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크드인 스팸 메일과 결합된 블랙홀 웹 익스플로잇 툴킷 Posted By ASEC , 2012년 7월 19일 ASEC에서는 6월 5일 웹 익스플로잇 툴킷(Web Exploit Toolkit)의 일종인 블랙홀(Blackhole) 웹 익스플로잇 툴 킷이 스팸 메일(Spam Mail)과 결합되어 유포되었다는 사실을 밝힌 바가 있다. 금일 블랙홀 웹 익스플로잇 툴 킷과 결합된 스팸 메일이 다시 발견되었으며, 이 번에 발견된 스팸 메일은 사용자가 많은 유명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 서비스인 링크드인(LinkedIn)의 초대 메일로 위장하여 유포되었다. 이 번에 발견된 링크드인 스팸 메일과 결합된 형태로 유포된 블랙홀 웹 익스플로잇 툴킷은 아래 이미지와 같이 다양한 취약점들을 악용하고 있으며 최종적으로 감염된 PC에서 사용자 정보들을 탈취하기 위한 악성코드 감염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링크드인의 초대 메일로 위장해 유포된 스팸 메일은 아래 이미지와 같은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Accept] 부분은 정상적인 링크드인 웹 페이지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중국에 위치한 특정 시스템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해당 [Accept] 부분을 클릭하게 되면 중국에 위치한 특정…
구글 코드 웹 페이지로 유포된 Banki 트로이목마 변형 Posted By ASEC , 2012년 7월 18일 온라인 뱅킹에 사용되는 개인 금융 정보를 탈취하는 Banki 트로이목마 변형들이 지속적으로 유포되고 있는 것이 금일 새벽 다시 발견되었다. ASEC에서는 Banki 트로이목마 변형이 유포 중인 사실을 7월 11일과 16일 공개하였으며, 그 유포 방식에 있어서도 7월 11일 취약한 웹 사이트를 통해 웹 브라우저와 자바(JAVA) 취약점을 악용한 형태로 유포되었으며, 7월 16일 공개시에는 14일과 15일 주말 사이 사용자가 많은 웹 하드 프로그램의 웹 사이트를 통해 유포되었다. 금일 새벽 다시 발견된 Banki 트로이목마 변형은 아래 이미지와 같이 구글(Google)에서 운영하는 구글 코드 웹 페이지를 통해 유포되었다. ASEC은 구글 시큐리티(Google Security) 팀과 협력으로 현재 Banki 트로이목마 변형이 업로드 되어 있는 해당 구글 코드의 특정 웹 페이지 자체를 삭제한 상태이다. 이번 구글 코드의 특정 웹 페이지를 통해 유포된 Banki 트로이목마 변형은 기존에 발견된 변형들과 유사한 형태로 제작 및 구성 되어 있으며, 아래 이미지와 같은 형태로 동작하게…
웹 하드 설치 파일 변경으로 Banki 트로이목마 변형 유포 Posted By ASEC , 2012년 7월 16일 ASEC에서는 7월 11일 취약한 웹 사이트를 통해 온라인 뱅킹에 사용되는 개인 금융 정보 탈취를 목적으로하는 Banki 트로이목마 변형이 유포되었음을 공개하였다. 개인 금융 정보 탈취를 목적으로하는 Banki 트로이목마 변형이 7월 14일과 15일 주말 사이 사용자가 많은 웹 하드 프로그램 웹 사이트의 설치 파일을 변경하여 유포된 사례가 발견되었다. 이번에 유포된 Banki 트로이목마 변형은 보안 관리가 상대적으로 취약한 웹 하드 프로그램의 웹 사이트에서 배포 중인 설치 파일을 RARSfx로 악성코드와 정상 설치 파일을 압축한 파일을 배포 중인 정상 설치 파일과 변경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악성코드가 포함된 변경된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하도록 하였다. 정상 웹 하드 설치 파일을 변경하여 유포된 Banki 트로이목마 변형이 동작하는 전체적인 구조를 도식화 한 이미지는 아래와 같다. 웹 하드 프로그램의 웹 페이지에서 배포 중인 웹 하드 프로그램의 설치 파일은 RARSfx 파일로 압축된 파일로…
변형된 형태의 XML 코어 서비스 취약점(CVE-2012-1889) 악용 Posted By ASEC , 2012년 6월 28일 ASEC에서는 6월 26일 현재까지도 제로 데이(Zero Day, 0-Day) 취약점인 XML 코어 서비스 취약점(CVE-2012-1889)을 악용한 공격 사례들이 발생하고 있다고 공유한 바가 있다. 금일 해당 XML 코어 서비스 취약점을 악용한 다른 형태의 공격 사례가 발견되었으며, 해당 공격 사례는 XML 코어 서비스 뿐 만이 아니라 자바(JAVA)와 어도비 플래쉬(Adobe Flash) 취약점까지도 같이 악용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 번에 발견된 XML 코어 서비스 취약점을 악용한 사례는 블랙홀(Blackhole)과 같은 웹 익스플로잇 툴킷(Web Exploit Toolkit) 형태로 스크립트 악성코드들을 기능별로 분류하여 단계적으로 취약점을 악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단계적으로 취약점을 악용한 공격 형태는 아래 이미지와 같은 전체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어, 일부 스크립트들만 분석하여서는 전체적인 공격 및 취약점 형태를 파악하기 어렵도록 하고 있다. 현재 해당 XML 코어 서비스 취약점 등을 악용한 공격 형태는 SQL 인젝션(Injection) 공격 기법 등으로 취약한 웹 페이지의 하단에 Exploit.html…
스팸 메일과 결합된 웹 익스플로잇 툴킷 Posted By ASEC , 2012년 6월 5일 이메일에 첨부되어 스팸 메일(Spam Mail)처럼 유포되는 악성코드들은 대부분이 ZIP으로 압축된 EXE 파일이 첨부되거나 EXE 또는 SCR 등의 파일 확장자를 가진 첨부 파일 형태로 유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최근에 와서는 이메일 본문에 단축 URL(URL Shortening) 또는 하이퍼 링크를 제공하여, 특정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웹 사이트 또는 피싱(Phishing) 웹 사이트로 연결을 유도하는 형태들도 발견되고 있다. 금일 새벽 국내에 유명 IT 업체인 HP를 사칭하여 악성코드 감염을 유도하는 악의적인 스팸 메일들이 대량으로 유포되었다. 이번에 유포된 악성코드 감염을 목적으로하는 악의적인 스팸 메일은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가지고 있다. * 메일 제목 – 다음 중 하나 Scan from a HP ScanJet #[임의의 숫자열] Scan from a Hewlett-Packard ScanJet #[임의의 숫자열] Scan from a Hewlett-Packard ScanJet [임의의 숫자열] * 메일 본문 Attached document was scanned and sent to you us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