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EC 보안 위협 동향 리포트 2013 Vol.44 발간 Posted By ASEC , 2013년 10월 7일 안랩 ASEC에서 2013년 8월 국내,외에서 발생한 다양한 보안 위협 이슈와 동향들을 정리한 ASEC 리포트 2012 Vol.44을 발간하였다. 이 번에 발간된 ASEC 리포트는 2013년 8월 주요 보안 위협 이슈들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있다. 1) 악성코드 이슈 메모리 패치형 Banki의 온라인 뱅킹 정보 탈취 기법 분석 고객님, 영수증이 발급되었습니다 아마존 구매 관련 메일로 위장한 스팸 메일 특정 은행 대출 승인 메일로 위장한 스팸 메일 휴가철, 사용자의 휴가비를 노려라!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을 이용한 악성코드 유포 토렌트 파일로 위장한 악성코드 주의 Your reservation is now confirmed!’ 델타 항공 메일로 위장한 악성코드 유포 2) 모바일 악성코드 이슈 V3 모바일 설치 위장 스미싱 주의! 금융사 피싱 앱 주의 3) 보안 이슈 자바 취약점과 결합된 메모리 해킹 인터넷 뱅킹 보안 대책 ASEC에서 발간하는 월간 보안 위협 동향…
ASEC 보안 위협 동향 리포트 2013 Vol.43 발간 Posted By ASEC , 2013년 9월 13일 안랩 ASEC에서 2013년 7월 국내,외에서 발생한 다양한 보안 위협 이슈와 동향들을 정리한 ASEC 리포트 2012 Vol.36을 발간하였다. 이 번에 발간된 ASEC 리포트는 2013년 7월 주요 보안 위협 이슈들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있다. 1) 악성코드 이슈 고객님, 당황~하셨어요? 구매 발주서로 위장한 키로그 악성코드 주의 구입 주문서 위장 악성 메일 PayPal 피싱 주의 날씨 배너에 숨겨진 악성코드 회사 도메인 파일을 첨부한 악성 스팸 메일 주의 특정 기관을 대상으로 유포된 한글 악성코드 발견 한글 문서 파일을 노린 악성코드 NTFS 파일 시스템을 악용하는 악성코드 일본 자동차 업체의 해외 사이트 악성코드 유포 2) 모바일 악성코드 이슈 PC 정보 탈취하는 안드로이드 앱 안드로이드 인증서 우회 취약점 중국산 Langya 악성 앱 3) 보안 이슈 마이크로소프트 IE Use-After-Free 취약점 (CVE-2013-3163) 악용 국내 다수의 사이트를 통해 악성코드 뱅키(Banki) 배포 ASEC에서…
The “Kimsuky” Operation로 명명된 한국을 대상으로 한 APT 공격 Posted By ASEC , 2013년 9월 12일 2013년 9월 12일 새벽 러시아 보안 업체인 캐스퍼스키(Kaspersky)에서는 해당 업체 블로그 “The “Kimsuky” Operation: A North Korean APT?“를 통해 한국을 대상으로 한 고도의 APT(Advanced Persistent Threat) 공격이 발견되었음을 공개하였다. 해당 블로그에서는 총 31개의 악성코드 MD5 해쉬(Hash) 값을 공개하였으며, 공격자는 불가리아의 무료 이메일 서버스인 mail.bg 를 이용해 감염된 시스템에서 탈취한 데이터를 보관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ASEC에서는 해당 블로그에서 공개한 총 31개의 악성코드에 대해 2013년 6월부터 발견되고 있음을 파악하고 다양한 방안으로 대응을 진행 중에 있다. 아래 그래프는 이번에 캐스퍼스키에서 명명한 The “Kimsuky” Operation에서 공개된 31개의 악성코드들을 ASD(AhnLab Smart Defense)의 데이터 베이스에 다년간 축적된 데이터를 이용해 발견된 시기를 년도와 월별로 정리한 내역이다. 이번 한국을 대상으로한 The “Kimsuky” Operation로 명명된 APT 공격에 사용된 악성코드는 2009년 3월 최초로 발견되었으며, 4년 동안 동일한 형태의 다른 변형들이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2013년 6월 초를 시작으로 6월 한…
안랩 MDS(국내명:트러스와처), NSS의 정보유출 진단 테스트에서 높은 점수 획득 Posted By ASEC , 2013년 8월 2일 – 안랩 MDS, 94.7 퍼센트의 정보유출 방지 및 진단율을 기록 글로벌 정보보안 기업인 안랩[대표 김홍선, http://www.ahnlab.com]의 APT대응 전문 솔루션 ‘안랩 MDS [AhnLab Malware Defense System, 국내제품명 트러스와처]’가 권위있는 글로벌 독립 보안테스트 기관인 NSS Labs[www.nsslabs.com,이하 NSS]가 7월에 실시한 ‘정보유출 진단 제품 분석[Breach Detection System Product Analysis]’테스트에서 높은 점수를 획득했다. 최근 몇 개월 간, NSS는 미국 텍사스에 위치한 자사 연구소에서 APT성 공격으로 인한 정보유출 대응에 대한 심도있는 테스트를 실시했다. 이번 테스트는 인터넷 및 이메일로 전파되는 악성코드, 취약점, 보안제품 우회 악성코드 및 전체적인 정보유출 진단 및 치료에 대한 항목으로 실시되었다. 안랩MDS는 이번 장기간 테스트에서 94.7 퍼센트의 정보유출 방지 및 진단율을 기록해 높은 점수를 획득했다. 안랩 MDS는 신속한 악성코드 진단과 광범위한 전사 시스템 보호, 자동 치료 기능을 제공한다. 특히, 유일한 전용 하드웨어…
남미 은행을 타깃으로 한 봇넷 Posted By ASEC , 2013년 4월 11일 국내에서 온라인 뱅킹 사용자를 타깃으로 한 악성코드가 발견된 것은 오래 전 일이지만, 최근들어 폭발적인 증가를 보여주고 있었다. 해외에서도 오래 전부터 피싱이나 파밍과 같은 온라인 사기 수법이나 인터넷 뱅킹 관련 정보 수집을 목적으로 악성코드를 이용한 공격에 의한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었다. 해외 기사에서 보고된 AlbaBotnet은 인터넷 뱅킹 정보를 탈취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된 악성코드의 좋은 예이다. 이 봇넷은 칠레 은행의 온라인뱅킹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타깃으로 제작된 악성코드로 이메일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유포된 것으로 보고 있다. 이 봇넷의 한 변형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감염행위가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system32폴더에 wincal.exe 이름으로 자신을 복사한 후 실행 레지스트리에 아래의 데이터를 추가하여 부팅 시 실행 HKCU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Windowsload “C:WINDOWSsystemwincal.exe” hosts 파일을 변조하기 위한 정보가 있는 111.**.***.208 IP에 접속 서버에서 받아온 정보를 참조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