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

2019년 상반기 랜섬웨어 동향

2019년 2분기 샘플 건수는 47만4천건으로, 2019년 1분기 33만6천 건 대비 41.2% 증가 하였다. 증가 원인이 된 랜섬웨어는 GandCrab 과 기타로 분류된 감염 리포트가 적은 랜섬웨어 유형이다. 감염 리포트 건수는 2분기 4만1천 건으로 1분기 14만7백 건 보다 무려 70.7% 감소하였다. 지난 2016년부터 랜섬웨어 통계를 산출하기 시작한 이래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그림1] 2018.01~2019.06 랜섬웨어 통계 (샘플 및 감염 리포트 건수) 감소 원인은 대표적으로 GandCrab 과 Wannacry 감염보고가 현저히 줄었기 때문으로 파악 되었다. GandCrab 은 3월부터 감염보고 건수가 감소하기 시작하여 6월 최대…

2019년 1분기 랜섬웨어 동향

2019년 1분기 샘플건수는 33만6천건으로, 2018년 4분기 42만8천건 대비 21.3% 감소 하였다. 감염 리포트는 1분기 14만건으로 직전 분기 7만6천건 보다 84.1% 증가 하였다. 샘플건수 감소 원인은 그 동안 감염 리포트 건수가 현저히 적은 Teslacrypt 와 Nabucur 랜섬웨어를 2019년 1분기 통계에서부터 제외 했기 때문이다. Teslacrypt 의 1분기 샘플건수는 28만9천건 이지만 감염 리포트 건수는 26건에 지나지 않았다. Nabucur 는 33만6천건의 샘플건수를 갖고 있으나, 감염 리포트 건수는 불과 23건 이였다.   [ 그림1] 2018.01 ~ 2019.03 랜섬웨어 통계 (샘플 및 감염 리포트 건수) 1분기 감염 리포트 증가 원인은 GandCrab 과 Wannacry 가 2월과 3월에 폭발적으로 증가 했기 때문이다. – 하단의 [그림2], [그림3] GandCrab 과 Wannacry 샘플 및 감염 추세 그래프 참고 – GandCrab 샘플 건수를 먼저 알아보면 직전 분기 2만2천건에서 11만1천건으로 무려 399.4% 증가…

암호화폐 가치에 따른 마이너 악성코드 동향 (2018)

2018년 마이너(Miner) 악성코드 샘플과 감염 리포트 수량이 크게 증가했다. 해당 악성코드의 샘플 수량은 2017년의 12만7천건에서  2018년도는 299만건으로 무려 2,254% 증가율을 보였다. [그림 1] Miner 악성코드 샘플 수량 및 감염 리포트 수량 vs 비트코인 가격 (※ 비트코인 시세: 코인마켓캡(https://coinmarketcap.com) 자료 기준) 마이너 악성코드의 폭발적인 증가는 암호화폐(Cryptocurrency, 일명 가상화폐)의 급격한 가치 상승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그림 1]과 [그림 2]의 비트코인(Bitcoin, BTC)과 모네로(Menero, XMR) 가격 추세 그래프에서 알 수 있듯이 2018년 1분기 암호화폐의 가격 상승과 함께 샘플 및 감염 리포트 수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참고로 암호화폐의 대명사로 알려진 비트코인과 달리 모네로는 거래의 익명성이 보장되어 누가 얼마나 보낸 것인지 알 수 없으며, 성능 좋은 고가의 GPU(Graphics Processing Unit)를 장착한 시스템이 아닌 일반 CPU(Central Processing Unit) 환경에서도 채굴을 지원하는 대표적인 코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이유로…

2018년 랜섬웨어 동향

최근 몇 년 동안 기승을 부리던 랜섬웨어의 전체적인 세력은 2018년에는 다소 약화되었다. 2018년 한해 동안 안랩에 접수된 샘플 수는 120만건으로, 이는 지난해 147만건에 비해 18.3% 감소한 수치다. 다만, 감염 리포트 건수는 84만5천건으로 전년의 83만2천건보다 1.5% 정도만 증가했다. 감염 리포트 소폭 증가 원인은 2018년 상반기에 케르베르(Cerber), 매그니베르(Magniber), 갠드크랩(GandCrab) 등의 랜섬웨어로 인한 피해가 많았기 때문이다.   샘플 건수의 감소 원인은 악성코드 제작자들은 랜섬웨어보다는 암호화폐 채굴과 관련이 있는, 일명 마이너(Miner)라고 불리는 악성코드의 제작과 유포에 더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2018년은 랜섬웨어보다는 '마이너 악성코드의 한 해'라고도 할 수 있다. 이 악성코드 유형은 월평균 무려 25만건이 보고 되었으며 랜섬웨어는 월평균 10만건이 보고 되었기 때문이다. (참고로 마이너 악성코드 동향은 추후 ASEC 블로그를 통해 소개할 예정이다.) [그림1] 2017.01 ~ 2018.12 랜섬웨어 통계 (샘플 및 감염 리포트…

2018년 3분기 랜섬웨어 동향

2018년 3분기 샘플건수는 2분기 대비 17.7% 증가 하였고 감염 리포트 건수는 63.3% 감소 하였다. 샘플건수 증가 원인은 리포트 건수가 적어 ‘기타’ 로 분류된 랜섬웨어군 샘플 증가가 원인 이였다. 좀더 들여다 보면 새로운 랜섬웨어가 갑자기 증가 한 것은 아니며 Nabucur 랜섬웨어 같이 바이러스 증상을 갖는 유형이 만들어낸 변형이 증가 하거나 별다른 진단명이 부여 되지 않는 랜섬웨어 유형 (Ransom, FileCoder 진단명) 변형이 증가한 것이 원인 이였다. 또한 ‘기타’로 분류된 랜섬웨어군에는 이번 분기에 새로이 발견된 랜섬웨어도 포함 (Ryukran, KrakenCryptor 등) 되었다. 역시 리포트 건수는 매우 적었고 특정 사건과 연관이 되거나 기존 랜섬웨어등에서는 보이지 않았던 피해 증상등이 (파일 삭제 프로그램을 추가 다운로드 하여 실행) 기사화 되어 언론에서 잠시 주목을 받았다. 리포트 건수 감소 원인은 매해 3분기는 여름휴가 및 추석연휴와 같은 특수로 인하여 2분기 대비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 특히 올해 3분기는 큰 폭으로 감소 하였고 계절적인 특수 이외에도 랜섬웨어 행위를 탐지하는 룰들의 행위 차단 건수가 이번 분기 79,437건으로 확인 되어 이전 분기 대비 49.4% 상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