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폐

Kimsuky 그룹, ADS를 활용하여 악성코드 은폐

AhnLab Security Emergency response Center(ASEC)에서는 Kimsuky 그룹이 악성코드를 은폐하는데 ADS(Alternate Data Stream)를 활용하는 것을 확인했다. 해당 악성코드는 HTML 파일 내부에 포함된 VBScript를 시작으로 정보를 수집하는 Infostealer 유형이며 수많은 더미 코드 사이에 실제 코드가 포함된 것이 특징이다.     터미널에서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실행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전송한다.   hostname systeminfo net user query user route print ipconfig /all arp -a netstat -ano tasklist tasklist /svc cmd.exe” /c dir “C:\Program Files“ cmd.exe” /c dir “C:\Program Files (x86)” cmd.exe” /c dir “C:\ProgramData\Microsoft\Windows\Start Menu\Programs” cmd.exe” /c dir “C:\Users\Unknown\AppData\Roaming\Microsoft\Windows\Recent”…

광고성 html을 가장하여 악성코드를 다운로드하는 스팸메일 (3)

http://core.ahnlab.com/192http://core.ahnlab.com/193 위 링크의 글들에서 광고성 html 을 가장하여 유포되고 있는 스팸의 유포형식과 난독화된 스크립트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난독화된 스크립트를 디코딩하여 수집한 game.exe 파일은 실행 시 아래 그림과 같이 'Defense Center'라는 FakeAV 를 설치하게 됩니다. game.exe 파일에 의해 다수의 악성코드가 설치가 되며 그 중 아래의 경로에 생성되는 폴더 및 파일들이 은폐 및 hooking이 된 상태입니다. c:windowsPRAGMA[랜덤한 문자] 이 경우 아래 링크의 v3alureon_gen_np.exe 전용백신을 다운로드 후 전용백신으로 %systemroot%를 검사하여 은폐 및 hooking을 풀어줍니다. v3alureon_gen_np.zip 검사가 완료되게 되면 아래 그림처럼 바이러스가 없다고 메세지 창이 뜨게 될 것입니다. 왜냐하면 파일을 진단한 것이 아니라 은폐 및 hooking을 풀어준 것이기 때문입니다. 은폐 및 hooking을 풀어준 후 V3 로 해당 폴더를 진단/치료 시 정상적으로 진단/치료가 가능합니다. 작일 (6월 30일)부터 아래의 메일 제목으로 지속적으로 악성 html 링크가 삽입된 악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