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도비 리더 CVE-2013-0640 및 CVE-2013-0641 취약점 악용 Posted By ASEC , 2013년 2월 18일 어도비(Adobe)에서는 현지 시각으로 2월 13일 어도비 리더(Reader)와 아크로뱃(Acrobat)에 존재하는 취약점인 CVE-2013-0640 및 CVE-2013-0641를 악용한 타깃 공격(Targeted Attack)이 발생하였음을 보안 권고문 “Security Advisory for Adobe Reader and Acrobat“를 통해 밝혔다. 이 번에 발견된 2개의 어도비 리더와 아크로뱃 취약점은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제로 데이(Zero-Day, 0-Day) 취약점으로 현재까지 해당 취약점들을 제거할 수 있는 보안 패치가 제공되지 않고 있다. ASEC에서 파악한 바로는 해당 제로 데이 취약점들은 아프가니스탄을 중심으로 한 중동 지역을 대상으로 한 타깃 공격(Targeted Attack) 형태로 이메일의 첨부 파일로 공격이 진행되었다. 어도비에서는 해당 취약점들에 영향을 받는 어도비 리더와 아크로뱃 버전들은 다음과 같음을 밝히고 있다. 윈도우(Windows) 및 맥킨토시(Macintosh) Adobe Reader XI (11.0.01 및 이전 버전) 윈도우(Windows) 및 맥킨토시(Macintosh) Adobe Reader X (10.1.5 및 이전 버전) 윈도우(Windows), 맥킨토시(Macintosh) 및 리눅스(Linux) Adobe Reader 9.5.3 및 이전 버전 윈도우(Windows), 맥킨토시(Macintosh) Adobe Acrobat XI (11.0.01 및 이전 버전) 윈도우(Windows), 맥킨토시(Macintosh)Adobe…
인터넷 익스플로러 버전 7과 8의 제로 데이 취약점 악용 Posted By ASEC , 2012년 9월 18일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서는 2012년 9월 17일 블로그 “Microsoft Security Advisory (2757760) Vulnerability in Internet Explorer Could Allow Remote Code Execution“를 통해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 버전 7과 8에 알려지지 않은 제로 데이(Zero Day, 0-Day) 취약점이 발견되음을 공개하였다. 이 번에 발견된 해당 제로 데이 취약점은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HTML 파일을 렌더링하는 과정에서 메모리 오염으로 인한 임의의 코드 실행 취약점으로, 현재 해당 제로 데이 취약점을 악용한 공격이 9월 14일을 전후하여 실제 발생하였다. 해당 제로 데이 취약점은 8월 26일 공개된 오라클 자바 JRE 7 제로 데이 취약점 악용 악성코드 유포 관련 서버에서 발견되어, 자바(Java) 취약점 악용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번에 유포된 인터넷 익스플로러 제로 데이 취약점을 악용에는 Exploit.html (304 바이트), Moh2010.swf (13,631 바이트), Protect.html (973 바이트)와 111.exe (16,896 바이트) 총 4개의 악성코드가 사용되었다. 최초 Exploit.html (304 바이트)에는 아래 이미지와 같이 Moh2010.swf (13,631 바이트)을 호출하는 코드를 포함하고 있으며, 해당 Moh2010.swf (13,631 바이트)는 DoSWF라는…
한글 코드 실행 취약점으로 인한 보안 패치 배포 Posted By ASEC , 2012년 2월 15일 해외 시각으로 2월 7일 소프트웨어 취약점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를 진행하는 시큐니아(Secunia)에서 한글과 컴퓨터에서 개발하는 한글 프로그램에서 임의 코드를 실행 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함을 “Secunia Advisory SA47386 Hancom Office Hanword Image Processing Integer Overflow Vulnerabilities” 보안 권고문을 통해 공개하였다. 한글 프로그램에 존재하였던 임의의 코드를 실행 할 수 있는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 사례가 이미 존재함으로 한글 프로그램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즉시 보안 패치를 설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번에 발견된 취약점은 한글 프로그램에 존재하는 JPEG와 PNG 이미지 필터 모듈에 존재하는 힙 버퍼 오버플로우(Heap Buffer Overflow) 취약점으로 인해 임의의 코드를 실행 할 수 있는 취약점이다. 현재 한글 프로그램에서 발견된 취약점에 대해 한글과 컴퓨터에서는 “패치 업데이트” 공지를 통해 이미 보안 패치를 배포 중에 있다. 그리고 한글 프로그램 사용자는 한글과 컴퓨터 웹 사이트를 통해 보안 패치를 업데이트…
Adobe Acrobat CVE-2011-2462 제로 데이 취약점을 악용한 타겟 공격 Posted By ASEC , 2011년 12월 8일 한국 시각으로 2011년 12월 7일 새벽 Adobe에서는 보안 권고문 “APSA11-04 Security Advisory for Adobe Reader and Acrobat“을 공개하며 Adobe Acrobat에서 알려지지 않은 제로 데이(Zero-Day) 취약점인 CVE-2011-2462가 발견되었음을 알렸다. Adobe에서는 이번에 발견된 제로 데이 취약점에 영향을 받는 Adobe Acrobat 버전들은 다음과 같다고 밝히고 있다. Adobe Reader X (10.1.1) and earlier 10.x versions for Windows and Macintosh Adobe Reader 9.4.6 and earlier 9.x versions for Windows, Macintosh and UNIX Adobe Acrobat X (10.1.1) and earlier 10.x versions for Windows and Macintosh Adobe Acrobat 9.4.6 and earlier 9.x versions for Windows and Macintosh 그리고 보안 권고문을 통해 해당 제로 데이 취약점을 악용한 타겟 공격(Targeted Attack)이 발생하였으며, 해당 취약점을 보고 한 업체로는 미국 군수 방위 업체인 록히드 마틴(Lockheed Martin)으로 밝히고 있다. 이 번 타겟 공격과 관련하여 시만텍(Symantec)에서는…
BIND의 불안전한 레코드 구성에 의한 제로데이 서비스거부 공격 Posted By ASEC , 2011년 11월 17일 ASEC Advisory SA-2011-001 최초 작성일 : 2011/11/17 마지막 개정 : 2011/11/17 09:30:00 위험 수준 : 위험 ◈ 제목 BIND의 불안전한 레코드 구성에 의한 제로데이 서비스거부 공격 ◈ 개요 2011년11월16일 오후부터 확인되지 않은 공격에 의해 일부 BIND 를 이용하는 곳에서 해당 서비스가 Crash 되는 문제가 보고되었다. 해당 취약점은 제로데이(Zero-Day) 공격으로 현재 세부적인 사항은 조사가 진행중이다. 주의: 실제 피해 사례가 보고되었고, BIND 를 이용하는 곳에서는 빠른 시일내에 업데이트 할 것을 강력히 권고한다. ◈ 공격유형 서비스 거부 공격 ◈ 해당시스템 BIND 가 지원하는 모든 버전 (9.4-ESV, 9.6-ESV, 9.7.x, 9.8.x) ◈ 영향 공격자는 조작된 패킷을 BIND 가 운영되는 서버로 전송하여 DNS 서비스를 Crash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정상적인 DNS 서비스가 불가능해 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