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파일 제로 데이(Zero-Day) 취약점 악용 공격 Posted By ASEC , 2013년 1월 29일 2012년도에는 한글과 컴퓨터에서 개발하는 한글 소프트웨어에 존재하는 취약점을 악용한 타깃 공격(Target Attack)이 예년에 비해 비교적 크게 증가하였다. 이 중에는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제로 데이(Zero Day, 0-Day)을 악용한 공격 형태도 2012년 6월과 11월에 발견될 정도로 한글 소프트웨어 취약점을 악용한 공격의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다. 2012년 6월 – 한글 제로데이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 2012년 11월 – 국방 관련 내용의 0-Day 취약점 악용 한글 파일 이러한 한글 소프트웨어에 존재하는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제로 데이 취약점을 악용한 공격이 1월 25일경 다시 발견되었다. 이 번에 발견된 한글 소프트웨어의 제로 데이 취약점을 악용하는 취약한 한글 파일은 아래 이미지와 같이 다수의 개인 정보를 포함한 형태로 발견되었다. 해당 취약한 한글 파일은 아래 이미지와 동일한 같은 구조를 갖고 있으며, 이 중 “BinData” 항목의 “BIN0001.bmp” 라는 비정상적인 이미지를 파싱하는 과정에서 취약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로…
국방 관련 내용의 0-Day 취약점 악용 한글 파일 Posted By ASEC , 2012년 11월 26일 ASEC에서는 그 동안 한글과 컴퓨터에서 개발하는 한글 소프트웨어에 존재하였던 취약점들을 악용하여 원격 제어 형태의 악성코드 감염을 시도하는 형태의 위협들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알려 왔었다. 금일 다시 한글 소프트웨어에 존재하는 알려지지 않은 제로 데이(0-Day, Zero-Day) 취약점을 악용하여 원격 제어 형태의 악성코드 감염을 시도한 사례가 발견되었다. 현재 ASEC에서는 금일 발견된 해당 제로 데이 취약점에 대해 자세한 분석을 진행 중에 있다. 이 번에 발견된 취약한 한글 파일은 한국 시각으로 11월 21일에서 22일 사이에 정부 기관을 대상으로 유포된 것으로 추정된다. 해당 제로 데이 취약점을 가지고 있는 취약한 한글 문서를 열게 되면, 아래 이미지와 동일하게 “한국 공군의 위상에 대한 평가와 진단“이라는 제목의 문서 내용이 보여지게 된다. 해당 취약한 한글 문서를 한글과 컴퓨터에서 제공하는 최신 보안 패치가 모두 적용된 한글2010이 설치된 시스템에서 열게 되면 아래 경로에 “HncCtrl.exe (139,264 바이트)” 파일이…
국방 관련 내용을 담은 취약한 한글 파일 발견 Posted By ASEC , 2012년 10월 19일 2012년 하반기로 접어들면서 국내 관공서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한글 소프트웨어의 취약점을 악용하여 악성코드 감염을 시도하는 사레가 지속적으로 발견되고 있다. 특히 2012년 6월과 10월에는 한글 소프트웨어에 존재하는 알려지지 않은 제로 데이(Zero-Day, 0-Day) 취약점을 악용하는 사례들도 발견되었다. 10월 15일과 16일 다시 국내에서 국방 관련 내용을 가지고 있는 취약한 한글 파일들이 발견되었으며, 이 번에 발견된 취약한 한글 파일은 총 2개로 “군환경교육계획(2012).hwp (1,044,996 바이트)”와 “우리도 항공모함을 갖자.hwp (240,285 바이트)”의 파일명으로 유포되었다. 취약한 한글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해당 취약한 한글 파일들을 열게 될 경우에는, 아래 이미지와 같이 국방 관련 내용이 나타나게 된다. 해당 취약한 한글 파일들은 기존에 이미 알려진 HncTextArt_hplg 또는 HncApp.dll 관련 버퍼 오버플로우(Buffer Overflow)로 인한 코드 실행 취약점들을 악용하고 있다. 첫 번째 취약한 한글 파일인 군환경교육계획(2012).hwp 을 열게 되면, 백그라운드로 “system32.dll (65,536 바이트)” 가 다음 경로에 생성 된다. C:Documents and Settings[사용자 계정명]Local…
취약점을 악용하지 않는 한글 파일 악성코드 Posted By ASEC , 2012년 9월 13일 ASEC에서는 그 동안 한글과 컴퓨터에서 개발하는 한글 워드프로세스에 존재하는 알려진 코드 실행 취약점을 악용하는 취약한 한글 파일들이 유포된 사례들 다수를 공개하였다. 유포되었던 취약한 한글 파일들 대부분은 아래 3가지 형태의 취약점을 가장 많이 악용하여 백도어 형태의 악성코드 감염을 시도하였다. 1. HncTextArt_hplg에 존재하는 스택(Stack)의 경계를 체크하지 않아 발생하는 버퍼 오버플로우(Buffer Overflow)로 인한 임의의 코드 실행 취약점 2. HncApp.dll에 존재하는 문단 정보를 파싱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버퍼 오버플로우로 인한 임의의 코드 실행 취약점 3. EtcDocGroup.DFT에 존재하는 버퍼 오버플로우로 인한 임의의 코드 실행 취약점 그러나 9월 10일과 11일 이틀 동안 그 동안 알려진 한글 워드프로세스에 존재하는 취약점을 악용하지 않는 다른 형태의 한글 파일들 다수가 발견되었다. 이 번에 발견된 한글 파일들은 총 4개로 안전여부.hwp (47,616 바이트), 운영체제 레포트 제목.hwp (31,744 바이트), 120604 전북도당 통합진보당 규약(6월 2주차).hwp (63,488 바이트)와 민주통합전라남도당 입당,정책 입당원서(제1호).hwp (102,912 바이트)이다. 해당 한글 파일들…
악성코드 감염으로 알려진 일본 재무성 침해 사고 Posted By ASEC , 2012년 8월 21일 2012년 7월 21일 일본 국내 언론들을 통해 “Finance Ministry reveals 2010-2011 computer virus; info leak feared” 일본 재무성에서 2010년에서 2011년 2년 사이에 감염된 악성코드가 발견되었으며, 이로 인해 내부 정보가 유출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는 기사가 공개 되었다. ASEC에서는 해당 침해 사고와 관련한 추가적인 정보와 관련 악성코드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해당 침해 사고와 관련된 악성코드를 확보하게 되었으며, 해당 악성코드는 약 1년 전인 2011년 9월 경에 발견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번에 파악된 악성코드가 실행되면 해당 파일이 실행된 동일한 경로에 다음 파일을 생성하고, 정상 시스템 프로세스인 explorer.exe에 스레드로 인젝션하게 된다. C::[악성코드 실행 경로]tabcteng.dll (114,688 바이트) 그리고 다음 레지스트 경로에 키 값을 생성하여 감염된 시스템이 재부팅하더라도 자동 실행 되도록 구성하게 된다. HKLMSYSTEMControlSet001ServicesNetmanParametersServiceDll “C:[악성코드 실행 경로]tabcteng.dll” 감염된 시스템에 존재하는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의 실행 파일 iexplorer.exe를 실행 시켜 HTTP로 외부에 존재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