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EC 보안 위협 동향 리포트 2012 Vol.29 발간 Posted By ASEC , 2012년 7월 10일 안랩 ASEC에서 2012년 5월 국내,외에서 발생한 다양한 보안 위협 이슈와 동향들을 정리한 ASEC 리포트 2012 Vol.29을 발간하였다. 이 번에 발간된 ASEC 리포트는 2012년 5월 주요 보안 위협 이슈들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있다. 1) 악성코드 이슈 이력서로 위장한 악성코드 LinkedIn 스팸 메일을 위장한 악성코드 유포 DHL운송 메일로 위장한 악성코드 런던 올림픽 개최를 이용한 악성코드 ws2help.dll 파일을 패치하는 온라인게임핵 변종 악성코드 AV Kill 기능을 가진 온라인게임핵 악성코드 플래시 플레이어의 제로데이 취약점(CVE-2012-0779)을 이용하는 악성코드 Python으로 제작된 맥 악성코드 프로그램 설치 화면 놓치지 마세요 어린이날에도 쉬지 않는 악성코드 제작자 2) 모바일 악성코드 이슈 안드로이드 Notcompatible 악성코드 발견 어도비 플래시 플레이어로 위장한 안드로이드 악성 앱 허위 안드로이드 모바일 백신 유포 허위 유명 안드로이드 앱 배포 웹 사이트 Talking Tom Cat 사이트로 위장한 앱 사이트를 통해 유포되는 악성코드…
[악성스팸경보] FedEx 메일을 위장한 악성스팸! Posted By ASEC , 2011년 5월 9일 빈번하게 발견되는 악성코드를 첨부한 악성 스팸 메일은 facebook, twitter 등의 소셜네트워크 뿐만 아니라DHL, UPS, FedEx 등과 같은 택배회사를 위장하여 악성 스팸 메일을 유포하는 사례가 다수 발견되고 있다. 이 번에 FedEx 메일로 위장하여 악성코드를 첨부한 스팸메일이 발견되어 사용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아래 링크는 블로그를 통해 기존에 FedEx 메일로 위장한 악성 스팸에 대해 포스팅 된 글이다. 2009/10/20 Fedex Tracking [숫자] 참고로, UPS, DHL 등의 메일로 위장한 악성스팸도 다수 발견되고 있으며 블로그에 게시된 글들은 아래와 같다. 2010/07/02 UPS #(숫자) 제목의 악성스팸메일 주의하세요! 2010/01/12 UPS Delivery Problem NR.숫자 (2) 2009/11/06 [주의] “UPS Delivery Problem” 스팸 메일 (2) 2009/10/28 “UPS Invoice 5305325782943” 스팸 메일 주의! (1) 2009/11/11 [악성 스팸메일 주의!] “DHL Tracking Number 3YMH6JJY” (1) 2009/10/20 DHL service. Please get your parcel. Delivery NR.[숫자] (9) 2009/10/16 DHL…
“Hello” 제목의 악성코드를 첨부한 스팸메일 주의! Posted By ASEC , 2010년 8월 4일 “Hello”라는 제목으로 악성코드를 첨부한 스팸메일이 유포되고 있어 사용자들의 주의가 당부됩니다. 메일 본문은 간단 명료하게 첨부된 파일을 확인하라는 내용입니다. Facebook 패스워드 변경, DHL 운송 메일 등 사용자를 현혹하기 위해 많은 문구와 이미지를 썼는데 이번에는 1문장으로 끝이네요 ^^;; Please find attached the new Word document. 첨부된 압축파일을 압축해제하면 아래와 같이 doc 문서 파일인 것처럼 위장한 악성코드를 확인하실 수 있으며 V3 제품으로 아래와 같은 진단명으로 진단/치료가 가능합니다. Win-Trojan/Agent.14848.TT [그림1] 스팸메일에 첨부된 악성코드 [그림2] 첨부 파일 실행 시 접속되는 IP의 위치 스팸메일을 통해 전파되는 악성코드 감염으로부터 예방하기 위해 항상 아래와 같은 사항을 준수해 주시기 바랍니다. 1. 발신인이 불분명한 메일일 경우 가급적 메일을 확인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2. 안티바이러스(백신)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항상 최신 엔진을 유지하며, 실시간 감시 기능을 사용합니다. 3. 메일 내에 포함된 첨부파일에 대해 안티바이러스(백신)…
Please attention! – DHL 메일로 위장한 스팸메일 주의! Posted By ASEC , 2010년 4월 23일 악성코드를 퍼뜨리는 스팸메일의 대명사, DHL 이 다시 등장했습니다. 이번 스팸메일에 사용된 제목은 Please attention! 입니다. 아래의 메일 본문을 확인해보시고 비슷한 유형의 메일 첨부파일은 절대로 실행하지 마세요! Dear customer! The courier company was not able to deliver your parcel by your address. Cause: Error in shipping address. You may pickup the parcel at our post office personaly. Please attention! The shipping label is attached to this e-mail. Print this label to get this package at our post office. Please do not reply to this e-mail, it is an unmonitored mailbox! Thank you, DHL Delivery Services. 첨부된 압축파일을 해제하면 아래의 파일이 나옵니다. 이번에는 ini 파일 아이콘으로 위장하여 실행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위 스팸메일의 첨부파일은 V3에서 Win-Trojan/Downloader.135680.U 로 진단가능합니다. 항상 아래와…
“DHL…”과 “YOUR TEXT” 악성 스팸메일 경고! Posted By ASEC , 2010년 4월 2일 4월 2일자로 발송된 악성 파일을 첨부한 스팸메일이 확인되어 알려드립니다. 3개의 악성스팸메일이 확인되었는데 두 개는 우리의 단골 손님 DHL을 가장한 악성스팸메일입니다. DHL Services. Get your parcel NR.9195DHL Express. Please get your parcel NR.8524 DHL을 위장한 메일 외 아래와 같은 악성스팸메일이 유포되고 있습니다. YOUR TEXT 악성스팸메일들의 제목 및 본문 등 자세한 내용은 아래 그림들을 참조해 주세요. 첨부된 악성 파일들을 다운로드하여 압축해제하면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워드 문서 아이콘으로 사용자에게 워드 문서인 것 처럼 보이게 합니다. 각각의 첨부된 파일들은 V3에서 아래와 같은 진단명들로 진단이 가능합니다. 파일명 : DHL_label_5893.exe 진단명 : Dropper/Malware.59392.GC 파일명 : File.exe 진단명 : Win32/MyDoom.worm.32256 항상 아래와 같은 사항을 유의하여 메일을 통해 유포되는 악성코드로 부터 피해를 예방하시기 바랍니다. 1. 발신인이 불분명한 메일일 경우 가급적 메일을 확인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2. 안티바이러스(백신) 프로그램을 설치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