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day

한글 파일 제로 데이(Zero-Day) 취약점 악용 공격

2012년도에는 한글과 컴퓨터에서 개발하는 한글 소프트웨어에 존재하는 취약점을 악용한 타깃 공격(Target Attack)이 예년에 비해 비교적 크게 증가하였다. 이 중에는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제로 데이(Zero Day, 0-Day)을 악용한 공격 형태도 2012년 6월과 11월에 발견될 정도로 한글 소프트웨어 취약점을 악용한 공격의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다. 2012년 6월 – 한글 제로데이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 2012년 11월 – 국방 관련 내용의 0-Day 취약점 악용 한글 파일 이러한 한글 소프트웨어에 존재하는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제로 데이 취약점을 악용한 공격이 1월 25일경 다시 발견되었다. 이 번에 발견된 한글 소프트웨어의 제로 데이 취약점을 악용하는 취약한 한글 파일은 아래 이미지와 같이 다수의 개인 정보를 포함한 형태로 발견되었다. 해당 취약한 한글 파일은 아래 이미지와 동일한 같은 구조를 갖고 있으며, 이 중 “BinData” 항목의 “BIN0001.bmp” 라는 비정상적인 이미지를 파싱하는 과정에서 취약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터넷 익스플로러 제로 데이 취약점(CVE-2012-4792) 악용

한 해의 끝과 시작이 시작되는 시기에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서 개발하는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 웹 브라우저의 알려지지 않은 제로 데이(Zero Day, 0-Day) 취약점을 악용한 공격이 공개되었다. 이 번에 발견된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제로 데이 취약점을 악용한 공격은 미국 언론사인 The Washington Free Beacon의 기사 “Chinese Hackers Suspected in Cyber Attack on Council on Foreign Relations“의 미국 외교 협의회(Council on Foreign Relations, CFR) 웹 사이트가 해킹되었다는 소식을 통해 공개되었다. 이와 관련해 마이크로소프트에서도 보안 권고문 “Microsoft Security Advisory (2794220) Vulnerability in Internet Explorer Could Allow Remote Code Execution“을 통해 인터넷 익스플로러에 존재하는 제로 데이 취약점(CVE-2012-4792) 관련 정보를 공개하였다. 해당 제로 데이 취약점에 영향을 받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버전은 다음과 같다. Internet Explorer 6 Internet Explorer 7 Internet Explorer 8 이번 미국 외교 협의회 웹 사이트 해킹을 통해 공개된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제로 데이…

한글 소프트웨어 코드 실행 취약점 보안 패치 배포

ASEC에서는 11월 26일 한글과 컴퓨터에서 개발하는 한글 소프트웨어에 존재하는 알려지지 않은 제로 데이(Zero-Day, 0-Day) 취약점을 악용하여 악성코드 감염을 시도한 공격이 발생하였음을 공개하였다. 2012년 11월 26일 – 국방 관련 내용의 0-Day 취약점 악용 한글 파일 해당 제로 데이 취약점과 관련하여 12월 3일 해당 제로 데이 취약점을 제거 할 수 있는 보안 패치를 배포하기 시작하였다. [공지]한컴오피스 및 한/글 제품의 보안 패치 업데이트 안내 이 번 보안 패치의 설치 대상이 되는 한글 소프트웨어 제품들은 다음과 같다. 한컴 오피스 2010 SE+, 2007, 2005 한글 2010 SE+, 2007, 2005, 2002 해당 보안 패치는 한글과 컴퓨터 웹 사이트를 통해 보안 패치를 업데이트 할 수 있으며, 아래 이미지와 같이 [한컴 자동 업데이트]를 실행해서도 보안 패치 설치가 가능하다. [한컴 자동 업데이트]가 실행되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현재 설치되어 있는 한글…

국방 관련 내용의 0-Day 취약점 악용 한글 파일

ASEC에서는 그 동안 한글과 컴퓨터에서 개발하는 한글 소프트웨어에 존재하였던 취약점들을 악용하여 원격 제어 형태의 악성코드 감염을 시도하는 형태의 위협들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알려 왔었다. 금일 다시 한글 소프트웨어에 존재하는 알려지지 않은 제로 데이(0-Day, Zero-Day) 취약점을 악용하여 원격 제어 형태의 악성코드 감염을 시도한 사례가 발견되었다. 현재 ASEC에서는 금일 발견된 해당 제로 데이 취약점에 대해 자세한 분석을 진행 중에 있다. 이 번에 발견된 취약한 한글 파일은 한국 시각으로 11월 21일에서 22일 사이에 정부 기관을 대상으로 유포된 것으로 추정된다. 해당 제로 데이 취약점을 가지고 있는 취약한 한글 문서를 열게 되면, 아래 이미지와 동일하게 “한국 공군의 위상에 대한 평가와 진단“이라는 제목의 문서 내용이 보여지게 된다. 해당 취약한 한글 문서를 한글과 컴퓨터에서 제공하는 최신 보안 패치가 모두 적용된 한글2010이 설치된 시스템에서 열게 되면 아래 경로에 “HncCtrl.exe (139,264 바이트)” 파일이…

한글 소프트웨어 보안 패치 배포

ASEC에서는 10월 10일 한글 소프트웨어에 존재하는 알려지지 않은 제로 데이(Zero-Day, 0-Day)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 시도가 발견되었다고 공지 한 바가 있다. 10월 18일부터 한글 소프트웨어 개발사인 한글과 컴퓨터에서 해당 제로 데이 취약점을 제거 할 수 있는 보안 패치를 배포 중에 있다. 이 번 보안 패치의 대상이 되는 한글 소프트웨어는 다음과 같다. 한글 2002 5.7.9.3058 및 이전버전 한글 2004 6.0.5.776 및 이전버전     한글 2005 6.7.10.1083 및 이전버전 한글 2007 7.5.12.652 및 이전버전 한글 2010 8.5.8.1278 및 이전버전     해당 보안 패치는 한글과 컴퓨터 웹 사이트를 통해 보안 패치를 업데이트 할 수 있으며, 아래 이미지와 같이 [한컴 자동 업데이트]를 실행해서도 보안 패치 설치가 가능하다. [한컴 자동 업데이트]가 실행되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현재 설치되어 있는 한글 프로그램에 맞는 보안 패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