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한국국가정보학회 학회장 선거공고’ 내용의 악성 HWP 유포

안랩 ASEC 분석팀은 “제 9대 학회장 선거공고 및 입후보신청서” 제목의 악성 한글문서가 유포된 것을 확인하였다. 한글문서의 내용은 아래와 같고, 문서 내부에 존재하는 EPS(EncapEncapsulated Postscript) 개체가 악성기능을 수행하는 구조이다. 파일 정보 파일 타입: 한글 워드프로세서 문서 파일명: 제 9대 학회장 선거공고 및 입후보신청서.hwp (추정) MD5: e232ee98e0777fe589f600aa6e62d967 SHA256: 72fd996d651baaad444ac7664b39f66e1eb030a924fe3544ff7c7d80dff768ea 한글문서 내용(페이지1, 페이지2) 한글문서 내용(페이지3) 악성 EPS 파일이 존재하는 곳은 첫번째 페이지로 아래의 그림에서 붉은색 표시부분으로 일반 사용자가 알 수 없는 형태로 그림개체가 추가된 것을 알 수 있다. 악성 EPS가 숨겨진 부분 (페이지1) 해당 한글문서는 아래의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코드 상의 특징을 통해 살펴본 2가지 공격그룹 (한글문서 취약점)

안랩 ASEC 분석팀은 한글 EPS 취약점(CVE-2017-8291)을 이용하는 악성코드에서 쉘코드(ShellCode)를 실행하기 위한 전 단계에서 제작자 실수로 추정되는 코드상의 오류가 확인되었다. 전체 악성코드 동작에는 영향이 없지만, 이러한 코드상의 실수가 2018년부터 최근 한글 문서 악성코드에서도 지속적으로 발견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상의 실수가 없는 형태도 함께 발견되고 있는 점을 볼 때, 코드상의 특징을 바탕으로 제작자를 2개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한글 EPS 취약점 파일들은 악의적인 쉘코드를 실행하기 전 공통적으로 해당 메모리 영역의 속성을 변경하기 위해 VirutalProtect 라는 API를 사용한다. 코드상의 오류라고 판단하는 부분은 VirutalProtect…

ASEC 보안 위협 동향 리포트 2013 Vol.43 발간

안랩 ASEC에서 2013년 7월 국내,외에서 발생한 다양한 보안 위협 이슈와 동향들을 정리한 ASEC 리포트 2012 Vol.36을 발간하였다.  이 번에 발간된 ASEC 리포트는 2013년 7월 주요 보안 위협 이슈들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있다. 1) 악성코드 이슈 고객님, 당황~하셨어요? 구매 발주서로 위장한 키로그 악성코드 주의 구입 주문서 위장 악성 메일 PayPal 피싱 주의 날씨 배너에 숨겨진 악성코드 회사 도메인 파일을 첨부한 악성 스팸 메일 주의 특정 기관을 대상으로 유포된 한글 악성코드 발견 한글 문서 파일을 노린 악성코드 NTFS 파일 시스템을 악용하는 악성코드 일본 자동차 업체의 해외 사이트 악성코드 유포 2) 모바일 악성코드 이슈 PC 정보 탈취하는 안드로이드 앱 안드로이드 인증서 우회 취약점 중국산 Langya 악성 앱 3) 보안 이슈 마이크로소프트 IE Use-After-Free 취약점 (CVE-2013-3163) 악용 국내 다수의 사이트를 통해 악성코드 뱅키(Banki) 배포 ASEC에서…

한/글 프로그램 보안 패치 권고

– 문서 파일 실행 시 취약점으로 인해 악성코드 설치, 실행  – SW 보안 패치, 백신 실시간 감시 기능 실행 등 필수 정보보안 기업 안랩[대표 김홍선, http://www.ahnlab.com]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어 이에 대한 보안 패치를 적용하라고 11일 권고했다. 이번에 발견된 취약점은 한/글 문서를 실행했을 때 특정 악성코드가 설치, 실행되는 것이다. 안랩은 취약점을 발견한 7월 5일 한글과컴퓨터사에 관련 정보를 공유했고, 한글과컴퓨터사는 10일 보안 패치를 완료해 사용자에게 공지했다. 한컴 오피스 2007, 한/글 2007, 한/글 2005, 한/글 2004, 한/글 2002 SE 사용자는 해당 패치를 반드시 업데이트해야 안전하다. 이번 악성코드는 ‘동북아 평화 협력 구상 어떻게 실현할 것인가’라는 제목의 문서에 삽입되어 소형 커뮤니티 사이트에 업로드되었거나 이메일에 첨부되어 유포된 것으로 추정된다. 악성코드에 감염되면 HWP 파일은 물론 DOC, PPT, PDF, TXT, XLS, RAR, ZIP 등의 파일을 외부로…

한글 소프트웨어 보안 패치 배포

ASEC에서는 아래 내용을 통해 1월 25일 한글 소프트웨어에 존재하는 알려지지 않은 제로 데이(Zero Day, 0-Day) 취약점을 악용한 공격이 있었음을 공개하였다. 2013년 1월 29일 – 한글 파일 제로 데이(Zero-Day) 취약점 악용 공격 해당 제로 데이 취약점을 제거 할 수 있는 보안 패치를 2월 6일부터 한글과 컴퓨터에서 배포 중에 있다. 이 번 보안 패치에 영향을 받는 한글 소프트웨어 버전은 다음과 같음으로, 해당 버전 사용자는 보안 패치를 설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글 2002SE 한글 2004한글 2005한글 2007한글 2010 SE 해당 보안 패치는 한글과 컴퓨터 웹 사이트를 통해 보안 패치를 업데이트 할 수 있으며, 아래 이미지와 같이 [한컴 자동 업데이트]를 실행해서도 보안 패치 설치가 가능하다. [한컴 자동 업데이트]가 실행되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현재 설치되어 있는 한글 프로그램에 맞는 보안 패치를 자동으로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아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