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파이아이 공격 대상 기업들의 업종과 국가 분석 Posted By ASEC , 2012년 4월 4일 안랩에서는 4월 2일 “인터넷뱅킹 정보탈취 악성코드 스파이아이 트렌드 발표“라는 보도자료를 배포하고, 금전적인 목적으로 인터넷 뱅킹 정보를 탈취하는 악성코드인 스파이아이(SpyEye)에 대해 경고하였다. 스파이아이는 2010년 11월 ASEC에서 분석 및 연구한 결과에서 처럼 툴킷(Toolkit)을 통해 악성코드를 제작할 때 악성코드 제작자에 의해 어떠한 웹 사이트들 사용자 정보들을 탈취 할 것인지를 설정 파일을 통해 구성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ASEC에서는 2012년 1분기 동안 확보한 스파이아이 악성코드 샘플들을 대상으로 스파이아이가 어떠한 기업들의 사용자 계정 정보와 암호를 탈취를 노리는지 자세한 분석을 진행 하였다. 일반적으로 스파이아이는 악성코드가 첨부된 이메일 또는 취약한 웹 사이트 등을 통해 유포되고 있음으로 백신을 사용하지 않거나 최신 엔진으로 업데이트하지 않는 사용자와 취약점이 존재하는 윈도우 운영체제 사용자들의 감염이 비교적 높은 편이다. ASEC에서 스파이아이 악성코드가 생성하는 암호화 되어 있는 설정 파일을 분석 한 결과로는 악성코드 제작자의 공격…
2012 예상 스마트폰 보안 위협 트렌드 발표 Posted By ASEC , 2012년 1월 5일 – 앱, OS 취약점 노린 악성코드 대량 유포, 좀비폰 본격 등장 예상 – 스마트폰 전용 백신, 공식 마켓 활용 등 사용자 주의 당부 글로벌 보안 기업인 안철수연구소[대표 김홍선, http://www.ahnlab.com, 약칭 ‘안랩’]는 5일 2011년에 발생했던 주요 스마트폰 악성코드 트렌드와 2012년에 예상되는 스마트폰 보안 위협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2011년의 주요 이슈는 ▶과금형 악성코드 폭발적 증가 ▶유명 어플리케이션으로 위장한 악성코드 ▶사생활 침해형 애플리케이션 증가 ▶ 온라인뱅킹정보 노리는 악성코드 발생 등을 꼽았다. 또한, 2012년 한 해 예상되는 주요 스마트폰 보안이슈는 ▶ 애플리케이션, OS 취약점 등을 이용한 악성코드 대량 유포 가능성 ▶커널을 공격하는 루트킷 기능의 발전 ▶ 좀비폰 및 봇넷 본격적 활성화 ▶국내를 겨냥하는 모바일 악성코드 등장 등이다. 2012년 예상 스마트폰 보안 위협 1] 애플리케이션, 운영체제 취약점 등을 이용한 악성코드 대량…
2012년 예상 7대 보안 위협 트렌드 발표 Posted By ASEC , 2012년 1월 2일 – APT 공격 경로 지능화, PC 악성코드 수준의 스마트폰 악성코드 등장 – 애플리케이션 취약점 공격 국지화, 가상화/클라우드 환경 및 스마트TV도 공격 타깃 글로벌 보안 기업인 안철수연구소[대표 김홍선, http://www.ahnlab.com, 약칭 ‘안랩’]는 2일 ‘2012년 예상 7대 보안 위협 트렌드’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올 한 해 예상되는 주요 이슈는 ▶APT 공격 경로 지능화 ▶PC 악성코드 수준의 스마트폰 악성코드 등장 ▶SNS 통한 보안 위협 증가 ▶애플리케이션 취약점 공격 국지화 ▶특정 국가 산업/기관 시스템 공격 시도 증가 ▶가상화 및 클라우드 환경 공격 본격화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시스템에 대한 공격 증가 등이다. 1] APT 공격 경로 지능화 기업과 기관을 겨냥한 APT 공격이 2012년에도 지속적으로 이어지는 한편, 공격 경로가 지능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제껏 주된 공격 방식은 타깃 기업/기관의 특정 구성원에게 업무 메일로 위장하는 것이다. 즉, SNS[소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