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위

ASEC 보안 위협 동향 리포트 2011 Vol.24 발간

안철수연구소 ASEC에서 2011년 12월 국내,외에서 발생한 다양한 보안 위협 이슈와 동향들을 정리한 ASEC 리포트 2011 Vol.24을 발간하였다.  그리고 이번 호에서는 2011년 주요 보안 위협 이슈와 함게 2012년에 예상되는 보안 위협도 같이 포함되어 있다. 이 번에 발간된 ASEC 리포트는 2011년 12월 주요 보안 위협 이슈들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있다. 김정일 위원장 사망을 이용한 애드웨어 유포 김정일 위원장 사망을 악용한 악성 전자 문서 파일 유포 국내 연예인 사생활 동영상으로 위장한 악성코드 유포 2012년 버전으로 위장한 허위 클라우드 백신 악성코드를 위한 안티바이러스 체크 웹 사이트 아크로뱃 제로데이 취약점을 악용한 타깃 공격 여러 가지 취약점을 이용한 제우스봇 전파 메일 발견 구글 안드로이드 마켓에 업로드된 악성 애플리케이션 안철수연구소 ASEC에서 발간하는 월간 보안 위협 동향 리포트는 아래 웹 사이트에서 확인 할 수 있다  ASEC 보안 위협…

2012년 버전으로 위장한 허위 클라우드 백신

한 해를 마무리하는 2011년 12월에는 연말 연시에는 사회적인 분위기를 악용하는 사회 공학 기법들이 적용된 악성코드나 다른 보안 위협들이 발견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사례로 이미 “크리스마스 카드로 위장한 악성코드” 발견 사례도 있으며 다양한 “신년 축하 카드로 위장한 악성코드” 발견사례도 있으니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러한 2011년 연말 연시 분위기에 금전적인 목적으로 지속적으로 유포되었던 허위 백신들에서 2012년도 최신 버전인 것으로 위장한 사례가 2011년 11월 30일 발견되었다. 해당 허위 백신은 2012년도 최신 버전임을 표기한 것 외에도 최근 다양한 보안 위협들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 및 사용되는 클라우드 안티 바이러스(Cloud Anti-Virus) 인 것으로도 위장하고 있다. 이 번에 발견된 허위 클라우드 안티 바이러스 2012는 과거에 발견되었던 허위 클라우드 백신과는 외형적인 인터페이스 부분만 변경되었지, 기능이나 동작면에서 동일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업데이트 기능동 아래 이미지와 같이 실제 최신 엔진을…

허위 안티바이러스(백신) Digital Protection / Data Protection 주의!

1. 서론금일 Digital Protection / Data Protection 이라는 프로그램명의 허위백신이 많이 발견되어 증상 및 조치가이드를 안내해 드립니다. 2. 감염 시 증상 해당 허위백신이 실행이 되면 아래와 같은 트레이 아이콘이 나타납니다. [그림1. 감염 시 나타나는 트레이 아이콘] 이때 트레이 아이콘이나 메세지를 클릭하게 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나타납니다. 아래창은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과정으로 속이기 위한 창으로 실제로는 허위백신과 관련된 파일을 특정 주소에서 다운로드 하는 과정입니다. [그림2. 허위백신에 사용되는 파일을 다운로드 하는 화면] 시간이 지나면 아래와 같이 윈도우 보안 센터와 비슷하게 꾸민 창이 나타나며 바탕화면에 성인사이트로 연결하는 아이콘이 생성되기도 합니다. [그림3. 윈도우 보안센터와 비슷하게 만든 거짓 알림 창] 그리고 아래와 같은 허위 안티바이러스(백신) 프로그램이 실행 됩니다. [그림4. 허위 안티바이러스(백신) 실행 화면] 3. 조치 방법 현재 V3 제품에서 해당 허위백신을 진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V3 제품에서…

Myspace Password Reset Confirmation! Your Support

Myspace 비밀번호 관련 메일로 위장하여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스팸메일이 확인되어 안내 드립니다. 제목 : Myspace Password Reset Confirmation! Your Support Hey , , , , , , , , Because of the measures taken to provide safety to our clients, your password has been changed. You can find your new password in attached document. Thanks, The Myspace Team. 첨부파일의 이름은 password.zip 파일이며 해당 파일은 악성코드 입니다. 현재 해당 파일은 V3 제품군에서 Win-Trojan/Fakeav.183296.I 진단명으로 진단이 가능합니다.만약 해당 파일을 실행하게 되면 아래와 같은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우선 허위 안티바이러스(백신) 프로그램이 나타납니다. 현재 아래 스크린샷에서의 이름은 XP AntiMalware 2010 이지만 이 이름은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즈 버전 별로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허위백신으로 인한 증상 및 조치 방법 : http://core.ahnlab.com/135…

허위백신으로 인한 증상 및 조치 방법

1. 서론  최근 허위백신으로 인하여 피해가 다수 발생하고 있어 증상 및 임시 조치 방법을 소개하고자 해당 내용을 작성 합니다. 2. 증상 해당 악성코드에 감염이 되면 아래와 같은 허위 백신이 실행되며 허위로 악성코드를 진단하여 결제를 유도하게 됩니다. [그림1. 허위백신이 실행된 화면] 위 이미지에서는 AntiVirus XP 2010 이지만 아래와 같이 다수의 이름이 존재합니다.  Windows 7 WIndows Vista  Windows XP Win 7 Internet Security 2010  Win 7 Internet Security  Win 7 Antivirus Pro 2010  Win 7 Antivirus Pro  Win 7 Antivirus 2010  Win 7 Antivirus  Win 7 Defender 2010  Win 7 Guardian  Win 7 Guardian 2010  Antivirus Win 7 2010  Win 7 Antispyware 2010  Vista Internet Security 2010  Vista Internet Security  Vista Antivirus Pro 2010  Vista Antivirus Pro  Vista Antivirus 2010  Vista Antivirus  Vis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