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겟형 공격 <사례비지급 의뢰서> 악성 워드문서 유포 Posted By ASEC , 2021년 6월 9일 APT 타겟형 공격으로 추정되는 <사례비지급 의뢰서> 내용의 악성 워드 문서가 다시 유포되었다. 똑같은 문서 내용의 악성코드는 지난 3월에도 발견되어 ASEC블로그에 관련 분석 내용을 공개하였다. 이번에 발견된 워드 문서는 최근에 만들어졌으며, 기존 공격과 내용은 동일하지만 동작 방식에서 차이가 있었다. 본 글에서는 새로 발견된 <사례비지급 의뢰서> 악성 문서 파일의 기능과 특징, 그리고 동일한 공격자(제작자)가 만들었을 것으로 강하게 추정되는 연관 파일에 대해 설명한다 파일명: 사례비지급 의뢰서(양식).doc SHA256: 811b42bb169f02d1b0b3527e2ca6c00630bebd676b235cd4e391e9e595f9dfa8 최초 작성자: Network Group 최종 수정자: Naeil_영문시작 문서 생성일: 2021-03-02 09:01:00 최종 수정일: 2021-06-07 02:23:00Z…
어도비 플래쉬 플레이어 CVE-2013-0633 및 CVE-2013-0634 취약점 악용 Posted By ASEC , 2013년 2월 13일 어도비(Adobe)에서는 현지 시각으로 2월 7일 어도비 플래쉬 플레이어(Adobe Flash Player)에 존재하는 취약점인 CVE-2013-0633 및 CVE-2013-0634를 제거하기 위한 보안 패치를 배포 중임을 보안 권고문 “APSB13-04 Security updates available for Adobe Flash Player“를 통해 밝혔다. 이 번에 발견된 2개의 어도비 플래쉬 플레이어 취약점은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제로 데이(Zero-Day, 0-Day) 취약점이었다. 해당 제로 데이 취약점들은 특정 대상으로 상대로한 타깃 공격(Targeted Attack)과 웹 사이트를 통해 해당 취약점을 악용하는 플래쉬 파일(SWF)를 유포하는 것으로 공개되었다. 어도비에서는 해당 취약점들에 영향을 받는 플래쉬 플레이어 버전들은 다음과 같음을 밝히고 있다. 윈도우(Windows)와 맥킨토시(Macintosh) 설치 된 Adobe Flash Player 11.5.502.146 과 이전 버전 리눅스(Linux)에 설치된 Adobe Flash Player 11.2.202.261과 이전 버전 안드로이드(Android) 4.x 에 설치된 Adobe Flash Player 11.1.115.36와 이전 버전 안드로이드(Android) 3.x와 2.x 에 설치된 Adobe Flash Player 11.1.111.31와 이전 버전…
ASEC 보안 위협 동향 리포트 2012 Vol.34 발간 Posted By ASEC , 2012년 12월 7일 안랩 ASEC에서 2012년 10월 국내,외에서 발생한 다양한 보안 위협 이슈와 동향들을 정리한 ASEC 리포트 2012 Vol.34을 발간하였다. 이 번에 발간된 ASEC 리포트는 2012년 10월 주요 보안 위협 이슈들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있다. 1) 악성코드 이슈 10월에 발견된 취약한 한글 문서 파일 MS 워드, PDF 문서들의 취약점을 악용하는 악성코드 다수 발견 한글 소프트웨어의 제로데이 취약점 악용 악성코드 미국 대선 뉴스로 위장한 스팸 메일과 결합된 블랙홀 웹 익스플로잇 툴킷 플레임 악성코드 변형 miniFlame 변형 발견 윈도우 도움말 파일을 이용한 악성코드 유포 국방 관련 내용을 담은 취약한 한글 파일 연봉 계약서로 위장한 취약한 한글 파일 발견 한반도 정황 관련 내용의 취약한 한글 파일 발견 대만 기상청을 대상으로 한 타깃 공격 발견 이스라엘 정부 기관 대상의 타깃 공격 발생 국내 PC 사용자를 대상으로 유포된…
전자 문서들의 취약점을 악용하는 악성코드들 다수 발견 Posted By ASEC , 2012년 10월 9일 추석 연휴가 끝난 이후 ASEC에서는 최근 다양한 형태의 전자 문서들에 존재하는 취약점을 악용하는 악성코드들을 발견하였다. 전자 문서와 관련된 악성코드들이 발견되는 것이 이 번이 처음 발생한 사항이 아니지만, 마이크로소프트 워드(Microsoft Word), 한글 소프트웨어 그리고 어도비 리더(Adobe Reader) 파일인 PDF에 존재하는 알려진 취약점 등을 악용하는 악성코드가 동시 다발적으로 발견된 것은 특이 사항으로 볼 수 있다. 먼저 한글 소프트웨어와 관련된 악성코드는 크게 3가지 형태로 기존에 알려진 취약점을 악용하는 형태, 특이하게 내부에 악의적인 목적으로 제작된 자바 스크립트(Java Script)가 포함된 형태 그리고 한글 문서 자체가 특이한 OLE 포맷을 가지고 있는 형태가 발견되었다. 기존에 알려진 한글 취약점을 악용하는 취약한 한글 파일은 아래 이미지와 동일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붙임1_국방기술정보 위원명단_[2].hwp (1,061,892 바이트)”로 유포되었다. 해당 취약한 한글 파일은 HncApp.dll에 존재하는 문단 정보를 파싱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버퍼 오버플로우로 인한 임의의 코드 실행…
다양한 전자 문서들의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Posted By ASEC , 2012년 9월 21일 한글과 컴퓨터에서 개발하는 한글 워드프로세스와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서 개발하는 워드(Word)에 존재하는 알려진 취약점을 악용하는 악성코드들이 동시에 3건이 발견되었다. 첫 번째 취약한 한글 파일은 중공 5세대 핵심들의 불확실한 미래.hwp (241,873 바이트)로 아래 이미지와 동일한 내용을 가지고 있다. 두 번째 취약한 한글 파일은 미래모임.hwp (104,448 바이트)로 아래 이미지와 동일한 내용을 가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발견된 취약한 워드 파일은 부서간 의사소통 조사 설문지.doc (361,026 바이트) 로 아래 이미지와 동일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해당 워드 파일은 CVE-2012-0158 취약점으로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27 – 긴급 Windows 공용 컨트롤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664258)” 이미 보안 패치가 배포 중인 알려진 취약점이다. 특히 마지막 취약한 워드 파일의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사내 설문 조사 관련 전자 메일로 위장하여 첨부한 취약한 워드 파일을 실행하도록 유도하는 사회 공학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From: 김** [mailto:surv***************sme@yahoo.co.kr] Sent: Thurs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