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소프트웨어의 제로 데이 취약점 악용 악성코드 Posted By ASEC , 2012년 10월 10일 ASEC에서는 그 동안 한글 소프트웨어에 존재하는 취약점들을 악용하는 악성코드 유포 사례들을 공개 한 바가 있다. 그리고 2012년 6월 15일에는 한글 소프트웨어에 존재하는 알려지지 않은 제로 데이(Zero-Day, 0-Day)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 사례가 있음을 공개하기도 하였다. 2012년 10월 8일 한글 소프트웨어에 존재하는 알려지지 않은 제로 데이 취약점을 악용하여 악성코드 유포를 시도한 사레가 다시 발견되었으다. 이 번에 발견된 제로 데이 취약점을 악용하느 취약한 한글 파일은 아래 이미지와 같은 내용을 가지고 있으며, 유포 당시에는 “한반도통일대토론회-120928.hwp (225,792 바이트)”라는 파일명을 사용하였다. 해당 취약한 한글 파일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한글 소프트웨어에 존재하는 알려지지 않은 제로 데이 취약점을 악용하고 있으며, 현재 한글과 컴퓨터에서 관련 보안 패치를 제공하지 않고 있다. 악용되는 취약점은 한글 소프트웨어에서 사용되는 HwpApp.dll에 존재하는 한글 문서 내용을 파싱 할 때 발생하는 힙 스프레이 오버플로우(Heap-spray Overflow)로 인한…
전자 문서들의 취약점을 악용하는 악성코드들 다수 발견 Posted By ASEC , 2012년 10월 9일 추석 연휴가 끝난 이후 ASEC에서는 최근 다양한 형태의 전자 문서들에 존재하는 취약점을 악용하는 악성코드들을 발견하였다. 전자 문서와 관련된 악성코드들이 발견되는 것이 이 번이 처음 발생한 사항이 아니지만, 마이크로소프트 워드(Microsoft Word), 한글 소프트웨어 그리고 어도비 리더(Adobe Reader) 파일인 PDF에 존재하는 알려진 취약점 등을 악용하는 악성코드가 동시 다발적으로 발견된 것은 특이 사항으로 볼 수 있다. 먼저 한글 소프트웨어와 관련된 악성코드는 크게 3가지 형태로 기존에 알려진 취약점을 악용하는 형태, 특이하게 내부에 악의적인 목적으로 제작된 자바 스크립트(Java Script)가 포함된 형태 그리고 한글 문서 자체가 특이한 OLE 포맷을 가지고 있는 형태가 발견되었다. 기존에 알려진 한글 취약점을 악용하는 취약한 한글 파일은 아래 이미지와 동일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붙임1_국방기술정보 위원명단_[2].hwp (1,061,892 바이트)”로 유포되었다. 해당 취약한 한글 파일은 HncApp.dll에 존재하는 문단 정보를 파싱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버퍼 오버플로우로 인한 임의의 코드 실행…
ASEC 보안 위협 동향 리포트 2012 Vol.32 발간 Posted By ASEC , 2012년 10월 8일 안랩 ASEC에서 2012년 8월 국내,외에서 발생한 다양한 보안 위협 이슈와 동향들을 정리한 ASEC 리포트 2012 Vol.32을 발간하였다. 이 번에 발간된 ASEC 리포트는 2012년 8월 주요 보안 위협 이슈들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있다. 1) 악성코드 이슈 보안 프로그램으로 위장한 악성코드 변조된 정상 프로그램을 이용한 게임핵 유포 ActiveX라는 이름의 악성코드 게임부스터 패스트핑으로 위장한 악성코드 국내 업체를 대상으로 유포된 악성 스팸 메일 이메일을 이용한 어도비 CVE-2009-0927 취약점 악성코드 유포 오라클 자바 JRE 7 제로데이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 MS12-060(CVE-2012-1856) 취약점을 악용한 타깃 공격 어도비 플래시 플레이어의 CVE-2012-1535 취약점 악용 악성코드 페이팔 스팸 메일과 결합된 블랙홀 웹 익스플로잇 툴킷 런던 올림픽 악성 스팸메일 Xanga 초대장을 위장한 악성 스팸메일 Flame 변형으로 알려진 Gauss 악성코드 YSZZ 스크립트 악성코드의 지속 발견 사우디아라비아 정유 업체를 공격한 Disttrack 악성코드 악성코드…
다양한 전자 문서들의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Posted By ASEC , 2012년 9월 21일 한글과 컴퓨터에서 개발하는 한글 워드프로세스와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서 개발하는 워드(Word)에 존재하는 알려진 취약점을 악용하는 악성코드들이 동시에 3건이 발견되었다. 첫 번째 취약한 한글 파일은 중공 5세대 핵심들의 불확실한 미래.hwp (241,873 바이트)로 아래 이미지와 동일한 내용을 가지고 있다. 두 번째 취약한 한글 파일은 미래모임.hwp (104,448 바이트)로 아래 이미지와 동일한 내용을 가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발견된 취약한 워드 파일은 부서간 의사소통 조사 설문지.doc (361,026 바이트) 로 아래 이미지와 동일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해당 워드 파일은 CVE-2012-0158 취약점으로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27 – 긴급 Windows 공용 컨트롤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664258)” 이미 보안 패치가 배포 중인 알려진 취약점이다. 특히 마지막 취약한 워드 파일의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사내 설문 조사 관련 전자 메일로 위장하여 첨부한 취약한 워드 파일을 실행하도록 유도하는 사회 공학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From: 김** [mailto:surv***************sme@yahoo.co.kr] Sent: Thursday,…
취약점을 악용하지 않는 한글 파일 악성코드 Posted By ASEC , 2012년 9월 13일 ASEC에서는 그 동안 한글과 컴퓨터에서 개발하는 한글 워드프로세스에 존재하는 알려진 코드 실행 취약점을 악용하는 취약한 한글 파일들이 유포된 사례들 다수를 공개하였다. 유포되었던 취약한 한글 파일들 대부분은 아래 3가지 형태의 취약점을 가장 많이 악용하여 백도어 형태의 악성코드 감염을 시도하였다. 1. HncTextArt_hplg에 존재하는 스택(Stack)의 경계를 체크하지 않아 발생하는 버퍼 오버플로우(Buffer Overflow)로 인한 임의의 코드 실행 취약점 2. HncApp.dll에 존재하는 문단 정보를 파싱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버퍼 오버플로우로 인한 임의의 코드 실행 취약점 3. EtcDocGroup.DFT에 존재하는 버퍼 오버플로우로 인한 임의의 코드 실행 취약점 그러나 9월 10일과 11일 이틀 동안 그 동안 알려진 한글 워드프로세스에 존재하는 취약점을 악용하지 않는 다른 형태의 한글 파일들 다수가 발견되었다. 이 번에 발견된 한글 파일들은 총 4개로 안전여부.hwp (47,616 바이트), 운영체제 레포트 제목.hwp (31,744 바이트), 120604 전북도당 통합진보당 규약(6월 2주차).hwp (63,488 바이트)와 민주통합전라남도당 입당,정책 입당원서(제1호).hwp (102,912 바이트)이다. 해당 한글 파일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