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EC 보안 위협 동향 리포트 2012 Vol.42 발간 Posted By ASEC , 2013년 8월 16일 안랩 ASEC에서 2012년 12월 국내,외에서 발생한 다양한 보안 위협 이슈와 동향들을 정리한 ASEC 리포트 2012 Vol.36을 발간하였다. 이 번에 발간된 ASEC 리포트는 2012년 12월 주요 보안 위협 이슈들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있다. 1) 악성코드 이슈 포털 사이트 겨냥한 금감원 사칭 피싱 악성코드 주의’ 택배 사이트 배송조회 페이지에서 유포된 악성코드 토렌트 사이트에서 유포된 hosts.ics 생성 악성코드 최신 영화 공유 파일을 이용한 악성코드 유포 다앙한 DDoS 공격 기능이 있는 악성코드 PUP(불필요한 프로그램)의 습격 한컴 엑셀 파일 취약점을 이용한 백도어 유포 전자 계정 명세서로 위장한 스팸 메일 이메일로 도착한 문자메시지 2) 모바일 악성코드 이슈 금융사 피싱 앱 주의 문자메시지 수집하는 사생활 침해 악성 앱 주의 성인 악성 앱 주의 안드로이드 랜섬웨어 주의 3) 보안 이슈 주요 정부기관 DNS 서버 DDoS 국제 사회에 영향을…
주요 정부기관 DNS 서버 대상으로 DNS 증폭 DDoS 공격 Posted By ASEC , 2013년 6월 27일 6월 25일 주요 정부 기관을 대상으로 한 DDoS(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공격이 발생한 이후 새로운 형태의 DDoS 공격 형태가 6월 27일 추가 발견되었다. 이번 발견된 DDoS 공격 형태는 다수의 PC에서 ANY를 요청하던 방식에서, DNS ANY Query를 요청하는 것으로 위장(IP Spoofing) 한 후 ripe.net의 ANY 레코드의 결과를 Open Resolver(Reflector, 일종의 중계 DNS 서버)를 통해 정부 종합 센터의 네임 서버(Name Server)로 전송되도록 하는 전형적인 DNS 증폭 DDoS 공격 (DNS Amplification DDoS Attack) 형태이다. 1. 공격 과정 악성코드에 감염된 다수의 PC에서 IP Spoofing을 사용하여 DNS ANY 레코드 쿼리의 출발지 주소를 정부 종합 센터 DNS 서버로 위장하고, 해당 결과를 Open Resolver ( Reflector)가 적용된 DNS 서버를 통해 정부종합센터로 DNS Amplification DDoS 공격 이 유입되도록 한다. 확인 결과, 금번 DNS 증폭 DDoS (DNS Amplification DDoS) 공격에 공격자가 동원한 20,000 여대의…
6.25 DDoS 공격에 사용된 악성코드 상세 분석 Posted By ASEC , 2013년 6월 25일 6월 25일 오전 10시에 일부 정부 기관 홈페이지를 대상으로 DDoS(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공격을 수행하도록 제작된 악성코드가 발견되었다. ASEC에서는 해당 DDoS 공격 수행 기능을 가진 악성코드들을 신속하게 확보하여 상세한 분석을 진행 중에 있다. 현재까지 분석된 정보들은 아래와 같으며, 추가적으로 분석된 정보들은 ASEC 블로그를 통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할 예정이다. [업데이트 히스토리] 1) 2013.06.25 – 6.25 DDoS 공격에 사용된 악성코드 상세 분석 내용 최초 작성 2) 2013.06.26 – 6.25 DDoS 공격에 사용된 악성 스크립트 상세 분석 내용 추가 1. 공격 시나리오 특정 웹하드 업체(www.simdisk.co.kr)의 설치 파일(RARSFX)을 변조하여 압축 해제 후 SimDiskup.exe 가 실행 되도록 해두었다. 아래 이미지는 이 번에 유포된 악성코드들의 전체적인 상관 관계를 도식화한 이미지이다. 2. 주요 파일 분석 정보 1) servmgr.exe (4,383,232 바이트) 해당 파일은 전체적인 구조에서 드롭퍼(Dropper) 역할을 수행하도록 제작된 악성코드이다. 해당 파일의 리소스(Resource) 영역에는 다른 PE…
ASEC 보안 위협 동향 리포트 2012 Vol.34 발간 Posted By ASEC , 2012년 12월 7일 안랩 ASEC에서 2012년 10월 국내,외에서 발생한 다양한 보안 위협 이슈와 동향들을 정리한 ASEC 리포트 2012 Vol.34을 발간하였다. 이 번에 발간된 ASEC 리포트는 2012년 10월 주요 보안 위협 이슈들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있다. 1) 악성코드 이슈 10월에 발견된 취약한 한글 문서 파일 MS 워드, PDF 문서들의 취약점을 악용하는 악성코드 다수 발견 한글 소프트웨어의 제로데이 취약점 악용 악성코드 미국 대선 뉴스로 위장한 스팸 메일과 결합된 블랙홀 웹 익스플로잇 툴킷 플레임 악성코드 변형 miniFlame 변형 발견 윈도우 도움말 파일을 이용한 악성코드 유포 국방 관련 내용을 담은 취약한 한글 파일 연봉 계약서로 위장한 취약한 한글 파일 발견 한반도 정황 관련 내용의 취약한 한글 파일 발견 대만 기상청을 대상으로 한 타깃 공격 발견 이스라엘 정부 기관 대상의 타깃 공격 발생 국내 PC 사용자를 대상으로 유포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