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CA

어도비 플래쉬 플레이어 CVE-2013-0633 및 CVE-2013-0634 취약점 악용

어도비(Adobe)에서는 현지 시각으로 2월 7일 어도비 플래쉬 플레이어(Adobe Flash Player)에 존재하는 취약점인 CVE-2013-0633 및 CVE-2013-0634를 제거하기 위한 보안 패치를 배포 중임을 보안 권고문 “APSB13-04 Security updates available for Adobe Flash Player“를 통해 밝혔다. 이 번에 발견된 2개의 어도비 플래쉬 플레이어 취약점은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제로 데이(Zero-Day, 0-Day) 취약점이었다. 해당 제로 데이 취약점들은 특정 대상으로 상대로한 타깃 공격(Targeted Attack)과 웹 사이트를 통해 해당 취약점을 악용하는 플래쉬 파일(SWF)를 유포하는 것으로 공개되었다. 어도비에서는 해당 취약점들에 영향을 받는 플래쉬 플레이어 버전들은 다음과 같음을 밝히고 있다. 윈도우(Windows)와 맥킨토시(Macintosh) 설치 된 Adobe Flash Player 11.5.502.146 과 이전 버전 리눅스(Linux)에 설치된 Adobe Flash Player 11.2.202.261과 이전 버전  안드로이드(Android) 4.x 에 설치된 Adobe Flash Player 11.1.115.36와 이전 버전 안드로이드(Android) 3.x와 2.x 에 설치된 Adobe Flash Player 11.1.111.31와 이전 버전…

한글 파일 제로 데이(Zero-Day) 취약점 악용 공격

2012년도에는 한글과 컴퓨터에서 개발하는 한글 소프트웨어에 존재하는 취약점을 악용한 타깃 공격(Target Attack)이 예년에 비해 비교적 크게 증가하였다. 이 중에는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제로 데이(Zero Day, 0-Day)을 악용한 공격 형태도 2012년 6월과 11월에 발견될 정도로 한글 소프트웨어 취약점을 악용한 공격의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다. 2012년 6월 – 한글 제로데이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 2012년 11월 – 국방 관련 내용의 0-Day 취약점 악용 한글 파일 이러한 한글 소프트웨어에 존재하는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제로 데이 취약점을 악용한 공격이 1월 25일경 다시 발견되었다. 이 번에 발견된 한글 소프트웨어의 제로 데이 취약점을 악용하는 취약한 한글 파일은 아래 이미지와 같이 다수의 개인 정보를 포함한 형태로 발견되었다. 해당 취약한 한글 파일은 아래 이미지와 동일한 같은 구조를 갖고 있으며, 이 중 “BinData” 항목의 “BIN0001.bmp” 라는 비정상적인 이미지를 파싱하는 과정에서 취약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로…

연봉 계약서로 위장한 취약한 한글 파일 발견

ASEC에서는 지속적으로 국내 관공서 등에서 많이 사용되는 한글 소프트웨어의 취약점을 악용하여 악성코드 감염을 시도하는 공격에 대해 알린 바가 있다. 이러한 한글 소프트웨어의 취약점을 악용하는 공격 형태는 10월 24일 대통령 선거 공약 관련 내용으로도 유포 된 바가 있다. 10월 25일에는 일반 기업들의 연봉 계약서 내용으로 위장하여 유포된 취약한 한글 파일이 발견되었다.  이 번에 발견된 취약한 한글 파일은 “연봉계약서.hwp (1,015,812 바이트)” 라는 파일명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열게 되면 아래 이미지와 같은 내용을 가지고 있다. 해당 취약한 한글 파일은 HwpApp.dll에 존재하는 문단 정보를 파싱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버퍼 오버플 로우로 인한 코드 실행 취약점이다. 해당 취약점은 2012년 6월에 발견되었으며, 당시 제로 데이(Zero-Day,0-Day) 취약점으로 발견되었다. 해당 취약한 한글 파일이 열리게 되면, 사용자 모르게 백그라운드로 “system32.dll (81,920 바이트)”를 다음 경로에 생성하게 된다. C:Documents and SettingsTesterLocal SettingsTempsystem32.dll 그리고 생성한 system32.dll 는…

국방 관련 내용을 담은 취약한 한글 파일 발견

2012년 하반기로 접어들면서 국내 관공서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한글 소프트웨어의 취약점을 악용하여 악성코드 감염을 시도하는 사레가 지속적으로 발견되고 있다. 특히 2012년 6월과 10월에는 한글 소프트웨어에 존재하는 알려지지 않은 제로 데이(Zero-Day, 0-Day) 취약점을 악용하는 사례들도 발견되었다. 10월 15일과 16일 다시 국내에서 국방 관련 내용을 가지고 있는 취약한 한글 파일들이 발견되었으며, 이 번에 발견된 취약한 한글 파일은 총 2개로 “군환경교육계획(2012).hwp (1,044,996 바이트)”와 “우리도 항공모함을 갖자.hwp (240,285 바이트)”의 파일명으로 유포되었다. 취약한 한글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해당 취약한 한글 파일들을 열게 될 경우에는, 아래 이미지와 같이 국방 관련 내용이 나타나게 된다. 해당 취약한 한글 파일들은 기존에 이미 알려진 HncTextArt_hplg 또는 HncApp.dll 관련 버퍼 오버플로우(Buffer Overflow)로 인한 코드 실행 취약점들을 악용하고 있다. 첫 번째 취약한 한글 파일인 군환경교육계획(2012).hwp 을 열게 되면, 백그라운드로 “system32.dll (65,536 바이트)” 가 다음 경로에 생성 된다. C:Documents and Settings[사용자 계정명]Local…

대만 기상청을 대상으로한 타겟 공격 발견

어도비 리더(Adobe Reader)와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Microsoft Office)와 같은 전자 문서에 존재하는 취약점을 악용하여 악성코드 감염을 시도하는 사례들은 지속적으로 발견되고 있다. 10월 17일 ASEC에서는 대만의 기상청 내부 직원을 대상으로한 타겟 공격(Targeted Attack)이 발생하였음을 발견하였다. 이번 대만 기상청의 내부직원을 대상으로한 타겟 공격은 아래 이미지와 동일한 이메일을 통해 진행되었다.  해당 이메일들에는 첨부된 전자 문서는 “個人資料同意申請書.doc (247,200 바이트)”,  “中央氣象局颱風資料庫研究用帳號申請表.doc (248,224 바이트)” 그리고 “國立中央大學大氣科學系通訊錄.xls (146,432 바이트)” 파일이 첨부되어 있었다. 첨부된 전자 문서 파일들은 개인정보 동의 신청서와 기상 관련 자료들 인것으로 위장하여 이메일의 수신인이 문서를 열어보기 쉬운 파일명을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워드 문서의 경우에는 CVE-2012-0158 취약점을 악용하며 보안 권고문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27 – 긴급 Windows 공용 컨트롤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664258)” 을 통해 이미 보안 패치가 배포 중인 알려진 취약점이다. 그리고 취약한 전자 문서 파일들은 공통적으로 원격 제어가 가능한 백도어 형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