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치

한글 소프트웨어 코드 실행 취약점 보안 패치 배포

ASEC에서는 11월 26일 한글과 컴퓨터에서 개발하는 한글 소프트웨어에 존재하는 알려지지 않은 제로 데이(Zero-Day, 0-Day) 취약점을 악용하여 악성코드 감염을 시도한 공격이 발생하였음을 공개하였다. 2012년 11월 26일 – 국방 관련 내용의 0-Day 취약점 악용 한글 파일 해당 제로 데이 취약점과 관련하여 12월 3일 해당 제로 데이 취약점을 제거 할 수 있는 보안 패치를 배포하기 시작하였다. [공지]한컴오피스 및 한/글 제품의 보안 패치 업데이트 안내 이 번 보안 패치의 설치 대상이 되는 한글 소프트웨어 제품들은 다음과 같다. 한컴 오피스 2010 SE+, 2007, 2005 한글 2010 SE+, 2007, 2005, 2002 해당 보안 패치는 한글과 컴퓨터 웹 사이트를 통해 보안 패치를 업데이트 할 수 있으며, 아래 이미지와 같이 [한컴 자동 업데이트]를 실행해서도 보안 패치 설치가 가능하다. [한컴 자동 업데이트]가 실행되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현재 설치되어 있는 한글…

한글 소프트웨어 보안 패치 배포

ASEC에서는 10월 10일 한글 소프트웨어에 존재하는 알려지지 않은 제로 데이(Zero-Day, 0-Day)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 시도가 발견되었다고 공지 한 바가 있다. 10월 18일부터 한글 소프트웨어 개발사인 한글과 컴퓨터에서 해당 제로 데이 취약점을 제거 할 수 있는 보안 패치를 배포 중에 있다. 이 번 보안 패치의 대상이 되는 한글 소프트웨어는 다음과 같다. 한글 2002 5.7.9.3058 및 이전버전 한글 2004 6.0.5.776 및 이전버전     한글 2005 6.7.10.1083 및 이전버전 한글 2007 7.5.12.652 및 이전버전 한글 2010 8.5.8.1278 및 이전버전     해당 보안 패치는 한글과 컴퓨터 웹 사이트를 통해 보안 패치를 업데이트 할 수 있으며, 아래 이미지와 같이 [한컴 자동 업데이트]를 실행해서도 보안 패치 설치가 가능하다. [한컴 자동 업데이트]가 실행되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현재 설치되어 있는 한글 프로그램에 맞는 보안 패치를…

한글 소프트웨어의 제로 데이 취약점 악용 악성코드

ASEC에서는 그 동안 한글 소프트웨어에 존재하는 취약점들을 악용하는 악성코드 유포 사례들을 공개 한 바가 있다. 그리고 2012년 6월 15일에는 한글 소프트웨어에 존재하는 알려지지 않은 제로 데이(Zero-Day, 0-Day)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 사례가 있음을 공개하기도 하였다. 2012년 10월 8일 한글 소프트웨어에 존재하는 알려지지 않은 제로 데이 취약점을 악용하여 악성코드 유포를 시도한 사레가 다시 발견되었으다. 이 번에 발견된 제로 데이 취약점을 악용하느 취약한 한글 파일은 아래 이미지와 같은 내용을 가지고 있으며, 유포 당시에는 “한반도통일대토론회-120928.hwp (225,792 바이트)”라는 파일명을 사용하였다. 해당 취약한 한글 파일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한글 소프트웨어에 존재하는 알려지지 않은 제로 데이 취약점을 악용하고 있으며, 현재 한글과 컴퓨터에서 관련 보안 패치를 제공하지 않고 있다. 악용되는 취약점은 한글 소프트웨어에서 사용되는 HwpApp.dll에 존재하는 한글 문서 내용을 파싱 할 때 발생하는 힙 스프레이 오버플로우(Heap-spray Overflow)로 인한…

전자 문서들의 취약점을 악용하는 악성코드들 다수 발견

추석 연휴가 끝난 이후 ASEC에서는 최근 다양한 형태의 전자 문서들에 존재하는 취약점을 악용하는 악성코드들을 발견하였다. 전자 문서와 관련된 악성코드들이 발견되는 것이 이 번이 처음 발생한 사항이 아니지만, 마이크로소프트 워드(Microsoft Word), 한글 소프트웨어 그리고 어도비 리더(Adobe Reader) 파일인 PDF에 존재하는 알려진 취약점 등을 악용하는 악성코드가 동시 다발적으로 발견된 것은 특이 사항으로 볼 수 있다. 먼저 한글 소프트웨어와 관련된 악성코드는 크게 3가지 형태로 기존에 알려진 취약점을 악용하는 형태, 특이하게 내부에 악의적인 목적으로 제작된 자바 스크립트(Java Script)가 포함된 형태 그리고 한글 문서 자체가 특이한 OLE 포맷을 가지고 있는 형태가 발견되었다. 기존에 알려진 한글 취약점을 악용하는 취약한 한글 파일은 아래 이미지와 동일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붙임1_국방기술정보 위원명단_[2].hwp (1,061,892 바이트)”로 유포되었다. 해당 취약한 한글 파일은 HncApp.dll에 존재하는 문단 정보를 파싱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버퍼 오버플로우로 인한 임의의 코드 실행…

ZeroAccess로도 알려진 Smiscer 변형

제로엑세스(ZeroAccess)로도 알려진 스미서(Smiscer) 변형은 얼마 전 국내 언론의 “악성코드 ‘제로액세스’, 전 세계 900만대 감염시켜” 기사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많은 감염 피해를 유발하고 있다. ASEC에서는 9월 초에 발견된 스미서의 변형에 대해 상세한 분석을 통해 이 번에 발견된 스미서 변형이 어떠한 방식으로 동작하는지 파악하였다. 우선 스미서 변형의 감염 기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EA(Extended Attributes)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EA(Extended Attributes)는 원래 HPFS(High Performance File System)에 있는 기능을 NTFS에서 구현 해 놓은 것을 말하며, 쉽게 설명하면 파일의 추가적인 속성을 “Name=Value” 처럼 환경 변수 형태로 파일에 붙이는 것을 이야기 한다.   윈도우 시스템에서는 ZwSetEaFile과 ZwQueryEaFile 두 개의 API로 해당 값들을 Set 혹은 Query 할 수 있게 제공하고 있으며 FILE_FULL_EA_INFORMATION이라는 구조체의 링크드 리스트(Linked List)로서 EA를 구현해 놓았다. 물론 EaValueLength가 2 Byte 변수이므로 최대 64K 바이트(Byte)까지 값을 쓸수 있다. 위 이미지와 같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