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xyware를 이용해 수익을 얻는 공격자들 Posted By Sanseo , 2022년 7월 22일 Proxyware란 설치된 시스템에서 현재 사용 가능한 인터넷 대역폭 일부를 외부에 공유하는 프로그램이다. 일반적으로 이를 설치하는 사용자는 대역폭을 제공하는 대신 일정한 금액을 받는다.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로는 Peer2Profit, IPRoyal과 같은 회사들이 있다. 해당 업체들은 제공 받은 대역폭을 다른 업체들에 제공하는 방식으로 수익을 얻는데 홈페이지에 따르면 소프트웨어 배포, 시장 조사, 광고 검증, 소프트웨어 테스트와 같은 다양한 비즈니스 파트너들이 있다고 주장한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시스템에 Proxyware를 설치함으로써 일정 수익을 얻을 수 있지만, 외부의 다른 사용자가 자신의 네트워크를 이용해 특정 행위를 수행한다는 점에서 위험을 감수해야…
구글 키워드 검색으로 유포되는 정보 유출 악성코드들 Posted By ASEC , 2021년 4월 28일 ASEC 분석팀에서는 과거 애드웨어 및 PUP 프로그램을 통해 유포되는 BeamWinHTTP 악성코드를 다루었다. 사용자가 크랙이나 키젠과 같은 프로그램을 설치하기 위해 피싱 페이지에서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때 추가적으로 각종 PUP 및 BeamWinHTTP 악성코드가 설치되며, BeamWinHTTP는 추가적으로 정보 유출 악성코드 즉 인포스틸러들을 설치하였다. 구글 같은 검색 엔진에서 프로그램의 이름 및 크랙이나 키젠과 같은 키워드를 검색할 경우 다음과 같이 가짜 단축 url 링크가 걸려있는 웹 페이지들이 확인될 때가 있다. 단축 url은 아래의 예시에서는 “hxxps://imgfil[.]com”이며, 이외에도 “hxxps://blltly[.]com”도 확인된다. “imgfil[.]com”은 “https://imgflip.com”을 사칭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SMS 무단 발송과 광고 기능을 가진 안드로이드 앱 Posted By ASEC , 2012년 7월 11일 매일 성경 구절을 스마트폰으로 전송해 주는 기능과 함께 신앙을 전파하기 위해 해당 안드로이드 앱(Android App) 설치를 유도하는 메시지를 사용자 주소록을 검색하여 SMS를 발송하는 기능을 가진 안드로이드 앱이 발견되었다. 해당 안드로이드 앱은 아래 이미지와 같이 사용자의 ‘All Contacts‘ 버튼 클릭에 의해 SMS가 발송된다. 그러나, 이 버튼의 기능이 SMS 발송이라는 사실을 해당 앱을 설치한 사용자가 인식하기 힘들다. 발송되는 SMS은 해당 앱을 설치한 스마트폰에 존재하는 주소록의 모든 전화번호로 아래 이미지와 같은 사용자가 의도한 ‘성경 구절의 공유’가 아닌 해당 안드로이드 앱의 설치 링크를 발송하게 된다. 그리고 해당 앱에 발송되는 SMS의 주소를 클릭하게 되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설치된 해당 안드로이드 앱을 설치할 수 있는 구글 앱스토어로 연결하게 된다. 이와 함께 해당은 해당 안드로이드 앱의 기능과 사용자 설명과는 전혀 다른 별도의 광고 기능을 포함하고 있어 스마트폰 사용자가 해당 앱을 실행 때마다 2초에서 3초 정도로 별도의 광고를…
김정일 위원장 사망을 악용한 애드웨어 유포 시도 Posted By ASEC , 2011년 12월 20일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는 유명 인사들의 사망 등을 악용하는 사회 공학(Social Engineering) 기법으로 악성코드가 유포되는 사례는 과거에도 지속적으로 발견되었다. 이러한 사례들로는 2011년에만 5월 테러 조직인 알카에다의 지도자인 오사마 빈 라덴(Osama Bin Laden) 사망 소식과 10월 애플(Apple) CEO인 스티브 잡스(Steve Jobs)의 사망을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 사례들이 있었다. 2011년 12월 19일 북한의 방송을 통해 김정일 위원장의 사망 소식이 전 세계에 알려진지 만 하루가 지난 금일 김정일 위원장의 사망을 악용한 애드웨어 유포가 사례가 발견되었다. 해당 애드웨어는 아래 이미지와 같은 유명 동영상 관련 웹 사이트 유튜브(You Tube)를 통해 김정일 위원장의 사망과 관련한 동영상을 시청하기 위해서는 본문의 단축 URL(URL Shortening)을 클릭하도록 유도 하고 있다. 해당 단축 URL을 클릭하게 되면 아래 웹 사이트와 같이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것으로 위장하고 있는 웹 사이트로 연결하게 된다. 해당 웹 사이트에서는 다시 정상적인…
국내 연예인 사생활 동영상으로 위장한 악성코드 유포 Posted By ASEC , 2011년 12월 9일 최근 국내 유명 연예인인 A양을 촬영한 것으로 알려진 사생활 동영상이 유포되어 사회적으로 큰 이슈를 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인 큰 이슈를 악용하여 2011년 12월 8일 저녁 국내에서도 많은 사용자가 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인 트위터(Twitter) 등을 통해 해당 연예인의 사생활 동영상으로 위장한 악성코드가 유포 되었다. 해당 트위터 계정은 비교적 최근에 생성한 것으로 보여지며, 해당 계정의 사용자에 대해 자세한 사항들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다른 일반적인 내용 없이 위 이미지와 같이 유명 연예인의 동영상 파일로 위장한 ZIP 압축 파일을 다운로드하도록만 유도하고 있다. 해당 URL을 복사하여 웹 브라우저에서 다운로드를 시도하게 되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삭제] 아나운서 2분50초짜리.zip.zip(6.67MB)” 파일이 다운로드 된다. 다운로드 된 ZIP 압축 파일의 압축을 풀게 되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다수의 JPG 이미지 파일과 SFX로 압축된 EXE 파일이 존재한다. 그리고 텍스트 파일에서는 압축 파일에 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