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래쉬

어도비 플래쉬 플레이어 CVE-2013-0633 및 CVE-2013-0634 취약점 악용

어도비(Adobe)에서는 현지 시각으로 2월 7일 어도비 플래쉬 플레이어(Adobe Flash Player)에 존재하는 취약점인 CVE-2013-0633 및 CVE-2013-0634를 제거하기 위한 보안 패치를 배포 중임을 보안 권고문 “APSB13-04 Security updates available for Adobe Flash Player“를 통해 밝혔다. 이 번에 발견된 2개의 어도비 플래쉬 플레이어 취약점은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제로 데이(Zero-Day, 0-Day) 취약점이었다. 해당 제로 데이 취약점들은 특정 대상으로 상대로한 타깃 공격(Targeted Attack)과 웹 사이트를 통해 해당 취약점을 악용하는 플래쉬 파일(SWF)를 유포하는 것으로 공개되었다. 어도비에서는 해당 취약점들에 영향을 받는 플래쉬 플레이어 버전들은 다음과 같음을 밝히고 있다. 윈도우(Windows)와 맥킨토시(Macintosh) 설치 된 Adobe Flash Player 11.5.502.146 과 이전 버전 리눅스(Linux)에 설치된 Adobe Flash Player 11.2.202.261과 이전 버전  안드로이드(Android) 4.x 에 설치된 Adobe Flash Player 11.1.115.36와 이전 버전 안드로이드(Android) 3.x와 2.x 에 설치된 Adobe Flash Player 11.1.111.31와 이전 버전…

어도비 플래쉬 플레이의 CVE-2012-1535 취약점 악용 악성코드

어도비(Adobe)에서는 8월 15일인 어제 어도비 플래쉬 플레이어(Adobe Flash Player)에 존재하는 취약점인 CVE-2012-1535를 제거하기 위한 보안 패치를 배포 중임을 보안 권고문 “APSB12-18 Security update available for Adobe Flash Player“를 통해 밝혔다. 해당 보안 권고문을 통해 어도비에서는 플래쉬 플레이어에 존재하는 CVE-2012-1535 취약점은 버전 11.3.300.270 이하 버전에 발생하며, 제한적인 타겟 공격(Targeted Attack)에 악용되었음을 같이 공개하였다. ASEC에서는 추가적인 조사와 분석을 통해 해당 CVE-2012-1535 취약점을 악용한 타겟 공격은 마이크로소프트 워드(Microsoft Word)에 임베디드(Embedded) 된 워드 파일 형태로 유포되었으며, 유포 당시 “Running Mate.doc“와 “iPhone 5 Battery.doc“ 라는 파일명이 사용된 것으로 파악된다. 이번 발견된 어도비 플래쉬 플레이어에 존재하는 CVE-2012-1535 취약점을 악용하는 악성코드는 아래와 같은 워드 파일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파일 내부에는 XOR로 인코딩된 백도어 파일도 같이 포함되어 있다. 취약한 어도비 플래쉬 플레이어 버전을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해당 취약한 워드 파일을 열게 되면 내부에 포함된 취약한 SWF 파일도 함께 실행이…

ASEC 보안 위협 동향 리포트 2012 Vol.29 발간

안랩 ASEC에서 2012년 5월 국내,외에서 발생한 다양한 보안 위협 이슈와 동향들을 정리한 ASEC 리포트 2012 Vol.29을 발간하였다.  이 번에 발간된 ASEC 리포트는 2012년 5월 주요 보안 위협 이슈들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있다. 1) 악성코드 이슈 이력서로 위장한 악성코드 LinkedIn 스팸 메일을 위장한 악성코드 유포 DHL운송 메일로 위장한 악성코드 런던 올림픽 개최를 이용한 악성코드 ws2help.dll 파일을 패치하는 온라인게임핵 변종 악성코드 AV Kill 기능을 가진 온라인게임핵 악성코드 플래시 플레이어의 제로데이 취약점(CVE-2012-0779)을 이용하는 악성코드 Python으로 제작된 맥 악성코드 프로그램 설치 화면 놓치지 마세요 어린이날에도 쉬지 않는 악성코드 제작자 2) 모바일 악성코드 이슈 안드로이드 Notcompatible 악성코드 발견 어도비 플래시 플레이어로 위장한 안드로이드 악성 앱 허위 안드로이드 모바일 백신 유포 허위 유명 안드로이드 앱 배포 웹 사이트 Talking Tom Cat 사이트로 위장한 앱 사이트를 통해 유포되는 악성코드…

변형된 형태의 XML 코어 서비스 취약점(CVE-2012-1889) 악용

ASEC에서는 6월 26일 현재까지도 제로 데이(Zero Day, 0-Day) 취약점인 XML 코어 서비스 취약점(CVE-2012-1889)을 악용한 공격 사례들이 발생하고 있다고 공유한 바가 있다. 금일 해당 XML 코어 서비스 취약점을 악용한 다른 형태의 공격 사례가 발견되었으며, 해당 공격 사례는 XML 코어 서비스 뿐 만이 아니라 자바(JAVA)와 어도비 플래쉬(Adobe Flash) 취약점까지도 같이 악용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 번에 발견된 XML 코어 서비스 취약점을 악용한 사례는 블랙홀(Blackhole)과 같은 웹 익스플로잇 툴킷(Web Exploit Toolkit) 형태로 스크립트 악성코드들을 기능별로 분류하여 단계적으로 취약점을 악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단계적으로 취약점을 악용한 공격 형태는 아래 이미지와 같은 전체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어, 일부 스크립트들만 분석하여서는 전체적인 공격 및 취약점 형태를 파악하기 어렵도록 하고 있다. 현재 해당 XML 코어 서비스 취약점 등을 악용한 공격 형태는 SQL 인젝션(Injection) 공격 기법 등으로 취약한 웹 페이지의 하단에 Exploit.html…

Adobe Flash CVE-2012-0779 취약점 악용한 Targeted Attack

한국 시각으로 5월 4일 저녁 Symantec에서는 블로그 “Targeted Attacks Using Confusion (CVE-2012-0779)“을 통해 Adobe Flash Player에 존재하는 CVE-2012-0779 취약점을 악용한 타겟 공격(Targeted Attack)이 발생하였음을 공개하였다. 이와 관련해 Adobe에서도 보안 권고문 “Security update available for Adobe Flash Player“을 통해  Flash Player에 CVE-2012-0779 취약점이 존재하며, 해당 취약점을 제거하기 위한 보안 패치를 공개하였다. 이 번에 공개된 해당 CVE-2012-0779 취약점은 Adobe Flash Player 11.2.202.233와 그 이전 버전이 모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밝히고 있다. Symantec에서는 이 번에 발생한 Targeted Attack은 전통적인 기법으로 이메일의 첨부 파일을 이용하여 진행 되었으며, 첨부 파일로는 취약한 Adobe Flash 파일을 호출할 수 있도록 되어 제작된 마이크로소프트 워드(Microsoft Word) 파일이 존재하였다. ASEC에서는 해당 워드 파일들을 확보하여, 아래 이미지와 같이 워드 파일 내부의 1Table에 취약한 Adobe Flash 파일인 SWF을 호출할 수 있도록 제작 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