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체제

스마트폰의 문자 메시지로 전달된 단축 URL

스마트폰의 사용이 많아지고 이를 이용한 다양한 네트워크 활동들이 보편화가 됨에 따라 이와 관련한 다양한 형태의 보안 위협들을 계속 발견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가장 큰 보안 위협 이슈로는 안드로이드(Android) 운영체제에 감염되는 악성코드들을 들 수 있으다. 이 외에 최근 ASEC에서는 아래 이미지와 같이 무작위로 휴대전화 번호를 선택하여 문자 메시지(SMS, Short Message Service)를 발송한 것이 확인 되었다. 해당 문자 메시지는 일반적인 스팸성 문자 메시지와는 다르게 메시지 내부에 단축 URL(URL Shortening)을 포함하고 있어, 스마트폰 사용자라면 쉽게 클릭한번 만으로 특정 웹 사이트로 연결되도록 구성한 특징이 있다. 해당 문자 메시지에 포함된 단축 URL은 테스트 당시 해당 단축 URL로 연결되는 웹 사이트로 정상 접속이 되지 않았다. 하지만 스마트폰에 감염되는 악성코드나 스팸성 웹 사이트 등으로 연결되는 다른 보안 위협들로 연결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특히 이러한 단축 URL을 악용한 보안…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윈도우 악성코드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윈도우(Windows) 운영체제와 리눅스(Linux) 운영체제에서 모두 감염되어 동작하는 악성코드를 제작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많은 사항들을 고려해야 되는 문제임으로 쉽지 않은 사항이다. 특히나 모바일(Mobile) 운영체제와 일반 윈도우 PC 모두에 감염되어 동작하는 악성코드를 제작하기라는 것은 더욱 쉽지 않은 사항이다. 2012년 2월 3일 ASEC에서는  하루동안 전세계에서 수집되어 분석되었던 안드로이드(Android) 어플리케이션들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특이하게 특정 어플리케이션 내부에 윈도우 악성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번에 발견된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은 아래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아래 이미지의 붉은색 박스로 표기한 스크립트 파일인 about_habit.htm(123,196 바이트)를 내부에 포함하고 있다.  해당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 내부에 포함된 about_habit.htm는 일반적인 HTML 파일이 아니며 실제로는 비주얼 베이직 스크립트(Visual Basic Script)로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가지고 있다.   해당 비주얼 베이직 스크립트 파일은 svchost.exe(61,357 바이트) 파일명으로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감염되는 악성코드를 생성하고 실행하게 되었다. 그러나 해당  비주얼 베이직 스크립트 파일은 안드로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