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위 유명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 배포 웹 사이트 Posted By ASEC , 2012년 5월 15일 안드로이드(Android) 스마트폰의 사용과 보급이 증가함에 따라 해당 운영체제에서 동작하는 안드로이드 악성코드들 역시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2011년의 경우 제작자에 의해 제작된 안드로이드 악성코드는 구글(Google)에서 운영하는 정상적인 안드로이드 앱스토어를 통한 유포 시도 또는 비교적 많은 사람들이 방문하는 서드 파티 앱스토어(3rd Party Appstore)를 통해 유포하는 방식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금일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서 동작하는 유명 게임들을 배포하는 웹 사이트로 위장하여 안드로이드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웹 사이트들이 발견되었다. 이 번에 발견된 웹 사이트는 아래 이미지와 같이 Cut the Rope, Fruit Ninja와 Angry Birds 등과 같은 유명 게임들을 배포하는 웹 사이트로 위장하고 있었다. 해당 웹 사이트들은 모두 러시아로 제작되어 있었으며,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 설치 가능한 APK 파일들을 다운로드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구글에서는 안드로이드 앱스토어에서 악성코드가 유포되는 것을 막기위해 사전 심사를 강화하고, 많은 사람들이 방문하는 서드 파티 앱스토어에서는 사용자의 평판이 존재한다….
Another fake “Angry Birds” Posted By ASEC , 2012년 4월 5일 안드로이드 플랫폼이 큰 인기를 끌면서 모바일 기반의 악성코드 또한 활개치고 있다. 악성코드는 주로 인기 있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위장하여 사용자가 설치하게끔 유도하는데 그 대상으로 빠지지 않고 이용되는 인기게임 중 하나가 바로 “Angry Birds” 가 아닐까 한다. 이번에 새롭게 발견된 악성코드 역시 유명게임 “Angry Birds” 를 위장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fig. 가짜 Angry Birds 아이콘] 해당 악성코드는 중국의 써드파티마켓에서 최초 발견되었으며 위와 같이 Angry Birds 게임으로 위장하고 있다. 중국의 써드파티 안드로이드마켓 규모는 우리나라보다 크고 정품어플리케이션을 불법으로 받기 위해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 사용자들이 쉽사리 악성어플리케이션에 대해 노출되기 쉬운 환경이다. [fig. manifest 에 나타나는 악성 service] 이 악성코드는 설치 시 “com.neworld.demo.UpdateCheck” 라는 악성 서비스가 실행되는데, 이 서비스는 어플리케이션의 assets 폴더에 저장된 그림파일(mylogo.jpg)에 몰래 숨겨놓은 elf 포맷의 악성파일을 추가적으로 실행하며…
구글 안드로이드마켓, 또 다시 악성코드 발견! Posted By ASEC , 2011년 12월 14일 과거 구글 안드로이드마켓에 악성코드가 업로드되었다가 퇴출된 사건에 이어, 또다시 공식 마켓에 악성코드가 올라온 것이 확인되어 충격을 주고 있다. 이전글 참고 안드로이드마켓에서 유포된, 사용자폰을 강제루팅시키는 악성 어플리케이션 주의 최근 발견된 악성코드는 ‘유명한 게임’ 을 위장한 형태로 안드로이드마켓에 업로드 되어 유포되었으며, 설치시 ‘유럽’ 지역의 국가의 단말기일 경우 프리미엄 번호로 SMS 를 전송하여 과금을 시키는 전형적인 과금형 악성코드로서, 국내의 피해사례는 아직 없다. 해당 악성코드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자 1. 유포 경로 구글 공식 안드로이드마켓(http://market.android.com) 을 통해 유포되었고, 현재는 마켓에서 제외되어 더이상 다운받을 수 없다. [그림. android market 에 유포된 악성코드] 출처: symantec 블로그 2. 분 석 해당 악성코드들은 아래와 같이 Angry birds, Assasin Creed 등 인기 게임의 아이콘, 어플리케이션명 등을 위장하고 있어 일반적으로 정상게임과 구분하기는 매우 어렵다. [그림. 악성 어플리케이션] [그림. 정상 어플리케이션] 해당 프로그램을 설치하게 되면 아래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