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 실행

지속적으로 발견되는 취약한 한글 파일 유포

ASEC에서는 한글과 컴퓨터에서 개발하는 한글 소프트웨어에 존재하는 코드 실행 제로 데이(Zero Day, 0-Day) 취약점을 악용하는 악성코드가 6월 15일 발견되었음을 공개하였다. 그리고 6월 22일에는 기존에 발견되었던 취약점을 악용한 취약한 한글 파일이 발견되었음을 공개하였다. 7월 4일 어제 다시 한글 소프트웨어에 존재하는 알려진 취약점을 악용한 취약한 한글 파일이 발견되었으며, 해당 취약한 한글 파일 역시 이메일의 첨부 파일 형태로 국내 특정 조직을 대상으로 유포 되었다. 이메일에 첨부되어 유포된 해당 취약한 한글 파일을 열게 되면 아래 이미지와 동일한 내용이 나타나게 된다. 해당 취약한 파일은 아래 이미지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으며, 6월 15일 발견된 코드 실행 취약점을 응용한 형태가 아니라 이미 보안 패치가 제공되어 있는 취약점이다. 이 번에 발견된 해당 취약한 한글 파일은 HncTextArt_hplg에 존재하는 스택(Stack)의 경계를 체크하지 않아 발생하는 버퍼 오버플로우(Buffer Overflow) 취약점이며, 해당 취약점은 2010년부터…

알려진 한글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

ASEC에서는 6월 15일 한글과 컴퓨터에서 개발한 한글 소프트웨어에 존재하는 코드 실행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 사례가 발견되었음을 공개하였다. 현재 해당 코드 실행 취약점에 대해서는 6월 22일 한글과 컴퓨터에서는 해당 취약점을 제거할 수 있는 보안 패치를 공개하여, 해당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감염 시도에 대해서는 원천적인 차단이 가능하다. 금일 다시 국내에서 알려진 한글 소프트웨어의 취약점을 악용하여 악성코드 감염을 시도한 사례가 발견되었다. 이 번에 유포된 취약한 한글 파일들은 국내 특정 조직들을 대상으로 발송된 이메일의 첨부 파일 형태로 유포되었으며, 첨부된 취약한 한글 파일들을 열게되면 아래 이미지와 같은 내용이 보여진다. 해당 취약한 파일은 아래 이미지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으며, 6월 15일 발견된 코드 실행 취약점을 응용한 형태가 아니라 이미 보안 패치가 제공되어 있는 취약점이다. 이 번에 발견된 해당 취약한 한글 파일은 HncTextArt_hplg에 존재하는 스택(Stack)의 경계를 체크하지…

XML 코어 서비스 취약점(CVE-2012-1889) 악용 증가

현지 시각으로 6월 12일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서는 XML 코어 서비스(Core Services)에 알려지지 않은 제로 데이(Zero Day, 0-Day) 취약점이 발견되었음을 보안 권고문 “Microsoft Security Advisory (2719615) Vulnerability in Microsoft XML Core Services Could Allow Remote Code Execution“을 통해 공개한 바가 있다. 해당 취약점은 공격자가 지정한 임의 코드를 실행 할 수 있는 코드 실행 취약점이며, 해당 XML 코어 서비스를 사용하는 윈도우(Windows) 운영체제와 오피스(Office) 2003과 2007 버전에서 악용이 가능하다. 해당 취약점은 현재까지도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보안 패치를 제공하지 않는 제로 데이 취약점이며, 임시 방안으로 해당 취약점을 제거 할 수 있는 픽스 잇(Fix it)을 보안 공지 “Microsoft 보안 공지: Microsoft XML Core Services의 취약성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를 통해 배포 중에 있다. 해당 XML 코어 서비스를 악용하는 스크립트 악성코드가 해외에서 발견되는 사례가 서서히 증가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최근 발견된 해당…

마이크로소프트 2012년 6월 보안 패치 배포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서 2012년 5월 한 달 동안 해당 업체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에서 발견된 보안 취약점들을 제거하기 위해 보안 패치를 2012년 6월 13일 배포하였다. 이번에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배포된 보안 패치들은 총 7건으로 다음과 같다.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36 – 긴급 원격 데스크톱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685939)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37 – 긴급 Internet Explorer 누적 보안 업데이트 (2699988)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38 – 긴급 .NET Framework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706726)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39 – 중요 Lync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707956)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40 – Important Vulnerability in Microsoft Dynamics AX Enterprise Portal Could Allow Elevation of Privilege (2709100)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41 – 중요 Windows 커널 모드 드라이버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점…

여러가지 취약점을 이용한 제우스봇 전파 메일 발견

2011년 12월 23일 국내에서 제우스 봇(Zeus Bot) 유포를 위해 여러가지 어플리케이션들의 취약점 악용 웹 페이지 접속을 유도하는 전자 메일이 발견되었다. 이 번에 유포된 해당 전자 메일의 제목은 “Fwd : I’m in trouble” 이며 본문은 아래와 같다.    I was at a party, got drunk, couldn’t drive the car, somebody gave me a lift on my car, and crossed on the red light! I’ve just got the pictures, maybe you know him??? Here is the photo I need to find him urgently! Thank you <보낸 사람> 유포된 전자 메일의 형태는 아래 이미지와 같다. 유포되는 메일 형식은 해외 보안 업체인 컴터치(Commtouch) 블로그 “The “I’m in trouble” massive malware outbreak“를 참고 할 경우 다른 유사 변형들도 상당수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 된다.  메일 수신자가 전자 메일 본문의 ‘Here is t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