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EC

자산 관리 솔루션(TCO!Stream) 취약점 주의 및 업데이트 권고

취약 소프트웨어 및 개요 TCO!Stream은 국내 엠엘소프트사에서 제조한 자산 관리 솔루션이다. 서버와 클라이언트로 구성되며, 관리자는 콘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버에 접속해 자산 관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TCO!Stream은 자산 관리를 위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데, 서버로부터 명령을 받기 위하여 클라이언트에 항상 상주하는 프로세스가 존재하며, 해당 프로세스를 통하여 명령을 수행한다. 이 프로그램을 악용하여 원격으로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취약점 공격에 노출되어 있어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가 필요하다. 취약점 설명 해당 취약점은 안랩에서 최초 발견 및 신고한 취약점으로, 취약한 버전의 TCO!Stream에서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RCE)이 발생할…

복호화 가능한 iswr 랜섬웨어 국내 유포중

ASEC(AhnLab Security Emergency response Center)은 모니터링 중 최근 iswr 랜섬웨어가 유포중인 것을 확인하였다. iswr 랜섬웨어는 파일 암호화 시 파일명 뒤에 iswr이라는 확장자가 추가로 붙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해당 랜섬웨어의 랜섬노트는 STOP 랜섬웨어와 똑같은 형태를 가지고 있지만, 암호화 방식이나 암호화 대상 확장자 및 폴더와 같은 랜섬웨어 동작 루틴이 STOP 랜섬웨어와 많이 다르다. 암호화는 랜섬웨어가 실행되고 25초 후 작동하며, 파일 크기가 대체적으로 작은 확장자를 가진 파일들을 먼저 암호화 시키고, 그 다음 파일 크기가 대체적으로 큰 확장자를 가진 파일들을 암호화 시킨다. 암호화 대상은…

위장 파일명으로 유포되는 악성코드(RIGHT-TO-LEFT OVERRIDE)

ASEC 분석팀에서는 지난 8월 RIGHT-TO-LEFT OVERRIDE(이하 RTLO) 를 이용한 파일명을 사용하여 유포되고 있는 악성코드에 대한 블로그를 게시했다. RTLO는 설명된 내용처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오버라이드 하는 유니코드이다. 이를 이용하여 파일명과 확장자를 섞어 사용자의 실행을 유도하는 방식의 악성코드 유포는 현재도 계속되고 있다. GitHub에 솔루션파일(*.sln) 위장하여 유포되는 RAT 툴 이전 블로그 포스팅 내용을 토대로 GitHub에서 검색 시 Commits 된 게시글은 금일(2022.11.30)기준 304건이 조회된다. 몇 개의 계정으로 다수의 악성코드를 정상 코드처럼 등록했으며 기존 게시된 솔루션 위장 악성코드 파일만 새로운 악성코드로 업로드하여 유지된 게시글도 존재했다. RTLO…

나의 전화번호는 어떻게 유출될까?

개인정보보호법은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보호하고, 나아가 개인의 존엄과 가치를 구현함을 목적으로 하는 법이다. 개인정보보호법에 정의된 개인정보란 개인을 알아볼 수 있는 정보로 해당 정보만으로는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더라도 다른 정보와 쉽게 결합하여 알아볼 수 있는 정보를 뜻한다. 전화번호는 대표적인 개인정보로 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개인정보인 전화번호를 수집하는 PUP 프로그램에 대해 소개한다. [그림 1]은 “OOO 중고나라 전화번호 추출 프로그램” 의 파일명을 갖는 PUP 프로그램이다. 중고나라는 OOO의 카페로 회원수 1900만명을 보유한 카페이다. 해당 카페의 회원들이 사용하지 않는 중고물품을 등록하여 판매하는 사이트이다….

블로그 자동 포스팅과 자동 신고 프로그램

스팸 프로그램은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근거한 불법 프로그램 이다. ASEC 분석팀은 블로그를 통해 마케팅 프로그램으로 판매되고 있는 스팸 프로그램에 대해 포스팅 했었다. 오늘은 과거 소개했던 스팸 프로그램과 유사한 프로그램을 소개한다. 파일명이 Naver Blog Report Program.exe 로 수집된 파일은 과거 블로그를 통해 작성했던 스팸 프로그램과 동일한 C# 언어로 개발 되었다. 주요 기능으로는 키워드를 이용하여 특정 블로그에 대한 글을 검색하여 블로그 내용에 특정 URL이 존재할 경우 리스트에 추가 하여 신고한다. 위 내용만 보면 해당 기능들은 정상 프로그램의 기능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