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licious Software, Friday Night Fever~!! Posted By ASEC , 2011년 6월 24일 1. 서론 ⊙ 금요일 퇴근 후 또는 학업을 마치고, PC를 사용하는 인터넷 사용자를 타겟으로 하는 악성코드가 여전히 기승을 부리고 있다. 이러한 악성코드의 감염 원인과, 예방방법을 알아보자. 2. 악성코드 유포 사이트 ⊙ 국내에서 주말마다 반복되는 악성코드 유포 경유지 이번주는 어디일까? 본격적인 어둠이 오기전 먼저 유포를 시작하는 곳 중, 한두 곳만 살펴 보았다. – 악성코드 유포 경유지 : 현재는 조치되어 유포하고 있지 않다. [그림] 악성 스크립트 유포 사이트 – 해당 사이트에 접속하면, 아래와 같은 사이트로 연결되어 악의적인 스크립트가 실행된다. [그림] 악성코드를 감염시키기 위해 다운로드 되는 파일 정보 – 이중 마지막 단계인 main.swf 파일을 살펴보자. 최근, Adobe Flash Player (CVE-2011-2110) 취약점을 이용한 악성코드 감염이 일반적이다. [그림] Adobe Flash Player 취약점을 이용한 main.swf 내부 코드 – 다운로드 받는 파일을 확인해 보자. main.swf 파일에 파라미터 “info=”를 통해 URL을…
ARP Spoofing을 통해 전파되는 온라인 게임핵 악성코드 Posted By ASEC , 2010년 9월 6일 1. 개요 최근 악성코드 중 ARP Spoofing 증상을 발생하는 악성코드가 확인되었습니다. 해당 악성코드에 대해 조사를 하여 확인된 바 국내의 다수의 사이트에 해당 악성코드를 감염시키는 악성 스크립트가 삽입되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다수의 피해가 우려되어 해당 정보를 공유하고자 해당 문서를 작성합니다. ※ 아래 ARP Spoofer 전용백신 링크를 통해제공되는 전용백신은 2010년 9월 4일부터 현재까지 유포된 ARP Spoofing 증상 유발 악성코드만을진단/치료 하는 전용백신입니다. 모든 악성코드가 대상이 되지는 않으며 알려진 형태만을 진단/치료 합니다. 또한 본문 하단의 ARP Spoofing 탐지/차단 툴은 ARP Spoofing 패킷을 유발하는 시스템을 탐지/차단하는 툴이며 해당 시스템을 치료하기 위해선 V3제품군 또는 v3arpspoofer.exe 전용백신으로 진단/치료하시기 바랍니다. ARP Spoofing 탐지/차단 툴 : ARP Spoofing 패킷을유발하는 시스템을 탐지/차단하는 툴 ARP Spoofer 전용백신 : ARP Spoofing 악성코드에 감염된 시스템을진단/치료 하기위한 전용백신 ARP Spoofer 전용백신 2. 악성코드 감염 경로 해당 악성코드는 웹사이트에…