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하드와 토렌트를 통해 유포 중인 njRAT Posted By ASEC , 2021년 6월 7일 njRAT 악성코드는 공격자의 명령을 받아 다양한 악성 행위를 수행할 수 있는 RAT 악성코드이다. 대표적으로 파일 다운로드 및 명령 실행, 키로깅 그리고 사용자 계정 정보 탈취와 같은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기 때문에 과거부터 꾸준히 공격자들에 의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인터넷에서 쉽게 빌더를 구할 수 있기 때문에 국내 사용자들을 대상으로도 다양한 형태로 유포 중이며, 대표적으로는 토렌트와 웹하드를 이용해 정상 프로그램으로 위장하여 유포하는 방식이 있다. 참고로 njRAT 악성코드에 대해서는 과거 ASEC 블로그에서도 다수 소개된 바 있으며 하단의 블로그 링크를 참고하자. njRAT 같은 이미 알려진…
국내 유명 웹하드를 통해 유포되는 njRAT 악성코드 Posted By ASEC , 2020년 8월 19일 njRAT 악성코드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탈취하며 공격자의 명령을 받아 실행할 수 있는 RAT 악성코드로, 국내에서 개인을 상대로 꾸준히 유포되고 있다. https://asec.ahnlab.com/1367 진단 로그를 분석한 결과 njRAT은 주로 웹하드나 토렌트 등 자료 공유 사이트를 통하여 게임, 인증 툴, 유틸리티 등의 정상 파일로 위장하여 유포되며, 대부분의 경우 원본 프로그램이 실행됨과 동시에 악성코드가 감염되어 사용자 입장에서는 감염 사실을 파악하기 쉽지 않다. ASEC 분석팀은 njRAT 악성코드가 국내 웹하드 사이트를 통해 유포 중인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최근 유포된 njRAT의 파일명을 기반으로 역추적한 결과 다음과 같이 국내…
영화 ‘반도’ 동영상 파일로 위장하여 백도어 유포 중 (Torrent) Posted By ASEC , 2020년 8월 5일 지난 6월 24일 ASEC 분석팀은 현재 상영중인 영화 “결백” 영화 파일을 위장한 백도어 악성코드의 유포 현황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8월 5일 동일 류의 악성코드를 모니터링 중 최신 영화인 “반도” 영화 파일로 새롭게 위장한 백도어 악성코드가 유포되는 정황을 포착하였다. 공격자는 지난 번과 동일하게 일반 사용자들이 많이 이용하는 “토렌트(Torrent)”를 통해 악성코드를 유포하였으며, 업로드 시점은 8월 4일 02시 20분으로 확인되었다. 자사 ASD(AhnLab Smart Defense) 인프라에 따르면 해당 파일에 의한 감염자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https://asec.ahnlab.com/1351 유포지에서 다운로드 된 토렌트 파일명은 영화 파일(“반도.2019.1080p.x265.Netbox.zip“)인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 파일의 확장자는 zip 압축 파일이다. 해당 압축 파일…
영화 ‘결백’ 동영상 파일(*.AAC)로 위장하여 유포되는 백도어 Posted By ASEC , 2020년 7월 7일 지난 6월 24일 ASEC 분석팀은 현재 상영중인 영화 “결백”으로 위장한 백도어형 악성코드(Innocence Bot) 유포 이력을 확인하였다. 이번에 사용된 유포 방식은 많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토렌트”를 통해 유포되었으며 자사 ASD(AhnLab Smart Defense) 인프라에 따르면 해당 파일에 의한 감염자 수가 5만건 이상으로 보고되었다. 확인 결과, 해당 악성 파일은 지난 5월에 반영한 V3 제너릭(Generic) 진단에 의해 기 진단되고 있었다. 즉, V3 사용자의 경우 이번 유포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악성코드 유포 토렌트 사이트 유포지에서 다운로드 된 토렌트 파일명은 영화 파일(“결백.Innocence.2019.WEBRip.1080p.x264.AAC.zip“)인 것처럼 보이지만,…
ASEC 보안 위협 동향 리포트 2013 Vol.44 발간 Posted By ASEC , 2013년 10월 7일 안랩 ASEC에서 2013년 8월 국내,외에서 발생한 다양한 보안 위협 이슈와 동향들을 정리한 ASEC 리포트 2012 Vol.44을 발간하였다. 이 번에 발간된 ASEC 리포트는 2013년 8월 주요 보안 위협 이슈들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있다. 1) 악성코드 이슈 메모리 패치형 Banki의 온라인 뱅킹 정보 탈취 기법 분석 고객님, 영수증이 발급되었습니다 아마존 구매 관련 메일로 위장한 스팸 메일 특정 은행 대출 승인 메일로 위장한 스팸 메일 휴가철, 사용자의 휴가비를 노려라!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을 이용한 악성코드 유포 토렌트 파일로 위장한 악성코드 주의 Your reservation is now confirmed!’ 델타 항공 메일로 위장한 악성코드 유포 2) 모바일 악성코드 이슈 V3 모바일 설치 위장 스미싱 주의! 금융사 피싱 앱 주의 3) 보안 이슈 자바 취약점과 결합된 메모리 해킹 인터넷 뱅킹 보안 대책 ASEC에서 발간하는 월간 보안 위협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