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S를 유출하는 ZitMo 안드로이드 악성코드 변형 발견 Posted By ASEC , 2012년 8월 10일 금융 정보를 탈취를 목적으로하는 악성코드들은 PC와 안드로이드(Android)까지 다양한 운영체제와 디바이스들을 대상으로 그 범위를 확장해가고 있으며, 최근에는 안드로이드 모바일 운영체제를 대상으로 감염 후 개인 금융 정보 탈취를 목적으로하는 안드로이드 악성코드들이 지속적으로 발견되고 있다. ASEC에서는 6월에도 이러한 형태의 안드로이드 악성코드인 ZitMo(Zeus in the Mobile)라는 안드로이드 악성코드가 발견되었음을 공개한 바가 있다. 2012년 6월 – Zitmo 변형으로 알려진 안드로이드 악성코드 현지 시각으로 2012년 8월 7일 해외 보안 업체인 캐스퍼스키(Kaspersky)에서는 블로그 “New ZitMo for Android and Blackberry“를 통해 새로운 ZitMo 안드로이드 악성코드 변형이 발견되었음을 공개하였다. ASEC에서는 해당 새로운 ZitMo 안드로이드 악성코드 변형을 확보하여 자세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 번에 발견된 ZitMo 안드로이드 악성코드 변형을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 설치하게 되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SMS(Short Message Service) 송수신 권한”을 설치시 요구하게 된다. 그리고 설치가 완료되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Zertifikat“라는 명칭을 가지는 아이콘을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 생성하게…
구글 코드를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 Posted By ASEC , 2012년 7월 25일 검색 엔진을 개발하는 구글(Google)에서는 사용자들의 편의성을 위해 지메일(Gmail), 구글 리더(Google Reader)와 구글 닥스(Google Docs) 등 여러가지 서비스를 제공해주고 있다. 구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들은 인터넷만 연결되어 있다면 언제든지 메일과 웹 사이트 그리고 문서 등을 읽거나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 해주고 있으며, 개발자들의 경우에는 구글 코드(Google Code)라고 하여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한 소스코드와 파일등을 개발자들 사이에서 공유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들 모두 24시간 중단되지 않는 가용성을 제공하고 있으며, 구글에서 운영을 하고 있음으로 안정성까지 제공 받을 수 있다는 점을 악용하여 구글 코드에 악성코드를 업로드하여 유포에 악용하는 사례가 7월 23일 발견되었다. 구글 코드를 악성코드 유포에 악용하였던 사례는 이번이 처음은 아니며 7월 18일 발견되었던 개인 금융 정보 탈취 목적의 Banki 트로이목마 역시 구글 코드를 악용하였다. 이 번에 발견된 구글 코드를 악용해 유포되고 있는 악성코드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