전 버전 리눅스(Linux)에 설치된 Adobe Flash Player 11.2.202.261과 이전 버전 안드로이드(Android) 4.x 에 설치된 Adobe Flash Player 11.1.115.36와 이전 버전 안드로이드(Android) 3.x와 2.x 에 설치된 Adobe Flash Player 11.1.111.31와 이전 버전…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윈도우 악성코드 Posted By ASEC , 2012년 2월 3일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윈도우(Windows) 운영체제와 리눅스(Linux) 운영체제에서 모두 감염되어 동작하는 악성코드를 제작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많은 사항들을 고려해야 되는 문제임으로 쉽지 않은 사항이다. 특히나 모바일(Mobile) 운영체제와 일반 윈도우 PC 모두에 감염되어 동작하는 악성코드를 제작하기라는 것은 더욱 쉽지 않은 사항이다. 2012년 2월 3일 ASEC에서는 하루동안 전세계에서 수집되어 분석되었던 안드로이드(Android) 어플리케이션들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특이하게 특정 어플리케이션 내부에 윈도우 악성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번에 발견된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은 아래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아래 이미지의 붉은색 박스로 표기한 스크립트 파일인 about_habit.htm(123,196 바이트)를 내부에 포함하고 있다. 해당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 내부에 포함된 about_habit.htm는 일반적인 HTML 파일이 아니며 실제로는 비주얼 베이직 스크립트(Visual Basic Script)로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가지고 있다. 해당 비주얼 베이직 스크립트 파일은 svchost.exe(61,357 바이트) 파일명으로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감염되는 악성코드를 생성하고 실행하게 되었다. 그러나 해당 비주얼 베이직 스크립트 파일은 안드로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