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사지원서를 위장한 악성코드 유포 중 Posted By yeeun , 2023년 6월 1일 AhnLab Security Emergency response Center(ASEC)에서는 입사지원서를 위장한 악성 코드가 꾸준히 유포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해당 악성코드에는 자사 제품명의 프로세스(V3Lite.exe)를 비롯해 다양한 백신 프로세스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이 존재하며 국내 구인구직 사이트와 유사한 악성 URL을 통해 유포되고 있다. 확인된 다운로드 URL은 다음과 같다. 위 URL을 통해 다운로드 되는 악성 파일은 화면보호기(.scr) 확장자 및 한글 문서(.hwp) 아이콘을 지니고 있다. 파일 실행 시 [그림3]과 같이 내부 RCDATA에 존재하는 압축 파일 데이터가 %Public%\[6자리 랜덤 문자].zip 으로 저장된다. 이후 %Public%\Documents\Defender\[6자리 랜덤 문자] 폴더에 위 파일을 압축 해제하여 추가 파일을 생성한다. wechatweb.exe의 경우 파일명이 랜덤한…
입사지원서로 위장한 Makop 랜섬웨어 유포 주의! Posted By ASEC , 2021년 4월 16일 ASEC 분석팀은 최근 입사지원서로 위장한 랜섬웨어가 이메일을 통하여 유포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요즘 많은 기업들의 상반기 채용이 진행되고 있는데 이에 맞춰 채용 담당자를 타겟으로 유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채용 담당자 메일 계정에 대한 관리 및 주의가 필요하다. 메일은 지원자의 이름으로 보이는 듯한 형식의 제목으로 유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메일 내에 압축파일로 된 첨부파일과 함께 보내지게 된다. 유포 파일명은 아래와 같다. ● 이력서포트폴리오_210412(열심히 하겠습니다 잘 부탁드립니다).exe ● 입사지원서_210412(열심히 하겠습니다 잘 부탁드립니다).exe 메일 보안 시스템을 우회하기 위하여 압축 비밀번호를 설정하였으며, 압축 비밀번호는 첨부파일명에 같이 적혀있어 압축을 풀게 되면 아래와…
워드양식 입사지원서로 위장한 Zegost 악성코드 Posted By ASEC , 2020년 9월 18일 ASEC 분석팀은 9월 17일 입사지원서로 위장한 Zegost 악성코드가 유포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해당 파일은 워드 문서 아이콘으로 되어 있어 사용자가 악성 실행 파일을 문서 파일로 착각할 수 있다. 파일 버전 역시 Kakao를 사칭하고 있어, 사용자의 주의가 필요하다. 파일 속성 파일 실행 시 C:Windowssystem32Phiya.exe로 자가복제되며, 자동 실행을 위해 아래 레지스트리를 생성한다. HKLMSystemSelectMarktime[파일 실행 시간]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Skldef WxyqrStart = 0x02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Skldef WxyqrImagePath = C:Windowssystem32Phiya.exe 생성되는 레지스트리 목록 레지스트리 등록 후 실행된 Phiya.exe는 C드라이브 경로에 2.doc 파일을 생성 및 실행한다. 해당 파일은 아래와 같이 입사지원서 양식을…
입사지원서로 위장해 유포중인 NEMTY 2.0 랜섬웨어 (지원서.hwp.exe) Posted By ASEC , 2019년 11월 12일 2019년 11월 12일 안랩 ASEC분석팀은 NEMTY REVENGE 2.0 랜섬웨어가 이력서로 위장하여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유포된 것을 확인하였다. 해당 랜섬웨어의 1.x 버전의 경우 Tesorion 라는 업체에서 복호화 툴을 제작하여 공개한 이력이 있다. (https://www.tesorion.nl/nemty-update-decryptors-for-nemty-1-5-and-1-6/) 하지만, 현재 사회공학 기법을 통해 국내에 활발하게 유포중인 버전은 2.0으로 이 버전은 아직까지 복구툴이 제공되지 않고있어 사용자 주의가 요구된다. 해당 랜섬웨어 유포자는 아래의 그림과 같이 이력서를 가장해 이메일의 첨부파일 형태로 감염을 시도한다. 첨부된 압축파일(“최혜은.7z”) 내부에는 한글문서파일(.hwp)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한글문서 아이콘을 갖는 실행파일(*.EXE)이 존재한다. 유포자는 .hwp 확장자와 .exe 확장자 사이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