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VE-2018-15982

프로필 양식 위장한 한글문서 (OLE개체)

ASEC 분석팀은 최근 OLE 개체 및 플래쉬 취약점 이용한 악성 한글 문서를 확인하였다. 해당 취약점은 2020년 공유한 <한글문서(HWP) 내부 플래쉬 취약점 이용한 새로운 공격> 게시글에서 소개되었으며, 이번에 확인된 파일에도 당시와 동일한 악성 URL을 사용하고 있다. 해당 URL에는 여전히 플래시 취약점(CVE-2018-15982) 파일이 업로드되어 있어 사용자의 주의가 필요하다. 확인된 한글 파일 내부에는 OLE 개체가 삽입되어 있으며 해당 파일들은 한글 문서 실행 시 %TEMP% 폴더에 생성된다. 생성되는 파일은 다음과 같다. 기존에 알려진 powershell.exe, mshta.exe 파일을 바로 이용하지 않고, %TEMP% 경로에 복사하여 이용한 점은…

한글문서(HWP) 내부 플래쉬 취약점 이용한 새로운 공격

ASEC 분석팀은 한글문서에 플래시 취약점(CVE-2018-15982) 개체를 삽입한 형태의 새로운 공격 정황을 자사 ASD(AhnLab Smart Defense) 인프라를 통해 확인하였다. 최근까지 공격자가 악성 OLE 개체를 한글문서에 삽입하여 유포하는 방식은 여러차례 블로그를 통해서 소개(https://asec.ahnlab.com/ko/1354, https://asec.ahnlab.com/ko/1400)한 바 있다. 이번에 확인된 플래시 취약점 활용한 사례를 통해서 공격자는 VBS(Visual Basic Script), JS(JavaScript) 뿐만 아니라 SWF(Shock Wave Flash) 등 다양한 스크립트 형태의 포맷들을 한글 문서 내에 OLE 개체로 삽입하여 유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글문서는 다음과 같은 파일명을 통해 유포된 것으로 확인 되었다. 통일한국포럼 – 참가자 사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