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알려진 한글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

ASEC에서는 6월 15일 한글과 컴퓨터에서 개발한 한글 소프트웨어에 존재하는 코드 실행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 사례가 발견되었음을 공개하였다. 현재 해당 코드 실행 취약점에 대해서는 6월 22일 한글과 컴퓨터에서는 해당 취약점을 제거할 수 있는 보안 패치를 공개하여, 해당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감염 시도에 대해서는 원천적인 차단이 가능하다. 금일 다시 국내에서 알려진 한글 소프트웨어의 취약점을 악용하여 악성코드 감염을 시도한 사례가 발견되었다. 이 번에 유포된 취약한 한글 파일들은 국내 특정 조직들을 대상으로 발송된 이메일의 첨부 파일 형태로 유포되었으며, 첨부된 취약한 한글 파일들을 열게되면 아래 이미지와 같은 내용이 보여진다. 해당 취약한 파일은 아래 이미지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으며, 6월 15일 발견된 코드 실행 취약점을 응용한 형태가 아니라 이미 보안 패치가 제공되어 있는 취약점이다. 이 번에 발견된 해당 취약한 한글 파일은 HncTextArt_hplg에 존재하는 스택(Stack)의 경계를 체크하지…

한글 코드 실행 취약점 관련 보안 패치 배포

ASEC에서 6월 15일 한글 소프트웨어의 알려지지 않은 제로 데이(Zero Day, 0-Day) 취약점을 악용하는 악성코드가 유포되었다는 소식을 전한 바가 있다. 금일 한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한글과 컴퓨터에서 한글 소프트웨어에 존재하는 해당 취약점을 제거하기 위한 보안 패치를 배포하였다. 해당 보안 패치는 한글과 컴퓨터 웹 사이트를 통해 보안 패치를 업데이트 할 수 있으며, 아래 이미지와 같이 [한컴 자동 업데이트]를 실행해서도 보안 패치 설치가 가능하다. [한컴 자동 업데이트]가 실행되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현재 설치되어 있는 한글 프로그램에 맞는 보안 패치를 자동으로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위 이미지의 [환경 설정]을 클릭하여 [업데이트 방법]과 [자동 업데이트 설정]이 가능함으로 최신 보안 패치가 배포될 경우에 자동 업데이트가 진행 된다. 한글 소프트웨어의 알려진 취약점이나 알려지지 않은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가 지속적으로 발견되고 있다.  그러므로 한글 소프트웨어 사용자는 한글과 컴퓨터에서 배포하는 보안 패치들을…

한글 제로데이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

한국에서 많이 사용되는 한글 소프트웨어에 존재하는 알려지지 않은 제로데이(0-Day, Zero-Day) 취약점 또는 기존에 알려진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는 2010년 무렵부터 국내에서 발견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취약점이 발견될 때마다 한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한글과 컴퓨터에서는 발견된 해당 취약점을 제거하는 보안 패치도 꾸준히 배포하였다. 금일 다시 한글 소프트웨어에 존재하는 알려지지 않은 제로 데이 취약점을 악용하여 악성코드 감염을 시도한 사례가 발견되었다. 이 번에 발견된 취약점을 포함하고 있는 취약한 한글 파일(HWP)은 986,624 바이트의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전자 메일의 첨부 파일 형태로 유포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해당 취약한 파일은 아래 이미지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한글 파일 내부에 다른 PE 파일이 인코딩 된 상태로 포함되어 있다. 이 번에 발견된 해당 취약한 한글 파일은 아래 이미지와 같은 전체적인 악성코드 감염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다른 악성코드들과 로그 파일을 생성하게 된다. 해당…

한글 코드 실행 취약점으로 인한 보안 패치 배포

해외 시각으로 2월 7일 소프트웨어 취약점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를 진행하는 시큐니아(Secunia)에서 한글과 컴퓨터에서 개발하는 한글 프로그램에서 임의 코드를 실행 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함을 “Secunia Advisory SA47386 Hancom Office Hanword Image Processing Integer Overflow Vulnerabilities” 보안 권고문을 통해 공개하였다. 한글 프로그램에 존재하였던 임의의 코드를 실행 할 수 있는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 사례가 이미 존재함으로 한글 프로그램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즉시 보안 패치를 설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번에 발견된 취약점은 한글 프로그램에 존재하는 JPEG와 PNG 이미지 필터 모듈에 존재하는 힙 버퍼 오버플로우(Heap Buffer Overflow) 취약점으로 인해 임의의 코드를 실행 할 수 있는 취약점이다. 현재 한글 프로그램에서 발견된 취약점에 대해 한글과 컴퓨터에서는 “패치 업데이트” 공지를 통해 이미 보안 패치를 배포 중에 있다. 그리고 한글 프로그램 사용자는 한글과 컴퓨터 웹 사이트를 통해 보안 패치를 업데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