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리스 형태의 블루킵(BlueKeep) 취약점 V3 행위탐지 영상 Posted By ASEC , 2019년 12월 17일 지난 5월 14일 MS는 블루킵(CVE-2019-0708) 취약점 패치를 위해 긴급 보안 업데이트를 공지하였다. 또한 이례적으로 서비스 지원을 중단한 OS(Windows XP, Windows Vista, Windows Server 2003)까지 업데이트를 제공하며 블루킵 취약점을 2017년의 이터널 블루 취약점과 같이 ‘Wormable’한 취약점으로 악용될 수 있음을 경고하였다. 블루킵은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RDP(Remote Desktop Protocol) 연결 과정 중 클라이언트가 특정 채널(MS_T120)로 악의적인 패킷을 전송했을 때 Use-After-Free가 발생하여 원격 코드 실행이 가능한 취약점이다. 패치 업데이트가 최초 공개된 5월 14일 이후 4개월이 지난 9월 6일에는 메타스플로잇에 원격 코드 실행까지 가능한 POC가 공개되면서…
V3 Lite 4.0 새로운 탐지기능 소개: 매그니베르(Magniber) 랜섬웨어 차단 Posted By ASEC , 2019년 12월 10일 파일리스(Fileless) 형태로 동작하는 매그니베르(Magniber) 랜섬웨어는 2018년 4월에 ASEC블로그를 통해 복구툴을 배포한 후, 암호화 방식의 변화로 2018년 6월부터 현재까지 등장하는 형태는 모두 복구가 불가능한 형태로 유포 중이다. 여전히 국내 피해사례가 많은 상황이며, IE 취약점(CVE-2018-8174)을 통해 유포 중임으로 IE 사용자의 경우 보안패치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ASEC 분석팀에서는 지속적으로 매그니베르 랜섬웨어 유포지를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1)11월 11일 이후 동작방식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어떠한 동작방식의 변화가 있었는지를 설명하고, V3 Lite 4.0 제품에 새롭게 적용된 ‘프로세스 메모리 진단‘ 탐지기능을 통한 2)암호화 차단과정을 소개하고자 한다. 매그니베르 랜섬웨어는 IE 브라우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