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약점을 악용하지 않는 한글 파일 악성코드 Posted By ASEC , 2012년 9월 13일 ASEC에서는 그 동안 한글과 컴퓨터에서 개발하는 한글 워드프로세스에 존재하는 알려진 코드 실행 취약점을 악용하는 취약한 한글 파일들이 유포된 사례들 다수를 공개하였다. 유포되었던 취약한 한글 파일들 대부분은 아래 3가지 형태의 취약점을 가장 많이 악용하여 백도어 형태의 악성코드 감염을 시도하였다. 1. HncTextArt_hplg에 존재하는 스택(Stack)의 경계를 체크하지 않아 발생하는 버퍼 오버플로우(Buffer Overflow)로 인한 임의의 코드 실행 취약점 2. HncApp.dll에 존재하는 문단 정보를 파싱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버퍼 오버플로우로 인한 임의의 코드 실행 취약점 3. EtcDocGroup.DFT에 존재하는 버퍼 오버플로우로 인한 임의의 코드 실행 취약점 그러나 9월 10일과 11일 이틀 동안 그 동안 알려진 한글 워드프로세스에 존재하는 취약점을 악용하지 않는 다른 형태의 한글 파일들 다수가 발견되었다. 이 번에 발견된 한글 파일들은 총 4개로 안전여부.hwp (47,616 바이트), 운영체제 레포트 제목.hwp (31,744 바이트), 120604 전북도당 통합진보당 규약(6월 2주차).hwp (63,488 바이트)와 민주통합전라남도당 입당,정책 입당원서(제1호).hwp (102,912 바이트)이다. 해당 한글 파일들…
마이크로소프트 2012년 9월 보안 패치 배포 Posted By ASEC , 2012년 9월 12일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서 2012년 8월 한 달 동안 해당 업체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에서 발견된 보안 취약점들을 제거하기 위해 보안 패치를 2012년 9월 12일 배포하였다. 이번에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배포된 보안 패치들은 총 2건으로 다음과 같다.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61 – 중요 Visual Studio Team Foundation Server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점 (2719584)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62 – 중요 System Center Configuration Manager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점 (2741528) 마이크로소프트의 보안 패치 설치는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 사용자들의 경우 아래 웹 사이트를 통해 진행 할 수 있다. 마이크로소프트 업데이트
마이크로소프트 2012년 7월 보안 패치 배포 Posted By ASEC , 2012년 7월 11일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서 2012년 6월 한 달 동안 해당 업체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에서 발견된 보안 취약점들을 제거하기 위해 보안 패치를 2012년 7월 11일 배포하였다. 이번에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배포된 보안 패치들은 총 9건으로 다음과 같다.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43 – 긴급 Microsoft XML Core Services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722479)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44 – 긴급 Internet Explorer 누적 보안 업데이트 (2719177)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45 – 긴급 Microsoft Data Access Components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698365)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46 – 중요 Visual Basic for Applications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707960)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47 – 중요 Windows 커널 모드 드라이버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점 (2718523)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48 – 중요 Windows 셸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알려진 한글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 Posted By ASEC , 2012년 6월 26일 ASEC에서는 6월 15일 한글과 컴퓨터에서 개발한 한글 소프트웨어에 존재하는 코드 실행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 사례가 발견되었음을 공개하였다. 현재 해당 코드 실행 취약점에 대해서는 6월 22일 한글과 컴퓨터에서는 해당 취약점을 제거할 수 있는 보안 패치를 공개하여, 해당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감염 시도에 대해서는 원천적인 차단이 가능하다. 금일 다시 국내에서 알려진 한글 소프트웨어의 취약점을 악용하여 악성코드 감염을 시도한 사례가 발견되었다. 이 번에 유포된 취약한 한글 파일들은 국내 특정 조직들을 대상으로 발송된 이메일의 첨부 파일 형태로 유포되었으며, 첨부된 취약한 한글 파일들을 열게되면 아래 이미지와 같은 내용이 보여진다. 해당 취약한 파일은 아래 이미지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으며, 6월 15일 발견된 코드 실행 취약점을 응용한 형태가 아니라 이미 보안 패치가 제공되어 있는 취약점이다. 이 번에 발견된 해당 취약한 한글 파일은 HncTextArt_hplg에 존재하는 스택(Stack)의 경계를 체크하지…
한글 코드 실행 취약점 관련 보안 패치 배포 Posted By ASEC , 2012년 6월 22일 ASEC에서 6월 15일 한글 소프트웨어의 알려지지 않은 제로 데이(Zero Day, 0-Day) 취약점을 악용하는 악성코드가 유포되었다는 소식을 전한 바가 있다. 금일 한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한글과 컴퓨터에서 한글 소프트웨어에 존재하는 해당 취약점을 제거하기 위한 보안 패치를 배포하였다. 해당 보안 패치는 한글과 컴퓨터 웹 사이트를 통해 보안 패치를 업데이트 할 수 있으며, 아래 이미지와 같이 [한컴 자동 업데이트]를 실행해서도 보안 패치 설치가 가능하다. [한컴 자동 업데이트]가 실행되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현재 설치되어 있는 한글 프로그램에 맞는 보안 패치를 자동으로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위 이미지의 [환경 설정]을 클릭하여 [업데이트 방법]과 [자동 업데이트 설정]이 가능함으로 최신 보안 패치가 배포될 경우에 자동 업데이트가 진행 된다. 한글 소프트웨어의 알려진 취약점이나 알려지지 않은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가 지속적으로 발견되고 있다. 그러므로 한글 소프트웨어 사용자는 한글과 컴퓨터에서 배포하는 보안 패치들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