펌웨어

2014년 예상 7대 보안 위협 트렌드 발표

– 악성코드와 공격기법의 고도화, 국가간 사이버보안 위협 증대, 침투경로의 다양화 등 사이버 공격이 더욱 교묘해지고 심화될 것으로 예측 안랩[대표 권치중, http://www.ahnlab.com]은 ‘2014년 예상 7대 보안 위협 트렌드’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2014년 예상되는 주요 이슈는 ►APT방식의 악성코드 고도화와 표적[target] 확대 ► 전자금융사기와 사이버범죄의 산업화 가속 ►악성코드 유포 방법의 다양화 및 고도화 지속 ►윈도XP 지원 종료에 따른 보안 위협 증가 ►특정 표적을 노린 소규모 모바일 악성코드 ►사이버 보안에 대한 국가적 인식 변화 ►펌웨어 업데이트에 악성코드 포함 시도 증가 등이다.   1] APT방식의 악성코드 고도화와 표적[target] 확대 2013년까지 기업이나 기관 등 특정 표적만을 노려 고도화된 악성코드를 이용해 정보유출이나 시스템 파괴를 노린 APT[Advanced Persistent Threat, 지능형 지속 공격] 공격이 큰 문제로 등장했다. 2014년에는 APT와 같은 지능형 공격의 표적이 확대되어, 일반 PC사용자를 노린 악성코드도 기존…

ASEC 보안 위협 동향 리포트 2011 Vol.25 발간

안철수연구소 ASEC에서 2012년 1월 국내,외에서 발생한 다양한 보안 위협 이슈와 동향들을 정리한 ASEC 리포트 2011 Vol.25을 발간하였다.  이 번에 발간된 ASEC 리포트는 2012년 1월 주요 보안 위협 이슈들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있다. MS12-004 윈도우 미디어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 스페이스와 탭을 이용한 자바스크립트 난독화 소스 출현 보안 제품의 업데이트를 방해하는 Hosts 파일 변경 악성코드 주의 내 하드디스크가 타버린다고? 불안심리를 자극하는 Hoax 악성코드 단축 URL을 이용해 트위터로 유포 중인 피싱 웹사이트 악성코드 버그로 인한 “응용 프로그램 초기화 오류”와 BSOD(Hard Disk) 발생 MADDEN NFL 12 로 위장한 악성 애플리케이션 일본 성인사이트에서 유포되는 악성 애플리케이 Hash Collision 공격을 통한 웹 서버 서비스 거부 공격(DoS) HP LaserJet  펌웨어 관련 치명적 보안 취약점 발견 이 외에 악성코드 분석 특집으로 “모바일 악성코드 동향”을 포함하고 있다.   안철수연구소 ASEC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