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

마스토돈 SNS를 악용하는 Vidar 악성코드

ASEC 분석팀에서는 최근 Vidar 인포스틸러 악성코드가 마스토돈(Mastodon)이라는 SNS 플랫폼을 악용하여 C&C 서버 주소를 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Vidar는 정보 탈취형 악성코드로서 스팸 메일이나 PUP 그리고 KMSAuto 인증 툴을 위장하여 설치되며 최근에는 Stop 랜섬웨어와 같이 다른 악성코드를 통해 설치되는 등 과거부터 꾸준히 유포되고 있다. Vidar가 실행되면 먼저 정보 탈취 행위를 수행하기 이전에 C&C 서버에 접속하여 탈취할 정보들에 대한 명령과 필요한 DLL들을 전달받는다. 과거에는 일반적인 악성코드들과 같이 단순히 C&C 서버에 접속하여 명령 및 추가 파일들을 전달받았다면, 최근 확인되고 있는 Vidar는 실제 C&C 서버를…

Flame 변형으로 알려진 Gauss 악성코드 발견

현지 시각으로 2012년 8월 9일 해외 보안 업체 캐스퍼스키(Kaspersky)에서 블로그 “Gauss: Nation-state cyber-surveillance meets banking Trojan“와 함께 분석 보고서인 “Gauss:Abnormal Distribution“를 공개하였다. 이 번 캐스퍼스키에서 공개한 분석 보고서에서는 Gauss로 명명된 악성코드가 발견되었으며, 해당 악성코드들이 기존에 발견되었던 Duqu와 Stuxnet 변형으로 알려진 Flame과 유사도가 높은 것으로 밝히고 있다. 해당 Gauss 악성코드의 전체적인 구조는 아래 캐스퍼스키에서 공개한 이미지와 동일한 형태로 Duqu, Stuxnet 그리고 Flame과 유사한 모듈화된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 번에 발견된 해당 Gauss 악성코드들의 특징은 다음과 같으며, Flame에서 발견되었던 특징들이 유사하게 발견되었다. 1) 2011년 9월에서 10월사이에 제작 및 유포된 것으로 추정, 제작 이후 수 차례 모듈 업데이트 및 C&C 서버 주소가 변경됨 2) 웹 브라우저 인젝션 이후 사용자 세션을 가로채는 기법으로 사용자 암호, 브라우저 쿠키 및 히스토리 수집 3) 감염된 PC에서 네트워크 정보, 프로세스, 폴더, BIOS와 CMOS…

스파이아이 공격 대상 기업들의 업종과 국가 분석

안랩에서는 4월 2일 “인터넷뱅킹 정보탈취 악성코드 스파이아이 트렌드 발표“라는 보도자료를 배포하고, 금전적인 목적으로 인터넷 뱅킹 정보를 탈취하는 악성코드인 스파이아이(SpyEye)에 대해 경고하였다. 스파이아이는 2010년 11월 ASEC에서 분석 및 연구한 결과에서 처럼 툴킷(Toolkit)을 통해 악성코드를 제작할 때 악성코드 제작자에 의해 어떠한 웹 사이트들 사용자 정보들을 탈취 할 것인지를 설정 파일을 통해 구성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ASEC에서는 2012년 1분기 동안 확보한 스파이아이 악성코드 샘플들을 대상으로 스파이아이가 어떠한 기업들의 사용자 계정 정보와 암호를 탈취를 노리는지 자세한 분석을 진행 하였다. 일반적으로 스파이아이는 악성코드가 첨부된 이메일 또는 취약한 웹 사이트 등을 통해 유포되고 있음으로 백신을 사용하지 않거나 최신 엔진으로 업데이트하지 않는 사용자와 취약점이 존재하는 윈도우 운영체제 사용자들의 감염이 비교적 높은 편이다. ASEC에서 스파이아이 악성코드가 생성하는 암호화 되어 있는 설정 파일을 분석 한 결과로는 악성코드 제작자의 공격…

윈도우 커널 제로 데이 취약점을 악용한 Duqu 악성코드

현지 시각 2011년 10월 18일 미국 보안 업체인 시만텍(Symantec)에서는 이란 원자력 발전소를 공격 대상으로한 스턱스넷(Stuxnet)의 변형인 Duqu 악성코드가 발견되었음 블로그 “W32.Duqu: The Precursor to the Next Stuxnet“를 통해 공개하였다. 그리고 Duqu에 대해 약 46 페이지의 분석 보고서 “W32.Duqu The precursor to the next Stuxnet” 를 공개하였다. 현재 해당 보고서는 현지 시각 2011년 11월 1일부로 1.3 버전으로 업데이트 되었다. 시만텍에서는 Duqu 악성코드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2009년 발견되었던 스턱스넷 악성코드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동일 인물 또는 제작 그룹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이번에 발견된 Duqu는 스턱스넷과 같이 산업 제어 시스템과 관련된 코드와 자체 전파 기능은 존재하지 않았다.  그러나 C&C(Command and Controal) 서버를 통해 원격 제어가 가능하며, 키로깅(Keylogging)을 통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기능이 존재한다. 그리고 시스템에 감염된지 36일이 지나면 자동 삭제하는…

화학 업체를 대상으로 한 니트로 보안 위협

해외 시각으로 2011년 10월 31일 미국 보안 업체인 시만텍(Symantec)에서는 니트로(Nitro)로 명명된 보안 위협을 공개하였으며, 공개된 니트로 보안 위협에 대해서는 해외 언론들을 통해서도 알려져 있다. 시만텍에서 이번에 공개한 니트로 보안 위협은 화학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들을 대상으로한 공격이었으나, 최초인 4월 말경에는 인권 관련단체인 NGO를 대상으로 시작 된 것으로 밝히고 있다.  화학 업체들을 대상으로한 니트로 보안 위협은 최초 2011년 7월에서 시작되어 해당 보안 위협이 탐지된 9월까지 진행 되었으며, 원격 제어를 위한 C&C(Command and Control) 서버의 경우에는 4월경에 구축 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공격 대상이 된 기업은 화학 관련 업체 29개와 군수 업체를 포함한 다른 업종의 기업 19개로 총 48개 기업이 이번 니트로 보안 위협의 공격 대상이 되었다. 시만텍에서는 아래 이미지와 같이 해당 니트로 보안 위협에 의해 감염된 시스템들은 지리적으로 미국과 방글라데시(Bangladesh)가 가장 많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