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net Explorer (MDAC) Remote Code Execution Exploit

광고성 html을 가장하여 악성코드를 다운로드하는 스팸메일 (2)

http://core.ahnlab.com/193 상기의 이전 글에서 최근 html 파일을 첨부하거나 html 링크를 삽입한 스팸메일을 통해 악성코드를 다운로드 하는 스팸메일의 형태를 살펴보았습니다.  이어서 난독화된 악성 스크립트를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상기와 같이 난독화된 악성 스크립트는 악성 스크립트 제작자가 제작한 루틴 및 사용되지 않는 쓰레기 코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디코딩 후 실제 악의적인 웹 페이지가 완성이 되게 됩니다.  최종 디코딩된 악성 스크립트는 MDAC[Microsoft Data Access Components], PDF, JAVA 취약점을 이용하여 악성코드를 로컬에 저장하고 실행하게 됩니다.    취약점을 이용한 파일 및 game.exe 파일은 아래와 같은 진단명으로 V3에서 진단/치료가 가능합니다. game.exe  -> Win-Trojan/Agent.26112.RQ Notes10.pdf  -> PDF/Exlpoit Applet10.html  ->HTML/Agent 다음 글에서 다운로드 된 game.exe 파일 실행 시 증상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