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익스플로러 취약점 악용으로 유포된 관리자 계정 탈취 악성코드 변형 Posted By ASEC , 2013년 11월 5일 이번 악성코드의 유포방식은 10월에 알려진 변형들은 IE 제로데이 취약점을 사용하였다. 2013년 10월9일 보안패치가 나온 것을 감안 하면 그 이전부터 유포가 진행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취약점 패치를 하지 않은 PC에는 여전히 유포 가능성이 존재한다. 아울러, CDN 서비스 업체인 G사를 통해 서비스 운영 중인 웹 사이트가 악성코드 배포지 중 일부로 악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3-080 – 긴급 Internet Explorer 누적 보안 업데이트 (2879017) 아래 그림은 IE 제로데이 취약점을 통해 감염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낸다. 붉은색 블록으로 표시한 파일이 실제 핵심적인 기능을 수행하며, “악성코드 다운로드” 및 “관리자 페이지 계정정보 유출” 기능을 갖고 있다. 위 그림에 존재하는 swf.js는 guy2.html 파일을 iframe 태그로 로딩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guy2.html 은 다음의 2가지 기능을 가지고 있다. – 특정 국산 백신들에 대한 무력화 시도 – 특정 사이트로부터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실행 swf.js는…
ASEC 보안 위협 동향 리포트 2012 Vol.42 발간 Posted By ASEC , 2013년 8월 16일 안랩 ASEC에서 2012년 12월 국내,외에서 발생한 다양한 보안 위협 이슈와 동향들을 정리한 ASEC 리포트 2012 Vol.36을 발간하였다. 이 번에 발간된 ASEC 리포트는 2012년 12월 주요 보안 위협 이슈들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있다. 1) 악성코드 이슈 포털 사이트 겨냥한 금감원 사칭 피싱 악성코드 주의’ 택배 사이트 배송조회 페이지에서 유포된 악성코드 토렌트 사이트에서 유포된 hosts.ics 생성 악성코드 최신 영화 공유 파일을 이용한 악성코드 유포 다앙한 DDoS 공격 기능이 있는 악성코드 PUP(불필요한 프로그램)의 습격 한컴 엑셀 파일 취약점을 이용한 백도어 유포 전자 계정 명세서로 위장한 스팸 메일 이메일로 도착한 문자메시지 2) 모바일 악성코드 이슈 금융사 피싱 앱 주의 문자메시지 수집하는 사생활 침해 악성 앱 주의 성인 악성 앱 주의 안드로이드 랜섬웨어 주의 3) 보안 이슈 주요 정부기관 DNS 서버 DDoS 국제 사회에 영향을…
인터넷 익스플로러 제로 데이 취약점(CVE-2012-4792) 악용 Posted By ASEC , 2013년 1월 3일 한 해의 끝과 시작이 시작되는 시기에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서 개발하는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 웹 브라우저의 알려지지 않은 제로 데이(Zero Day, 0-Day) 취약점을 악용한 공격이 공개되었다. 이 번에 발견된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제로 데이 취약점을 악용한 공격은 미국 언론사인 The Washington Free Beacon의 기사 “Chinese Hackers Suspected in Cyber Attack on Council on Foreign Relations“의 미국 외교 협의회(Council on Foreign Relations, CFR) 웹 사이트가 해킹되었다는 소식을 통해 공개되었다. 이와 관련해 마이크로소프트에서도 보안 권고문 “Microsoft Security Advisory (2794220) Vulnerability in Internet Explorer Could Allow Remote Code Execution“을 통해 인터넷 익스플로러에 존재하는 제로 데이 취약점(CVE-2012-4792) 관련 정보를 공개하였다. 해당 제로 데이 취약점에 영향을 받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버전은 다음과 같다. Internet Explorer 6 Internet Explorer 7 Internet Explorer 8 이번 미국 외교 협의회 웹 사이트 해킹을 통해 공개된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제로 데이…
ASEC 보안 위협 동향 리포트 2012 Vol.33 발간 Posted By ASEC , 2012년 11월 7일 안랩 ASEC에서 2012년 9월 국내,외에서 발생한 다양한 보안 위협 이슈와 동향들을 정리한 ASEC 리포트 2012 Vol.33을 발간하였다. 이 번에 발간된 ASEC 리포트는 2012년 9월 주요 보안 위협 이슈들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있다. 1) 악성코드 이슈 인터넷 익스플로러 버전 7과 8의 제로데이 취약점을 악용하는 악성코드 자바 취약점을 악용하는 악성코드 트래픽을 유발하는 악성코드 P2P 사이트를 통해 유포되는 무협지 위장 악성코드 다양한 전자 문서들의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취약점을 이용하지 않는 한글 파일 악성코드 윈도우 8로 위장한 허위 백신 발견 당첨! 자동차를 받아가세요 도움말 파일로 위장한 악성코드가 첨부된 메일 UPS, Amazon 메일로 위장한 악성코드 악성코드 치료 후 인터넷 연결이 되지 않는다면 2) 모바일 악성코드 이슈 2012 미국 대선을 노린 광고성 애플리케이션 주의 일본 여성을 타깃으로 하는 Loozfon 모바일 악성코드 Anime character named Anaru(Android Malware)…
마이크로소프트 2012년 10월 보안 패치 배포 Posted By ASEC , 2012년 10월 10일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서 2012년 9월 한 달 동안 해당 업체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에서 발견된 보안 취약점들을 제거하기 위해 보안 패치를 2012년 10월 10일 배포하였다. 이번에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배포된 보안 패치들은 총 7건으로 다음과 같다.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64 – 긴급 Microsoft Word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742319)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65 – 중요 Microsoft Works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754670)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66 – 중요 HTML 삭제 구성 요소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점 (2741517)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67 – 중요 FAST Search Server 2010 for SharePoint의 구문 분석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2742321)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68 – 중요 Windows 커널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점 (2724197)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69 – 중요 Kerberos의 취약점으로 인한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