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net Explorer

인터넷 익스플로러 취약점 악용으로 유포된 관리자 계정 탈취 악성코드 변형

이번 악성코드의 유포방식은 10월에 알려진 변형들은 IE 제로데이 취약점을 사용하였다.  2013년 10월9일 보안패치가 나온 것을 감안 하면 그 이전부터 유포가 진행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취약점 패치를 하지 않은 PC에는 여전히 유포 가능성이 존재한다. 아울러, CDN 서비스 업체인 G사를 통해 서비스 운영 중인 웹 사이트가 악성코드 배포지 중 일부로 악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3-080 – 긴급 Internet Explorer 누적 보안 업데이트 (2879017) 아래 그림은 IE 제로데이 취약점을 통해 감염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낸다. 붉은색 블록으로 표시한 파일이 실제 핵심적인 기능을 수행하며, “악성코드 다운로드” 및 “관리자 페이지 계정정보 유출” 기능을 갖고 있다.  위 그림에 존재하는 swf.js는 guy2.html 파일을 iframe 태그로 로딩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guy2.html 은 다음의 2가지 기능을 가지고 있다.  – 특정 국산 백신들에 대한 무력화 시도  – 특정 사이트로부터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실행 swf.js는…

마이크로소프트 2012년 10월 보안 패치 배포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서 2012년 9월 한 달 동안 해당 업체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에서 발견된 보안 취약점들을 제거하기 위해 보안 패치를 2012년 10월 10일 배포하였다. 이번에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배포된 보안 패치들은 총 7건으로 다음과 같다.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64 – 긴급 Microsoft Word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742319)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65 – 중요 Microsoft Works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754670)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66 – 중요 HTML 삭제 구성 요소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점 (2741517)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67 – 중요 FAST Search Server 2010 for SharePoint의 구문 분석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2742321)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68 – 중요 Windows 커널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점 (2724197)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69 – 중요 Kerberos의 취약점으로 인한 서비스…

마이크로소프트 MS12-063 긴급 보안 패치 배포

ASEC에서는 9월 18일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의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에 존재하는 알려지지 않은 제로 데이(Zero-Day, 0-Day)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가 유포되었다는 소식을 전하 바가 있다. 한국 시각으로 9월 22일 마이크로소프트에서는 해당 CVE-2012-4969 취약점을 제거하기 위한 긴급 보안 패치를 보안 권고문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63 – 긴급 Internet Explorer 누적 보안 업데이트 (2744842)“를 통해 배포 한다고 공개하였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현재 MS12-063(CVE-2012-4969) 취약점을 악용하는 악성코드들이 국내에서도 유포 중에 있다. 그러므로 지금 즉시 해당 긴급 보안 패치를 설치하여 해당 취약점을 악용하는 악성코드들의 감염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마이크로소프트의 보안 패치 설치는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 사용자들의 경우 아래 웹 사이트를 통해 진행 할 수 있다.  마이크로소프트 업데이트

마이크로소프트 2012년 8월 보안 패치 배포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서 2012년 7월 한 달 동안 해당 업체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에서 발견된 보안 취약점들을 제거하기 위해 보안 패치를 2012년 8월 15일 배포하였다. 이번에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배포된 보안 패치들은 총 9건으로 다음과 같다.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52 – 긴급 Internet Explorer 누적 보안 업데이트 (2722913)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53 – 긴급 원격 데스크톱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723135)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54 – 긴급 Windows 네트워킹 구성 요소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733594)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55 – 중요 Windows 커널 모드 드라이버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점 (2731847)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56 – 중요 JScript 및 VBScript 엔진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706045)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57 – 중요 Microsoft Office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링크드인 스팸 메일과 결합된 블랙홀 웹 익스플로잇 툴킷

ASEC에서는 6월 5일 웹 익스플로잇 툴킷(Web Exploit Toolkit)의 일종인 블랙홀(Blackhole) 웹 익스플로잇 툴 킷이 스팸 메일(Spam Mail)과 결합되어 유포되었다는 사실을 밝힌 바가 있다. 금일 블랙홀 웹 익스플로잇 툴 킷과 결합된 스팸 메일이 다시 발견되었으며, 이 번에 발견된 스팸 메일은 사용자가 많은 유명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 서비스인 링크드인(LinkedIn)의 초대 메일로 위장하여 유포되었다. 이 번에 발견된 링크드인 스팸 메일과 결합된 형태로 유포된 블랙홀 웹 익스플로잇 툴킷은 아래 이미지와 같이 다양한 취약점들을 악용하고 있으며 최종적으로 감염된 PC에서 사용자 정보들을 탈취하기 위한 악성코드 감염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링크드인의 초대 메일로 위장해 유포된 스팸 메일은 아래 이미지와 같은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Accept] 부분은 정상적인 링크드인 웹 페이지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중국에 위치한 특정 시스템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해당 [Accept] 부분을 클릭하게 되면 중국에 위치한 특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