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랩, 휴가철 노리는 악성코드 주의보 Posted By ASEC , 2013년 8월 19일 -접속자 수 많으면서 보안 취약한 여행사 홈페이지에 악성코드 몰래 삽입 -웹사이트 방문만으로도 금융정보 노리는 파밍 악성코드 설치 -백신 업데이트, 수상한 메일 첨부파일 실행 금지 등 보안수칙 준수 많은 직장인이 애타게 기다려온 여름 휴가가 있는 8월이다. 하지만 휴가철을 맞아 들뜬 마음으로 여행을 계획하는 사이에 자신의 금융정보가 유출될 수도 있다. 안랩[대표 김홍선, http://www.ahnlab.com]은 최근 각종 여행상품을 판매하는 여행 전문 웹사이트에서, 금융정보를 유출하는 악성코드 유포가 발견되어 사용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고 발표했다. 이번 악성코드는 휴가철을 맞아 접속 빈도가 높아진 온라인 여행사의 홈페이지에 삽입되어 자동으로 설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보안이 소홀한 여행사 홈페이지를 방문하기만 해도, 해당 홈페이지에 몰래 삽입된 악성코드가 자동으로 사용자 PC를 감염시킨다. 이 때 다운로드 되는 악성코드는 사용자의 금융정보를 탈취하기 위해, 공격자가 만들어 놓은 파밍사이트로 사용자의 접속을 유도하는 기능을 가지고…
ASEC 보안 위협 동향 리포트 2012 Vol.42 발간 Posted By ASEC , 2013년 8월 16일 안랩 ASEC에서 2012년 12월 국내,외에서 발생한 다양한 보안 위협 이슈와 동향들을 정리한 ASEC 리포트 2012 Vol.36을 발간하였다. 이 번에 발간된 ASEC 리포트는 2012년 12월 주요 보안 위협 이슈들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있다. 1) 악성코드 이슈 포털 사이트 겨냥한 금감원 사칭 피싱 악성코드 주의’ 택배 사이트 배송조회 페이지에서 유포된 악성코드 토렌트 사이트에서 유포된 hosts.ics 생성 악성코드 최신 영화 공유 파일을 이용한 악성코드 유포 다앙한 DDoS 공격 기능이 있는 악성코드 PUP(불필요한 프로그램)의 습격 한컴 엑셀 파일 취약점을 이용한 백도어 유포 전자 계정 명세서로 위장한 스팸 메일 이메일로 도착한 문자메시지 2) 모바일 악성코드 이슈 금융사 피싱 앱 주의 문자메시지 수집하는 사생활 침해 악성 앱 주의 성인 악성 앱 주의 안드로이드 랜섬웨어 주의 3) 보안 이슈 주요 정부기관 DNS 서버 DDoS 국제 사회에 영향을…
hosts.ics를 이용한 파밍 사이트 접속유도 Posted By ASEC , 2013년 4월 25일 인터넷 사용이 일반화 되면서 인터넷뱅킹을 통해 은행을 직접 가지 않더라도 책상 앞에서 손쉽게 온라인 송금이 가능하고, 직접 매장에 가지 않더라도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손쉽게 물건을 구매할 수 있는 편리한 세상이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 발전의 이면에는 조그만 부주의가 큰 손실을 가져오기도 한다. 최근 올바른 홈페이지 주소를 입력하여도 가짜 홈페이지로 유도되어 개인의 금융거래 정보를 탈취하는 파밍 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이러한 사고의 예방을 위해 파밍 기법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의 금융정보를 가로채기 위해 공격자들은 악성코드 감염을 통해 사용자의 hosts 파일을 변경하거나, 공격자가 만들어 놓은 서버 IP를 사용자 DNS 서버 IP로 변경하여 정상적인 금융권 사이트 접속 시 공격자가 만들어 놓은 가짜 사이트로 접속하도록 만든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이미 일반화 된 공격방법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보안프로그램들은 사용자 시스템의 hosts파일을 모니터링…
주민번호 체크하는 파밍 사이트 (인터넷 뱅킹 정보 탈취) Posted By ASEC , 2013년 3월 18일 국내 온라인 뱅킹 사용자를 타깃으로 보안카드 등의 금융 정보를 노리는 악성코드(Banki) 변종이 지속적으로 발견되는 가운데, 최근 이름과 주민번호를 체크하는 루틴까지 추가된 변종이 발견되면서 그 수법이 점차 고도화되고 있어 사용자의 주의가 필요로 하다. '파밍' 이라고도 부르는 해당 악성코드는 가짜 뱅킹 사이트로 연결되도록 조작해 금융정보를 빼내는 신종 사기 수법으로, 최근 거액의 사기사건이 보고되면서 사회적인 이슈가 되고 있다. 보통 악성 스크립트가 삽입된 취약한 웹사이트를 통해 감염되며, 감염 시 hosts 파일을 변경하여 악성코드 제작자가 만든 가짜 뱅킹 사이트로 접속됨으로써 사용자의 금융정보를 입력 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이번에 발견된 변종이 유포되는 유포지 와 [9090.exe] 다운로더 에 의해 생성되는 파일은 아래와 같다. [Download URL] http://125.***.***.5/9090.exe (Downloder) http://sk*******3.g****.net/asd.txt (다운로드되는 파일 목록) http://125.***.***.4:8080/26.exe (hosts 파일 변조) http://125.***.***.5/8888.exe (021F0552svchsot.exe 생성) http://125.***.***.5/23.exe (hosts 파일 변조) 다운로드 된 [26.ex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