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day

XML 코어 서비스 취약점 악용으로 온라인 게임 악성코드 유포

ASEC에서는 6월 26일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의 XML 코어 서비스 취약점(CVE-2012-1889)을 악용한 공격 형태가 증가하고 있다는 안내를 한 바가 있다. 그리고  6월 28에는 해당 취약점을 악용하는 코드가 변형된 형태의 XML 코어 서비스 취약점(CVE-2012-1889) 악용하고 있는 것으로 공개한 바가 있으며, 취약한 웹 사이트를 중심으로 유포가 진행 되고 있다고 언급한 바가 있다. 현재까지도 보안 패치가 제공되지 않고 있는 제로 데이(Zero-Day, 0-Day) 취약점인 해당 XML 코어 서비스 취약점 악용형태가 지난 주말인 6월 30일과 7월 1일 이틀 사이 한국 내의 취약한 웹 사이트들을 대상으로 유포되고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주말 사이 발견된 해당 XML 코어 서비스 취약점을 악용하는 스크립트 악성코드는 아래 이미지와 같은 형태이며, 이제까지 발견된 스크립트 악성코드와는 다르게 난독화 정도가 심하게 제작되어 있다. 해당 취약점을 악용하는 스크립트 악성코드는 최소 36개 이상의 온라인 게임 정보를 탈취하기 위한 악성코드 변형들을 유포하기 위해…

변형된 형태의 XML 코어 서비스 취약점(CVE-2012-1889) 악용

ASEC에서는 6월 26일 현재까지도 제로 데이(Zero Day, 0-Day) 취약점인 XML 코어 서비스 취약점(CVE-2012-1889)을 악용한 공격 사례들이 발생하고 있다고 공유한 바가 있다. 금일 해당 XML 코어 서비스 취약점을 악용한 다른 형태의 공격 사례가 발견되었으며, 해당 공격 사례는 XML 코어 서비스 뿐 만이 아니라 자바(JAVA)와 어도비 플래쉬(Adobe Flash) 취약점까지도 같이 악용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 번에 발견된 XML 코어 서비스 취약점을 악용한 사례는 블랙홀(Blackhole)과 같은 웹 익스플로잇 툴킷(Web Exploit Toolkit) 형태로 스크립트 악성코드들을 기능별로 분류하여 단계적으로 취약점을 악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단계적으로 취약점을 악용한 공격 형태는 아래 이미지와 같은 전체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어, 일부 스크립트들만 분석하여서는 전체적인 공격 및 취약점 형태를 파악하기 어렵도록 하고 있다. 현재 해당 XML 코어 서비스 취약점 등을 악용한 공격 형태는 SQL 인젝션(Injection) 공격 기법 등으로 취약한 웹 페이지의 하단에 Exploit.html…

XML 코어 서비스 취약점(CVE-2012-1889) 악용 증가

현지 시각으로 6월 12일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서는 XML 코어 서비스(Core Services)에 알려지지 않은 제로 데이(Zero Day, 0-Day) 취약점이 발견되었음을 보안 권고문 “Microsoft Security Advisory (2719615) Vulnerability in Microsoft XML Core Services Could Allow Remote Code Execution“을 통해 공개한 바가 있다. 해당 취약점은 공격자가 지정한 임의 코드를 실행 할 수 있는 코드 실행 취약점이며, 해당 XML 코어 서비스를 사용하는 윈도우(Windows) 운영체제와 오피스(Office) 2003과 2007 버전에서 악용이 가능하다. 해당 취약점은 현재까지도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보안 패치를 제공하지 않는 제로 데이 취약점이며, 임시 방안으로 해당 취약점을 제거 할 수 있는 픽스 잇(Fix it)을 보안 공지 “Microsoft 보안 공지: Microsoft XML Core Services의 취약성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를 통해 배포 중에 있다. 해당 XML 코어 서비스를 악용하는 스크립트 악성코드가 해외에서 발견되는 사례가 서서히 증가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최근 발견된 해당…

한글 코드 실행 취약점 관련 보안 패치 배포

ASEC에서 6월 15일 한글 소프트웨어의 알려지지 않은 제로 데이(Zero Day, 0-Day) 취약점을 악용하는 악성코드가 유포되었다는 소식을 전한 바가 있다. 금일 한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한글과 컴퓨터에서 한글 소프트웨어에 존재하는 해당 취약점을 제거하기 위한 보안 패치를 배포하였다. 해당 보안 패치는 한글과 컴퓨터 웹 사이트를 통해 보안 패치를 업데이트 할 수 있으며, 아래 이미지와 같이 [한컴 자동 업데이트]를 실행해서도 보안 패치 설치가 가능하다. [한컴 자동 업데이트]가 실행되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현재 설치되어 있는 한글 프로그램에 맞는 보안 패치를 자동으로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위 이미지의 [환경 설정]을 클릭하여 [업데이트 방법]과 [자동 업데이트 설정]이 가능함으로 최신 보안 패치가 배포될 경우에 자동 업데이트가 진행 된다. 한글 소프트웨어의 알려진 취약점이나 알려지지 않은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가 지속적으로 발견되고 있다.  그러므로 한글 소프트웨어 사용자는 한글과 컴퓨터에서 배포하는 보안 패치들을…

한글 제로데이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

한국에서 많이 사용되는 한글 소프트웨어에 존재하는 알려지지 않은 제로데이(0-Day, Zero-Day) 취약점 또는 기존에 알려진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는 2010년 무렵부터 국내에서 발견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취약점이 발견될 때마다 한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한글과 컴퓨터에서는 발견된 해당 취약점을 제거하는 보안 패치도 꾸준히 배포하였다. 금일 다시 한글 소프트웨어에 존재하는 알려지지 않은 제로 데이 취약점을 악용하여 악성코드 감염을 시도한 사례가 발견되었다. 이 번에 발견된 취약점을 포함하고 있는 취약한 한글 파일(HWP)은 986,624 바이트의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전자 메일의 첨부 파일 형태로 유포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해당 취약한 파일은 아래 이미지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한글 파일 내부에 다른 PE 파일이 인코딩 된 상태로 포함되어 있다. 이 번에 발견된 해당 취약한 한글 파일은 아래 이미지와 같은 전체적인 악성코드 감염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다른 악성코드들과 로그 파일을 생성하게 된다. 해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