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net Explorer

마이크로소프트 2012년 6월 보안 패치 배포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서 2012년 5월 한 달 동안 해당 업체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에서 발견된 보안 취약점들을 제거하기 위해 보안 패치를 2012년 6월 13일 배포하였다. 이번에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배포된 보안 패치들은 총 7건으로 다음과 같다.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36 – 긴급 원격 데스크톱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685939)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37 – 긴급 Internet Explorer 누적 보안 업데이트 (2699988)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38 – 긴급 .NET Framework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706726)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39 – 중요 Lync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707956)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40 – Important Vulnerability in Microsoft Dynamics AX Enterprise Portal Could Allow Elevation of Privilege (2709100)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41 – 중요 Windows 커널 모드 드라이버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점…

독일 은행을 노리는 스파이아이 변형 발견

ASEC에서는 4월 4일 온라인 뱅킹 정보 탈취를 위해 제작된 스파이아이(SpyEye) 트로이목마가 이제는 온라인 뱅킹외에 다양한 국가에 위치한 다양한 산업군의 웹 사이트들에서 사용자 계정 정보들의 탈취를 노린다는 정보를 전달한 바가 있다. 이러한 스파이아이 트로이목마가 감염 형태가 기존에 발견되었던 스파이아이 변형들과 다른 새로운 형태의 스파이아이 변형이 발견되었다. 이 번에 발견된 스파아이 트로이목마는 전체적인 동작면에서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미루어 현재까지 언더그라운드에 공개된 다양한 온라인 뱅킹 정보 탈취 트로이목마들의 소스코드 중 스파이아이의 소스코드를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추가적으로 ASEC에서는 2012년 5월 중순부터 해당 새로운 스파이아이 트로이목마 변형이 유포되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되며, 그리고 웹 익스플로잇 툴킷(Web Exploit Toolkit)의 한 종류인 블랙홀 익스플로잇 툴킷(Blackhole Exploit Toolkit)에 의해 유포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해당 스파이아이 트로이목마에 감염되면 감염된 시스템에서 실행 중인 정상 윈도우 시스템 파일 explorer.exe의 프라이빗 메모리(Private Memory) 영역에 자신의…

김정일 위원장 사망을 악용한 애드웨어 유포 시도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는 유명 인사들의 사망 등을 악용하는 사회 공학(Social Engineering) 기법으로 악성코드가 유포되는 사례는 과거에도 지속적으로 발견되었다. 이러한 사례들로는 2011년에만 5월 테러 조직인 알카에다의 지도자인 오사마 빈 라덴(Osama Bin Laden) 사망 소식과 10월 애플(Apple) CEO인 스티브 잡스(Steve Jobs)의 사망을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 사례들이 있었다. 2011년 12월 19일 북한의 방송을 통해 김정일 위원장의 사망 소식이 전 세계에 알려진지 만 하루가 지난 금일 김정일 위원장의 사망을 악용한 애드웨어 유포가 사례가 발견되었다. 해당 애드웨어는 아래 이미지와 같은 유명 동영상 관련 웹 사이트 유튜브(You Tube)를 통해 김정일 위원장의 사망과 관련한 동영상을 시청하기 위해서는 본문의 단축 URL(URL Shortening)을 클릭하도록 유도 하고 있다. 해당 단축 URL을 클릭하게 되면 아래 웹 사이트와 같이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것으로 위장하고 있는 웹 사이트로 연결하게 된다. 해당 웹 사이트에서는 다시 정상적인…

마이크로소프트 2011년 12월 보안 패치 배포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서 2011년 11월 한달 동안 해당 업체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에서 발견된 보안 취약점들을 제거하기 위해 보안 패치를 2011년 12월 14일 배포하였다. 이번에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배포된 보안 패치들은 총 13건으로 다음과 같다.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1-087 – Critical Vulnerability in Windows Kernel-Mode Drivers Could Allow Remote Code Execution (2639417)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1-088 – Important Vulnerability in Microsoft Office IME (Chinese) Could Allow Elevation of Privilege (2652016)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1-089 – Important Vulnerability in Microsoft Office Could Allow Remote Code Execution (2590602)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1-090 – Critical Cumulative Security Update of ActiveX Kill Bits (2618451)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1-091 – Important Vulnerabilities in Microsoft Publisher Could Allow Remote Code Execution (2607702)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1-092 – Critical Vulnerability in Windows Media…

국내 연예인 사생활 동영상으로 위장한 악성코드 유포

최근 국내 유명 연예인인 A양을 촬영한 것으로 알려진 사생활 동영상이 유포되어 사회적으로 큰 이슈를 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인 큰 이슈를 악용하여 2011년 12월 8일 저녁 국내에서도 많은 사용자가 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인 트위터(Twitter) 등을 통해 해당 연예인의 사생활 동영상으로 위장한 악성코드가 유포 되었다. 해당 트위터 계정은 비교적 최근에 생성한 것으로 보여지며, 해당 계정의 사용자에 대해 자세한 사항들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다른 일반적인 내용 없이 위 이미지와 같이 유명 연예인의 동영상 파일로 위장한 ZIP 압축 파일을 다운로드하도록만 유도하고 있다. 해당 URL을 복사하여 웹 브라우저에서 다운로드를 시도하게 되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삭제] 아나운서 2분50초짜리.zip.zip(6.67MB)” 파일이 다운로드 된다. 다운로드 된 ZIP 압축 파일의 압축을 풀게 되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다수의 JPG 이미지 파일과 SFX로 압축된 EXE 파일이 존재한다. 그리고 텍스트 파일에서는 압축 파일에 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