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msuky

Kimsuky 그룹, 약력 양식 파일로 위장한 악성코드 유포 (GitHub)

AhnLab Security Emergency response Center(ASEC)에서는 특정 교수를 사칭하여 약력 양식 내용으로 위장한 워드 문서를 이메일을 통해 유포한 것을 확인했다. 확인된 워드 문서의 파일명은 ‘[붙임] 약력 양식.doc’이며 문서에는 암호가 설정되어 있는데 이메일 본문에 비밀번호가 포함되어 있다.       워드 문서 내에 악성 VBA 매크로가 포함되어 있으며 매크로 활성화 시 PowerShell을 통해  C2에 접속하여 추가 스크립트를 다운로드 및 실행한다.   최종적으로 실행되는 악성코드 유형은 뉴스 설문지로 위장하여 유포 중인 악성 워드 문서에서 확인된 유형과 일치하며 브라우저에 저장된 정보를 수집한다.   하지만,…

EDR을 활용한 CHM 악성코드 추적

AhnLab Security Emergency response Center(ASEC)은 최근 CHM(Compiled HTML Help File)을 이용한 APT 공격 사례를 공개하였다. CHM은 HTML 형식의 도움말 파일이며 HTML 파일을 내부에 포함하므로 공격자는 악의적인 스크립트 코드를 HTML에 삽입할 수 있다. 삽입된 스크립트는 운영체제 기본 응용 프로그램인 hh.exe를 통해 실행된다. 이처럼 공격자가 서명되어 있거나 운영체제에 기본으로 설치된 프로그램을 통해 악성코드를 실행하는 기법을 MITRE ATT&CK에서는 T1218 (System Binary Proxy Execution)이라 명명하였다. MITRE에서는 공격자가 T1218 기법을 이용하여 악성코드를 실행할 경우 서명된 바이너리 혹은 MS 기본 프로그램에서 악성코드가 실행되기 때문에 프로세스 및…

‘한독 합동 사이버 보안 권고’ 관련 안랩 대응 현황

3월 20일 오늘 대한민국 국가정보원(NIS)과 독일 헌법보호청(BfV)은 킴수키(김수키) 해킹조직과 관련한 합동 보안 권고문을 발표하였다. 합동 보안 권고문에 따르면, 킴수키 해킹조직은 크로미움 브라우저 확장프로그램과 안드로이드 앱 개발자 지원 기능을 악용하여 계정정보 절취(탈취) 공격을 하였다. 한반도•대북 전문가를 주요 공격타깃으로 하고 있으나, 전 세계 불특정 다수로 공격이 확대될 수 있다고도 하였다. 안랩은 합동 보안 권고문에 공개된 침해지표(IoC) 파일을 다음과 같이 진단한다. 침해지표 MD5 진단명 엔진버전 012d5ffe697e33d81b9e7447f4aa338b 설정 파일로서 진단대상 아님 – 51527624e7921a8157f820eb0ca78e29 Backdoor/JS.Agent.SC182439 2022.11.02.03 582a033da897c967faade386ac30f604 Backdoor/JS.Agent.SC182438 2022.11.02.03 04bb7e1a0b4f830ed7d1377a394bc717 Android-Trojan/Kimsuky 2022.10.27.00 89f97e1d68e274b03bc40f6e06e2ba9a Android-Trojan/FastSpy 2022.10.28.05…

사례비 지급 내용으로 위장한 OneNote 악성코드 (Kimsuky)

AhnLab Security Emergency response Center(ASEC)에서는 사례비 지급 내용으로 위장한 원노트(OneNote) 악성코드가 유포 중임을 확인하였다. 확인된 파일은 아래 블로그에 작성된 LNK 유형의 악성코드와 동일한 연구소를 사칭하고 있으며 실행되는 VBS 파일의 악성 행위가 유사한 것으로 보아 동일 공격 그룹의 소행으로 확인된다. 원 노트 파일 실행 시 다음과 같이 사례비 지급 내용을 담고 있으며, 한글 문서가 첨부된 것으로 보이는 위치를 클릭하도록 유도한다. 해당 위치에는 [그림 2]와 같이 한글 문서가 아닌 personal.vbs 명의 악성 스크립트 개체가 숨어 있다. 사용자가 이를 클릭하면 악성 VBS 파일이…

패스워드 파일로 위장하여 유포 중인 악성코드

AhnLab Security Emergency response Center(ASEC)은 지난 달 패스워드 파일로 위장하여 정상 문서 파일과 함께 압축 파일로 유포되는 악성코드를 확인하였다. 해당 유형의 악성코드는 정상 문서 파일을 함께 유포함으로써 사용자가 악성 파일임을 알아채기 어렵다. 최근 확인된 악성코드는 CHM과 LNK 형식으로, CHM의 경우 아래에 소개한 악성코드와 동일한 유형으로 같은 공격 그룹에서 제작한 것으로 보인다.   CHM과 LNK 파일은 모두 암호가 설정된 정상 문서 파일과 함께 압축되어 유포된 것으로 추정된다. 엑셀 및 한글 파일의 경우 암호가 설정되어 있어 사용자가 암호가 적힌 것으로 보여지는 CH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