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축 URL을 이용해 트위터로 유포 중인 피싱 웹사이트 Posted By ASEC , 2012년 1월 26일 2012년 1월 26일 해외를 중심으로 유명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인 트위터(Twitter)의 메시지를 통해 트위터 사용자 계정과 암호를 수집하기 위한 용도의 피싱(Phishing) 시도가 발견되었다. 이 번에 발견된 트위터에서 피싱 시도는 처음으로 있는 일이 아니며 2010년 2월 24일 트위터의 다이렉트 메시지(Direct Message)의 단축 URL(URL Shortening)을 이용해 피싱 웹 사이트로 접속을 유도한 사례가 있다. 금일 발견된 트위터에서의 피싱 웹 사이트로 접속을 유도하는 방식은 기존과 동일하게 단축 URL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호기심을 가질만한 내용으로 위장하고 있다. 해당 트위터 메시지에 포함된 단축 URL을 클릭하게 되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트위터 사용자 로그인 페이지와 유사한 웹 사이트로 연결된다. 그러나 실제 해당 웹 사이트는 트위터 사용자 로그인 페이지로 위장하여 트위터 사용자 계정와 로그인 암호를 수집하기 위해 정교하게 제작된 피싱 웹 페이지이다. 그리고 입력되는 사용자 계정과 로그인…
트위터의 Direct Message을 이용한 사이트 전파 사례 (유사한 방법으로 피싱 메시지 악용 가능) Posted By ASEC , 2010년 9월 3일 1. 서론 최근 가장 활발한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소셜 네트워크서비스(SNS)인 트위터(Twitter)를 통해 다수의 사이트를 전파하는 사례가 발견되고 있습니다. 트위터의 DM기능을 이용하여 자신의 모든 팔로워(follower)들에게 해당 링크로 연결시켜주는 메시지를 발송하게 됩니다. 이와같은 방법이 피싱메시지 전송으로 악용이 된다면 트위터 계정정보 탈취와 같은 문제를 유발할수 있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2. 링크 유도 방법 및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