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ZW 랜섬웨어 국내 유포 중 Posted By kwonxx , 2023년 1월 18일 ASEC 분석팀은 최근 내부 모니터링을 통해, 파일 암호화 후 원본 확장자 이름에 “TZW” 확장자를 추가하는 TZW 랜섬웨어가 유포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해당 랜섬웨어는 버전 정보 상 “System Boot Info” 라고 명시하여 부트 정보 관련 프로그램인 것처럼 정상 파일로 위장하여 유포되고 있다. 닷넷 형태로 제작되었으며 내부에 로더와 실제 랜섬웨어 데이터를 포함한다. 로더를 통해 랜섬웨어 파일을 최종적으로 로드하여 실행하는 구조이다. 리소스 영역의 존재하는 데이터 중 ‘dVvYsaL’를 메모리 상에서 디코딩하여 파일을 실행시키는데 이 데이터가 바로 로더와 랜섬웨어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방식은 기존 ASEC…
랜섬웨어와 함께 설치되는 DDoS 악성코드 Nitol Posted By ASEC , 2015년 4월 29일 4월 21일 이슈된 CryptoLocker 의 변종파일이 4월 28일 발견되었다. 특이한 점은 기존에 확인된 랜섬웨어 기능외에 DDoS 공격목적의 실행파일이 추가로 확인되어 주의가 필요하다. 1. 랜섬웨어 기능 엑셀 아이콘 모양으로 제작된 악성코드를 실행 시, 아래의 [그림-1]의 (2)번째 단계에서 처럼 “explorer.exe” 프로세스가 실행되며, 해당 프로세스 메모리에 랜섬웨어 기능의 실행파일이 Injection 되어 동작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해당 랜섬웨어는 국내 커뮤니티 사이트인 C업체 광고배너를 통해 유포된 것과 동일한 형태이며, 접속시도하는 사이트는 다음과 같다. – tidisow.ru [그림-1] 악성 기능별 인젝션 대상 프로세스 해당 랜섬웨어의 상세 기능은 하기의 글을 참고 – http://asec.ahnlab.com/1030 2. DDoS 기능 기존 알려진 랜섬웨어 기능외에 해당 샘플은 DDoS 공격기능의 실행파일을 구동하는 특징을 갖는다. 구체적 DDoS 공격방식은 Nitol 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악성코드와 동일하며, 아래의 C&C 주소와의 통신을 통해 공격자의 명령에 따라 파일 다운로드 및…
한국을 목표로 한 랜섬웨어, CryptoLocker 상세정보 Posted By ASEC , 2015년 4월 29일 1. 개요 랜섬웨어는 사용자 시스템에 설치된 후 파일들을 암호화해서 정상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고 이를 정상적으로 돌려준다는 조건으로 비트코인 또는 추적이 어려운 전자 화폐를 통한 금액 지불을 요구하는 악성코드이다. 주로 국외에서 확산되면서 많은 피해자를 양산했는데 최근 몇 년 사이에 국내에서도 랜섬웨어에 감염된 사용자가 증가하였으며 그 중 국내 유명 인터넷 커뮤니티 사이트를 통해 유포된 CryptoLocker 에 대한 분석 정보를 공유하고자 한다. 최근에 발견된 ‘CryptoLocker’는 [그림-1]에서 볼 수 있듯이 과거 2013년 9월에 처음 발견이 되었으며 ‘CryptoWall’, ‘TorrentLocker’, ‘CryptographicLocker’, ‘TeslaCrypt’ 등의 이름으로 변형들이 계속해서 나타났다. 주로 이메일을 통해 유포되던 랜섬웨어 악성코드가 최근 국내 인터넷 커뮤니티 사이트를 이용해 유포되었고 해당 랜섬웨어인 ‘CryptoLocker’ 도 과거의 그것들과 같은 류이다. [그림-1] 주요 랜섬웨어 타임라인 이번 랜섬웨어에 감염되면 나타나는 페이지는 [그림-2]와 같은데 암호화된 파일들을 복원하기 위해 한화…
한국을 목표로 한 랜섬웨어, CryptoLocker Posted By ASEC , 2015년 4월 21일 금일 한국의 인터넷 사용자를 노린 랜섬웨어가 인터넷 커뮤니티 사이트에서 유포되었다. 러시아, 동유럽 국가 등에서 등장한 랜섬웨어는 서유럽, 미국 등으로 확산되어 많은 피해자를 양산하였다. 최근 몇 년 사이 한국에서도 랜섬웨어 악성코드에 감염된 사용자가 증가 하였으며, ASEC블로그에서 랜섬웨어 악성코드, 예방Tip등을 소개한 바 있다. 랜섬웨어(Ransomware)란, Ransom(몸값)과 Software(소프트웨어)란 단어가 합쳐져서 생성된 단어로 악성코드가 PC에 존재하는 중요한 자료들을 암호화하여 사용하지 못 하도록 한 후, 만약 암호화된 파일을 복구하려면 피해자로 하여금 돈을 지불하도록 강요하는 악성코드를 의미한다. 이번 등장한 크립토락커(CryptoLocker) 랜섬웨어는 한글로 되어 있으며, 한국의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유포된 점을 보아 한국의 사용자를 표적으로 하였음을 알 수 있다. 해당 악성코드의 동작방식과 증상은 아래와 같다.. -. 악성코드에 감염되면 아래와 같이 파일 및 레지스트리를 생성 한다. [파일 생성 정보] CREATE C:Windows이름(랜덤).exe [레지스트리 등록] HKLM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Run이름(랜덤) “”C:WINDOWS파일명(랜덤).exe”” -….
ASEC 보안 위협 동향 리포트 2013 Vol.47 발간 Posted By ASEC , 2014년 1월 10일 안랩 ASEC에서 2013년 11월 국내,외에서 발생한 다양한 보안 위협 이슈와 동향들을 정리한 ASEC 리포트 2013 Vol.47을 발간하였다. 이 번에 발간된 ASEC 리포트는 2013년 11월 주요 보안 위협 이슈들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있다. 1) 악성코드 이슈 PC 내 파일을 암호화하는 랜섬웨어 CryptoLocker 악성 매크로를 포함한 엑셀 파일 USB에 생성되는 ‘바로가기’ 파일 MS 오피스 제로데이 취약점(CVE-2013-3906) 주의 새터민 자기소개서로 위장한 악성 한글 파일 출현 신용카드 명세서로 위장한 악성코드 변종 유포 가짜 음성 메시지가 첨부된 악성 스팸 메일 등장 동영상 파일로 위장한 악성코드 이력서 문서 파일로 위장한 실행 파일 2) 모바일 악성코드 이슈 정상 앱을 가장한 광고 앱 주의 신뢰할 수 있는 기업의 웹사이트로 위장한 모바일 사이트 음란 페이지로 가장해 모바일 악성 앱 배포 웹서핑 중 자동으로 다운로드 되는 앱 3) 보안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