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EC 보안 위협 동향 리포트 2012 Vol.33 발간 Posted By ASEC , 2012년 11월 7일 안랩 ASEC에서 2012년 9월 국내,외에서 발생한 다양한 보안 위협 이슈와 동향들을 정리한 ASEC 리포트 2012 Vol.33을 발간하였다. 이 번에 발간된 ASEC 리포트는 2012년 9월 주요 보안 위협 이슈들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있다. 1) 악성코드 이슈 인터넷 익스플로러 버전 7과 8의 제로데이 취약점을 악용하는 악성코드 자바 취약점을 악용하는 악성코드 트래픽을 유발하는 악성코드 P2P 사이트를 통해 유포되는 무협지 위장 악성코드 다양한 전자 문서들의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취약점을 이용하지 않는 한글 파일 악성코드 윈도우 8로 위장한 허위 백신 발견 당첨! 자동차를 받아가세요 도움말 파일로 위장한 악성코드가 첨부된 메일 UPS, Amazon 메일로 위장한 악성코드 악성코드 치료 후 인터넷 연결이 되지 않는다면 2) 모바일 악성코드 이슈 2012 미국 대선을 노린 광고성 애플리케이션 주의 일본 여성을 타깃으로 하는 Loozfon 모바일 악성코드 Anime character named Anaru(Android Malware)…
Anaru 로 불리는 일본 애니메이션 안드로이드 악성코드 Posted By ASEC , 2012년 9월 10일 일본 애니메이션 캐릭터가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의 사용자 정보를 탈취하는 악성코드에 이용되었다. 해당 안드로이드 악성코드 제작자는 구글 마켓과 유사한 형태로 제작된 웹사이트를 이용하여 유포하거나, 스팸 메일을 통하여 유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naru 로 불리는 애니메이션 캐릭터와 관련된 안드로이드 악성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알아보자. Anaru 어플리케이션을 설치시 요구되는 권한은 아래와 같다. [그림] 악성 어플리케이션 권한 Anaru 악성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 아래와 같이 아이콘이 생성되고, 실행할 경우 Anaru 캐릭터가 나타난다. [그림] 어플리케이션 아이콘과 실행화면 제작자는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경우, 자신의 정보가 유출되는지 알 수 없도록 백그라운드로 정보를 탈취하도록 설계하였다. 악성 어플리케이션의 내부 코드를 보면, GliveWallActivityActivity Class를 통하여 스마트폰의 주소록에 저장된 e-mail 주소와 이름을 특정경로에 저장하고, 특정서버로 전송하는 코드가 존재한다. [그림] GliveWallActivityActivity 스마트폰 정보를 탈취하는 코드 부분 실제 유츌되는 과정을…
고도의 사회 공학 기법이 포함된 취약한 한글 파일들 Posted By ASEC , 2012년 9월 6일 ASEC에서는 한글과 컴퓨터에서 개발하는 알려진 코드 실행 취약점을 악용하는 취약한 한글 파일을 악용한 악성코드가 발견되었다는 것을 9월 4일 공개하였다. 9월 4일 취약한 한글 파일에 대해 공개한 이 후인 9월 5일과 9월 6일 오전 기존에 알려진 취약점을 악용하는 취약한 한글과 파일들과 악성코드들이 다시 발견되었다. 9월 5일 발견된 취약한 한글 파일은 아래 이미지와 동일하게 최근 언론을 통해 이슈가 되고 있는 독도 관련 내용을 담고 있으며, 문서 역시 독도 일본땅`日,자신만만증거보니…황당.hwp (447,504 바이트)라는 파일명을 가지고 있다. 해당 취약한 한글 파일은 HncApp.dll에 존재하는 문단 정보를 파싱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버퍼 오버플로우(Buffer Overflow)로 인한 코드 실행 취약점이다. 해당 취약점으로 인해 suchost.exe (295,424 바이트)을 다음의 경로에 생성한다. c:documents and settings[사용자 계정명]local settingstempsuchost.exe 그리고 생성된 suchost.exe (295,424 바이트)는 다시 아래의 경로에 connection.dll (295,424 바이트)를 생성한다. c:documents and settingsall usersapplication dataconnection.dll 윈도우 시스템에 존재하는 정상 파일인 svchost.exe를 실행하여 스레드로…
악성코드 감염으로 알려진 일본 재무성 침해 사고 Posted By ASEC , 2012년 8월 21일 2012년 7월 21일 일본 국내 언론들을 통해 “Finance Ministry reveals 2010-2011 computer virus; info leak feared” 일본 재무성에서 2010년에서 2011년 2년 사이에 감염된 악성코드가 발견되었으며, 이로 인해 내부 정보가 유출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는 기사가 공개 되었다. ASEC에서는 해당 침해 사고와 관련한 추가적인 정보와 관련 악성코드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해당 침해 사고와 관련된 악성코드를 확보하게 되었으며, 해당 악성코드는 약 1년 전인 2011년 9월 경에 발견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번에 파악된 악성코드가 실행되면 해당 파일이 실행된 동일한 경로에 다음 파일을 생성하고, 정상 시스템 프로세스인 explorer.exe에 스레드로 인젝션하게 된다. C::[악성코드 실행 경로]tabcteng.dll (114,688 바이트) 그리고 다음 레지스트 경로에 키 값을 생성하여 감염된 시스템이 재부팅하더라도 자동 실행 되도록 구성하게 된다. HKLMSYSTEMControlSet001ServicesNetmanParametersServiceDll “C:[악성코드 실행 경로]tabcteng.dll” 감염된 시스템에 존재하는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의 실행 파일 iexplorer.exe를 실행 시켜 HTTP로 외부에 존재하는…
ASEC 보안 위협 동향 리포트 2011 Vol.25 발간 Posted By ASEC , 2012년 2월 20일 안철수연구소 ASEC에서 2012년 1월 국내,외에서 발생한 다양한 보안 위협 이슈와 동향들을 정리한 ASEC 리포트 2011 Vol.25을 발간하였다. 이 번에 발간된 ASEC 리포트는 2012년 1월 주요 보안 위협 이슈들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있다. MS12-004 윈도우 미디어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 스페이스와 탭을 이용한 자바스크립트 난독화 소스 출현 보안 제품의 업데이트를 방해하는 Hosts 파일 변경 악성코드 주의 내 하드디스크가 타버린다고? 불안심리를 자극하는 Hoax 악성코드 단축 URL을 이용해 트위터로 유포 중인 피싱 웹사이트 악성코드 버그로 인한 “응용 프로그램 초기화 오류”와 BSOD(Hard Disk) 발생 MADDEN NFL 12 로 위장한 악성 애플리케이션 일본 성인사이트에서 유포되는 악성 애플리케이 Hash Collision 공격을 통한 웹 서버 서비스 거부 공격(DoS) HP LaserJet 펌웨어 관련 치명적 보안 취약점 발견 이 외에 악성코드 분석 특집으로 “모바일 악성코드 동향”을 포함하고 있다. 안철수연구소 ASEC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