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문서

20대 대통령선거 선상투표 보도자료 가장한 악성 한글문서 유포

대선을 앞두고 ASEC 분석팀은 “20대 대통령선거 선상투표 보도자료”를 가장한 악성 한글 문서가 유포중임을 확인하였다. 공격자는 02/28일 악성 한글 문서를 유포하였으며 해당 악성 문서는 확보되지 않았지만, 자사 ASD(AhnLab Smart Defense) 인프라 로그에 따르면 내부 OLE 개체를 통해 배치파일을 구동하여 파워쉘을 실행하는 형태로 추정된다. 유포 파일명: 보도자료(220228)_3월_1일___3월_4일_제20대_대통령선거_선상투표_실시(최종).hwp [그림 1]은 인프라에 확인된 배치 파일 경로와 한글 파일명이다. 동일한 정상 한글 문서 크기가 2.06MB인 반면에 악성 한글문서는 2.42MB로 내부에 추가 BAT 파일 삽입을 통해 문서가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TEMP%\mx6.bat (배치파일 생성 경로) 이와 유사한…

드론(무인항공기) 현황 내용의 한글(*.HWP) 악성코드 유포 중

ASEC 분석팀에서는 드론(무인항공기) 관련 내용의 악성 한글 문서(.HWP)가 유포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래 [그림1]과 같이 드론 현황 및 개선방안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악성 EPS를 포함하고 있다. [그림1] 문서 내용 [그림2] 문서 정보 문서 실행 시 내부의 악성 포스트스크립트(EPS)가 동작하여 악성 행위를 수행하게 된다. 해당 EPS는 CVE-2017-8291 취약점을 사용하여 내부의 쉘 코드를 복호화 후 실행한다. [그림3] 악성 EPS 감염 PC에서 현재 실행중인 모든 프로세스 정보를 조회하며 자사 V3 제품이 실행 중인지 검사하는 루틴이다. 비교 대상 값인 3376과 3356은 문자열로 “v3” 및…

악성 한글문서(.hwp) 유포 파일명 변화과정 추적

그간 ASEC블로그를 통해 알려왔듯 아주 오랜 시간동안 악성 한글 문서를 이용한 공격이 끊임없이 이루어 지고 있다. 공격자는 문서파일 제목을 통해 사용자가 의심없이 실행하도록 유도하고 있으며, 이번 블로그 글에서는 최근 3달 동안 확인된 악성 한글파일 제목의 변화과정을 다뤄보고자 한다. 해당 정보는 ‘한글 문서를 통해 의심스러운 행위가 발생’했을 시 수집되는 자사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확인 가능하였다. 주제 1 : 코로나 관련 (Lazarus 그룹 추정) 전라남도 코로나바이러스 대응 긴급조회.hwp인천광역시 코로나바이러스 대응 긴급 조회.hwp인천광역시 코로나바이러스 대응 긴급 조회-**대 김**.hwp[붙임] 코로나19_관련_사증면제 정지 등 조치_알림.hwp 지금도 여전히 코로나와 관련한 이슈가 끊이지 않고 있는데 특히 지난 3월말부터 4월 동안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 했던 그 틈을 이용하여 코로나를 주제로한 한글 문서 파일이 유포되었었다. 위의 표와 같이 긴급성을 띄는 것처럼 보여 사용자의 심리를 자극하고 있으며 이러한 제목으로 4월 1일부터 4월 말까지 꾸준히 유포되어 졌다. 지난…

부동산 투자관련 메일로 유포 중인 한글 악성코드 (EPS사용)

지난 4월부터 증가한 악성 한글 파일의 유포가 여전히 지속 되고있다. ASEC에서는 지난 주 부동한 투자관련 내용으로 위장한 한글 문서(.HWP)가 메일을 통해 유포되고 있음을 알리고자 한다. 아래 [그림1]과 같이 부동산 투자 관련한 제목의 메일에 여러개의 한글 문서들을 첨부하였고 이 첨부된 문서 중 악성 한글 파일을 포함하였다. [그림1] – 메일 내용 [그림2] –  문서 내용 [그림3] – 문서 정보 메일과 문서 내용을 위와 같이 그럴듯하게 작성하여 사용자가 방심하도록 유도 후 악성 한글 파일을 실행하도록한다. 실행 된 이 한글 파일은 내부에 있는 악성…

‘코로나바이러스 대응 긴급조회’ 한글문서 악성코드 유포

ASEC분석팀은 ‘코로나바이러스 대응 긴급조회’로 위장한 악성 문서파일을 발견하였다. 과거 악성 문서파일들의 경우 Office 의 매크로 기능을 악용하여 사용자에게 콘텐츠 사용을 유도하는 방식을 주로 이용하였다. 감염병관리지원단 위장 악성 한글파일 그러나 이와 달리 4월 1일 발견된 문서 파일은 한글 파일을 사용하며, 전라남도 감염병관리지원단 을 사칭한 파일로 주의가 필요하다. 이 뿐만 아니라 인천광역시 감염병관리지원단을 사칭한 파일도 발견되고 있다. 이처럼 악성코드 제작자는 다양한 기관들을 사칭하고 있다. 악성 스크립트 실행 한글 파일은 EPS(EncapEncapsulated Postscript) 파일을 포함하고 있으며 powershell.exe을 이용해 외부 URL 접속하여 추가 악성코드를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