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악성코드가 이용하는 취약점 패치 (Flash Player / Java ) 권고

■ 개 요 최근 다수의 웹페이지에 삽입된 악성스크립트로 인해 온라인게임계정을 탈취하는 Onlinegamehack 류의 악성코드에 감염되는 현상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현재 유포 중인 온라인게임핵류 악성코드는 OS 정상 시스템 파일을 교체함으로 치료가 매우 까다롭고, 악성코드의 버그 및 치료 방해 기능으로 인해 감염시 인터넷이 되지 않거나, 심할 경우 시스템 부팅이 되지 않는 증상이 발생하여 개인 및 기업에 심각한 피해를 입히고 있습니다. 이러한 악성코드 감염을 근본적으로 예방하고자, 온라인게임핵류 악성코드가 주로 이용하는 취약점 관련 어플리케이션  중 'Flash player', 'Java' 패치 방법 에 대해 IT 관리자 측면에서 사용자에게 패치를 적용시키는 방법을 공유하오니, IT 관리자분들은 아래 내용을 참고하시어 관련 업데이트를 적용하시길 권해드립니다. 1. Flash Player silent update guide Flash Player 최신버전 다운로드http://www.adobe.com/products/flashplayer/distribution.html상단의 링크에서 플랫폼에 맞는 설치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 Silent 모드 인스톨  flashplayer[version]_install.exe –install  참 고▶ Adobe Flash player 버전 확인http://www.adobe.com/kr/software/flash/about/▶ Adobe Flash player 기술지원http://helpx.adobe.com/kr/contact.html 2. Java(JRE)…

여러가지 취약점을 이용한 제우스봇 전파 메일 발견

2011년 12월 23일 국내에서 제우스 봇(Zeus Bot) 유포를 위해 여러가지 어플리케이션들의 취약점 악용 웹 페이지 접속을 유도하는 전자 메일이 발견되었다. 이 번에 유포된 해당 전자 메일의 제목은 “Fwd : I’m in trouble” 이며 본문은 아래와 같다.    I was at a party, got drunk, couldn’t drive the car, somebody gave me a lift on my car, and crossed on the red light! I’ve just got the pictures, maybe you know him??? Here is the photo I need to find him urgently! Thank you <보낸 사람> 유포된 전자 메일의 형태는 아래 이미지와 같다. 유포되는 메일 형식은 해외 보안 업체인 컴터치(Commtouch) 블로그 “The “I’m in trouble” massive malware outbreak“를 참고 할 경우 다른 유사 변형들도 상당수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 된다.  메일 수신자가 전자 메일 본문의 ‘Here is the…

광고성 html을 가장하여 악성코드를 다운로드하는 스팸메일 (2)

http://core.ahnlab.com/193 상기의 이전 글에서 최근 html 파일을 첨부하거나 html 링크를 삽입한 스팸메일을 통해 악성코드를 다운로드 하는 스팸메일의 형태를 살펴보았습니다.  이어서 난독화된 악성 스크립트를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상기와 같이 난독화된 악성 스크립트는 악성 스크립트 제작자가 제작한 루틴 및 사용되지 않는 쓰레기 코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디코딩 후 실제 악의적인 웹 페이지가 완성이 되게 됩니다.  최종 디코딩된 악성 스크립트는 MDAC[Microsoft Data Access Components], PDF, JAVA 취약점을 이용하여 악성코드를 로컬에 저장하고 실행하게 됩니다.    취약점을 이용한 파일 및 game.exe 파일은 아래와 같은 진단명으로 V3에서 진단/치료가 가능합니다. game.exe  -> Win-Trojan/Agent.26112.RQ Notes10.pdf  -> PDF/Exlpoit Applet10.html  ->HTML/Agent 다음 글에서 다운로드 된 game.exe 파일 실행 시 증상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4월의 중요 보안 업데이트 리스트

이번주에 악성코드와 관련된 다수의 보안 패치가 발표가 되었습니다. 아래 내용을 살펴보신 후 보안패치가 되어 있지 않으시다면 보안패치를 권장 드립니다. 1. 윈도우 보안 업데이트마이크로소프트는 4월 14일에 새로운 보안 공지 11개를 발표했습니다. 아직까지 보안 업데이트를 하지 않으신 분들은 아래 내용을 참고하시어 업데이트를 하시기 바랍니다.4월 공지 요약 : http://www.microsoft.com/korea/technet/security/bulletin/MS10-apr.mspx [윈도우 보안 업데이트 방법]1.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실행합니다.2. 메뉴에서 [도구] – [Windows Update] 를 선택하여 윈도우 업데이트 사이트로 이동 합니다.3. 윈도우 XP 이하의 버전에서는 [빠른 설치] 버튼을 눌러 설치를 계속 진행하며, Vista 이상의 버전에서는 윈도우 업데이트 프로그램이 실행되므로 업데이트를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추가로 윈도우가 정품이 아닌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에서는 업데이트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한국 인터넷 진흥원에서 운영하는 보호나라 사이트에서 “PC 보안 자동 업데이트”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해당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품이 아닌 사용자도 업데이트를 꼭 하시기 바랍니다.PC 보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